•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유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유럽"

Copied!
4
0
0

Teks penuh

(1)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3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9호 2013.3.8

유럽

□ 영국, 해상풍력기술개발 2차 지원 대상기업 선정

ㅇ 영국 에너지·기후변화부(DECC)는 해상풍력기술개발보급계획(Offshore Wind Component Technologies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scheme)이 지원하는 2차 지원금 대상기업 을 3월 1일 발표함.

해상풍력기술개발보급계획은 2011년 11월 영국 DECC와 기술전략위원회(Technology Strategy Board)가 공동으로 수립한 해상풍력발전을 위한 자금지원 계획으로, 주요 목표는 해상풍력발전 비용절감을 위해 관련 기업들의 기술혁신에 도움을 주는 것임. 영국은 해상 풍력 기술혁신으로 2020년까지 발전비용을 25%, 2050년까지 60% 각각 감축시키려고 함.

- 1차 지원에서, David Brown Gear Systems Ltd.(풍력터빈 기어박스 개발)이 120만 파 운드, Gravitas Offshore Ltd.(대형 해상풍력터빈용 콘크리트 중력 지지물(gravity foundation) 개발 및 시연)이 약 50만 파운드를 각각 지원받았음.

- 2차 지원금으로 총 500만 파운드가 할당되었으며, 이 중 약 230만 파운드가 HVPD Ltd., JDR Cable Systems Ltd., Principle Power 등에 지급될 것임.

- HVPD가 해상풍력 고압망 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해 약 54만5천 파운드, JDR이 혁신적

HVAC(High Voltage Array Cabling) 케이블 디자인 개선을 위해 약 100만 파운드, 그 리고 Principle Power는 WindFloat(부유식 풍력터빈 지지물)의 디자인 개선과 제작공정 개발을 위해 약 70만 파운드를 각각 지원받게 됨.

- 2차 지원금의 나머지와 3차 지원금(700만 파운드)의 대상기업은 금년 내에 선정 발표

될 예정임. 4차 지원금 규모는 400만 파운드임.

ㅇ 유럽풍력협회(EWEA)에서 1월에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2년 현재 영국에서 운영 중인 해상풍력단지는 16개이며, 총 발전용량은 2.9GW임.

- 영국은 해상풍력 발전용량에서 1위(EU 전체용량의 58.9% 차지)이며, 그 다음이 덴마크 (18%), 벨기에(8%), 독일(6%) 등임(인사이트 제13-5호(2.1일자) p.31 참조).

(DECC 홈페이지, 2013.2.28; UPI, 2013.3.1)

□ 노르웨이, 북극해 석유·가스 매장량 증대

ㅇ 노르웨이 석유부는 북극해에 속해 있는 자국령인 바렌츠해 동남부와 Jan Mayan 섬 주변 지역에 대한 지질탐사 결과를 2월 28일 발표함.

- 1만7천㎡에 달하는 Jan Mayan 섬 주변지역에 석유 가스 19억boe가 부존되어 있으며, 이 중에 85%는 가스, 15%는 석유인 것으로 조사됨.

ㅇ 노르웨이 정부는 금년 여름부터 자국 소유의 바렌츠해 대륙붕에서 석유・가스 탐사작업을

(2)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9호 2013.3.8

39

허가할 방침임.

- 노르웨이 정부의 이번 바렌츠해 동남부지역에 대한 석유·가스 지질탐사 작업은 2010년 러시아 정부와 체결한 바렌츠해 해상국경선 합의 이후 처음 시행된 것임.

노르웨이와 러시아는 1970년부터 바렌츠해 내 경제수역 17만5,000km2를 둘러싸고 자국에 유리한 국경선 확정 원칙을 제시하며 영토분쟁을 벌여오다가 2010년 4월 국경선 확정에 합의하고 분쟁을 종결한 바 있음.

(Bloomberg, 2013.2.27; UPI, 2013.2.28)

□ 독일, 수압파쇄공법 허용 입법안 마련

ㅇ 독일 환경부는 경제부와 협의를 통해 셰일가스 시추 시 수압파쇄공법을 허용한다는 내용 의 입법안을 마련했다고 2월 26일 발표함.

독일 연방지질자원연구소는 독일에 2,300Bcm의 셰일가스가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하 며, 독일의 연간 가스 소비는 86Bcm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됨.

- 그동안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수압파쇄공법에 대한 심한 반대여론을 의식해서 환경부 는 입법안에 수압파쇄공법 시행 시에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조항들을 포함시켰음.

- 여기에는 식수원 인근에서의 수압파쇄공법 시행 금지, 수압파쇄공법 시행 전 환경영향 평가 실시 의무화 등이 포함되어 있음.

- 야당인 사민당과 녹색당은 정부의 수압파쇄공법 합법화 추진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

ㅇ 한편, 전문가들은 독일 정부의 수압파쇄공법 허용 입장에 대해 원자력 발전소 폐지에 따 른 에너지 비용 상승압력을 완화시키려는 조치로 분석함.

- 독일 정부는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자국의 모든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할 계획임.

(Bloomberg; AFP, 2013.2.26; Euractive, 2013.2.28)

□ 영국, ’12년 발전원에서 석탄비중 크게 증대

ㅇ 영국 DECC는 2012년 전체 발전량에서 석탄화력 비중이 1996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 2012년 에너지원별 발전실적자료를 통해 2월 28일 발표함.

- 2012년 영국의 석탄화력발전 비중은 42.8%로 2011년 30%에 비해 큰 폭으로 증대되었

고, 가스화력발전 비중은 2011년 40%에서 2012년 27.6%로 감소함.

- 원자력 발전량은 2011년에 비해 2.1% 증가했고, 원전 비중은 20.8%를 차지함.

