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4개국의 대외전략과 한국의 통일외교전략. 그러나 한반도 통일은 안보상의 우려를 낳는다.
Northeast Asian Countries’ Foreign and North Korea Policies and South Korea’s Strategy of Unification
Diplomacy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통일에 대한 동북아 4개국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통일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고려하면서 한국의 통일외교 전략을 살펴봅니다.
Ⅱ . 미국의 대외전략과 한반도
미국의 대외전략과 대북전략
오바마 행정부 2기의 대외전략은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을 지원하는 신국방전략(New Defense Strategy)이다. 새로운 국방력의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다.4 중동정책의 획기적인 전환과 국방비 및 군사력 감축의 현실을 수용하되,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의 복귀를 통해 중국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라. 인도양을 포함한 지역. 그것은 전략이다.
Ⅶ나. 전환 시기 미국의 대외전략
주요 쟁점과 한국의 대미 통일외교 전략
미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인식은 분단과 통일의 이익과 손실, 통일과정과 미국 국익의 양립성, 통일한국의 가치라는 세 가지 기준으로 분석할 수 있다.7 분단과 통일의 이익과 손실을 고려한 한반도. 미국의 목표는 한반도 통일 이후 지역 안정과 함께 한일 양국의 양자동맹을 유지·강화하는 것이다.
Ⅶ나. 주요 쟁점에 대한 한국의 인식
“우리는 테러 진압을 포함해 세계 평화에 기여해야 합니다.” 설문조사 결과, 많은 한국인들은 여전히 중국과의 안보협력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미국 중심의 안보협력 체제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9.
Ⅲ . 중국의 대외전략과 한반도
그러나 중국이 제시하는 신형 대국관계는 미국과의 협력과 신뢰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다. 26_중국의 신대국관계에 대한 미국의 대응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Ⅶ나. 주변국 외교
주요 쟁점과 한국의 대중 통일외교 전략
그러나 지금까지의 분석을 보면 중국의 입장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이는 미국을 억제하고 우려를 완화시키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47 그러나 한국이 AIIB 가입을 결정하기 전에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이제 한국의 AIIB 참여에 대한 찬반이 갈리게 되면서 한국의 AIIB 참여 결정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50.
Ⅳ . 일본의 대외전략과 한반도
Ⅶ1. 일본의 대외전략과 대북전략
주요 쟁점과 한국의 대일 통일외교 전략
일본이 통일한국의 핵무장을 우려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한국은 통일한국의 비핵무장과 관련해 대일 신뢰외교를 전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일 통일협력이라는 일본의 바람직한 미래 비전.
Ⅴ . 러시아의 대외전략과 한반도
Ⅶ1. 러시아의 대외전략과 대북전략
주요 쟁점과 한국의 대러 통일외교 전략
러시아는 한반도에서 한국이 주도하는 평화적 집회가 가능하다고 믿고 있으며, 이것이 21세기 러시아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극동 및 시베리아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2014년 7월 24일 러시아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한반도에 사드(THAAD)가 배치된다면 이는 한국의 미국 MD 체제 참여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필연적으로 한미 군비경쟁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동북아 및 지역 안정에 해를 끼친다.94 한국과 주한미군은 북한의 미사일에 대해 방어할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별로 수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이다. 현재 한반도를 통과하는 가스관 건설사업과 전력망 건설사업은 중단됐지만, 철도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다시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러시아는 믿고 있다.97.
Ⅵ . 한반도 통일 편익과 우려
아·태지역 군사·안보적 세력균형의 관점에서
아·태지역 군사·안보적 세력균형의 관점에서 본 한반도 분단 비용과 통일편익
반면 중국은 미국을 배제하고 동아시아 국가만 참여하는 제한적인 다자주의를 선호했으나 최근에는 '신아시아'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다자주의는 기존 동맹이나 상당한 수준의 안보협력을 맺은 국가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향이 강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이를 주도하고 있다.103 따라서 중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소규모 다자협력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전선을 구축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다양한 소규모 다자 자문기구에서 미국의 동맹국은 미국의 이익을 대표하고, 중국은 북한의 이익을 대표한다고 믿고 양측이 서로를 의심하고 있기 때문이다.104.
Ⅶ3. 한국주도 통일에 대한 세력균형 차원에서의 우려와
군사 동맹은 일반적으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만들어집니다. 즉, 미국이 주도하는 동맹체제는 중국의 부상으로 인한 잠재적인 위협을 헤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북한의 붕괴로 인해 통일된 한미동맹이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Ⅶ나. 통일한국이 안보적으로 중국에 경도?
통일한국은 안보를 중국에 의존한다. 그러나 통일한국은 중국보다 미국을 더 바람직한 동맹으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게다가 미국은 지리적으로 지역적 균형을 이루고 있는 반면, 중국은 통일된 한국과 국경을 공유하고 있다.
Ⅶ4. 친화적 세력균형으로의 공진
Ⅶ . 한반도 통일과 아·태지역 경제협력
Ⅶ1. 한반도 통일과 아·태지역 경제협력
아·태지역 경제협력의 현황
접근 가능한 물리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경제 협력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 생산성과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112. 즉, TPP의 근간이 되는 경쟁자유화 논리에 따라 TPP의 부상에 불편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TPP에 반대하는 자유무역협정을 맺기 시작한 것이다. 즉, 중국의 FTAAP 제안은 이전보다 지역적으로 더 크고 통합적인 경제통합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TPP의 정치적 추진력을 약화시키고 향후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통합에 있어서 미국의 리더십을 희석시키려는 전략적 시도라는 것이다. 하나. TPP: 의도적인 것 같습니다.
아·태지역 경제협력의 관점에서 본 한반도 통일의 비용과 편익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협력의 관점에서 본 한반도 통일의 비용과 편익. 이러한 관점에서 한반도 통일 이후 동북아의 경제발전을 살펴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협력과 한반도 통일외교의 과제.
Ⅶ4. 아·태지역 경제협력과 한반도 통일외교의 과제
- 통일외교 전략의 시사점
- 단행본
- 논문
- 기타자료
한반도가 통일되면 중장기적으로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의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지역협력 모델이 필요할 것이다. 본 장에서는 한반도 통일의 비용과 편익을 동북아 경제협력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미래 통일외교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외정책과 한국의 대북전략과 통일외교.
동북아 4국의 대외전략 및 대북전략과 한국 의
동북아 4개국과 한국의 대외전략과 대북전략.
통일외교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