- 풍력발전량은 2011년 대비 33%, 바이오에너지 발전량은 2011년 대비 46% 증가했음.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풍력발전 비중은 2012년에 5.5%, 바이오에너지 발전비중은 1.9%였음.

- 그러나 수력발전량은 강수량 부족으로 2011년 대비 9% 하락해서 발전비중이 1.4%를

(3)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4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9호 2013.3.8

차지했음.

ㅇ 한편, 2012년에 저탄소 발전원의 비중은 2011년 26.7%에서 2.9%p 증가한 29.6%로 나타남.

(Platts, 2013.2.28)

□ 영국 Ofgem, 전력부족 가능성에 대한 우려 제기

ㅇ 영국 가스전력시장국(Office of Gas and Electricity Markets; Ofgem)의 Alistair

Buchanan 국장은 영국의 노후한 석탄화력발전소와 원전의 대대적인 폐쇄로 향후 3년간

전력예비율(reserve margin)이 현재의 14%에서 5%대로 감소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전력공급 상황이 ‘거의 위기(near-crisis)’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고 2월 17일 경고함.

- Buchanan 국장은 발전소 폐쇄로 2013년 3월 한 달 동안만 영국 전체 발전능력의 10%가 감소할 예정이며, 2020년까지 노후 발전소의 1/5 가량이 폐쇄될 예정이라고 밝힘. - 발전소 폐쇄로 인한 전력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영국 정부는 신규 가스화력 발전소 및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Ofgem의 예측에 따르면 전력공급에서 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의 33%에서 2020년까지 60-70%로 증가할 전망임.

ㅇ 한편, 소비자 그룹 및 환경단체들은 가스 수입의존도 증가에 따른 전력요금 인상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전원구성을 다양화하기 위해 정부가 적절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함.

- 에너지기후변화부는 지난 11월 29일에 전력시장을 개혁하는 내용의 에너지 법안 (Energy Bill)을 의회에 제출했음.

(H&V News, 2013.2.27; Burton Mail, 2013.3.4)

□ 독일, ’12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ㅇ 독일 환경부는 1997년 채택된 교토의정서에서 독일이 제시한 2012년까지의 온실가스 감 축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2월 25일 발표함.

교토의정서는 지구온난화 대처를 목적으로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 약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되었으며, 1차 공약기간(2008-2012년) 동안 37개 국가가 온 실가스 감축 노력에 동참하였음. 2012년 12월 카타르에서 열린 총회에서 의정서의 효력을 2020년까지 연장하기로 하였으나 미국, 중국, 인도를 포함 다수 국가가 불참을 선언함.

- 독일은 당초 2008-2012년 사이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21%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환경부의 예비평가 결과에 따르면 총 감축량이 목표치를 초과한 25.5%에 달함.

ㅇ 한편, 독일의 2012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대비 1.6% 증가한 9억3,100만 톤을 기록하 였으며, 이는 기후요인에 따른 난방용 가스 사용량 증가와 전력생산에서 석탄 사용이 증 가한 데 기인함.

(4)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9호 2013.3.8

41

- 독일이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총 8기의 원자로를 폐쇄하였음에도 불구하 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은 것은 독일 정부의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 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확대되어 화석연료 수요증가를 상쇄하

였기 때문임.

독일의 에너지 전환정책은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독일 정부가 탈원전 을 결정하면서 마련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22년까지 모든 원전을 폐쇄하고 신재생에 너지원의 발전 비중을 2020년까지 35%, 2050년까지 80%로 확대함.

(Deutschland; World Nuclear News, 2013.2.26)

Referensi

Dokumen terkait

러시아 장기에너지전략안ES-2035에 따른 에너지기술 혁신 전략 해외정보분석실 이주리[email protected] ▶ 세계 에너지시장은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생산・이용 기술의 혁신, 비전통 에너지원 발굴, 신재생에너지 기반 에너지시스템 고도화 등으로 급격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이로 인한 국제

Ⅳ 지원 및 선발 절차 지원 및 선발 절차 인턴십 지원·선발 절차 인턴참여자 모집공고 온라인 접수 증빙서류제출* * P.6 참고 서류심사 1차 서류합격자 발표 파견 사전교육 실시 최종합격자 발표 면접심사 2차 ㅇ 인턴희망자는 항공인력개발센터 홈페이지www.goaviation.or.kr에 온라인 지원 ㅇ

세계 석유수급 단기전망 □ 석유 공급 전망 ㅇ 지난 4월에 발표된 미국 EIA의 2016년까지 단기 에너지 전망‘Short-Term Energy and Summer Fuels Outlook’, 이하 ‘STEO’ 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석 유 생산이 수요를 지속적으로 초과하여 재고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지역별 에너지 수요 전망 ㅇ 세계 에너지 지도에서 가장 큰 변화는 글로벌 에너지 수요에서 OECD 비회원 국들의 강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라는 점임.. - OECD 비회원국가에서의 에너지 수요는 2005년에 OECD 회원국의 수요를 추월하였으며, 전망 기간 동안에도 빠른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로 인해 지속 적으로 상승하게

영국 전력시장의 새로운 도전과제 ㅇ 현재 영국 전력시장은 첫째, 노후 발전설비 대체 및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 둘 째, 저탄소경제로의 전환, 마지막으로 대규모 투자를 유인할 수 있는 시장여건 조성 등 새로운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음.. 에너지기후변화부DECC는 이를 해 결하고자, 관련 계획을 담은 에너지 법안을 2012년 11월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5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46호 2014.12.19 ※ 새로운 아메리카의 민중을 위한 볼리바르 동맹ALBA, Alianza Bolivariana para los Pueblos de Nuestra América: 현재 베네수엘라, 쿠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