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연구"

Copied!
281
0
0

Teks penuh

주관연구기관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안전연구센터.

연구 목적과 배경

2 해양구조물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기획 및 연구.

연구 사업의 필요성

목표 : 국가차원의 “해양구조 능력 확충”

분야별 연구 중점

심해 잠수 기술 확보 및 향상을 위한 연구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심해 잠수사 양성 기반 구축을 위한 기획 및 연구

연구개발 추진체계

해양수산부 일반제안발표(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구조훈련원(한국잠수산업연구원) 설립 및 운영 고시.

조사 목적

국내 유관기관 실증조사 결과(종합)

해외 유관기관 방문 및 개요

국가명 기관명 주요 업무 수익 구조 비상시. 상해 한국해양안전청과 유사

영국 고압연구원(NHC)

고압 훈련 기관 시험 평가 기관 컨설팅 기관 R&D 다이버 ​​응급 기관. DIVEX(R&D Lab)는 NHC 건물에 있지만 JFD(James Fisher and Sons plc)의 부설 연구소로 별도로 운영되었습니다.

프랑스 잠수전문연구원(INPP)

미 해군 잠수·구난 교육훈련센터(NDSTC)

미 해군 과학실험잠수연구원(NEDU)

중국 해난구조국

중국 상하이 살베지

중국 상하이 잠수공장 및 Wuhu 공장

중국 광저우 살베지

중국 잠수학교(中國潛水學校)

제1절 과거 해양사고 관련 국가적 요구 분석. 과거 해양사고 관련 국가수요분석(종합)

해양사고의 정의 및 종류

화물선 : 일반화물운반선, 컨테이너선, 석탄운반선, 자동차운반선, 냉장·냉동운반선 등 유조선: 위험물 운반선, LPG 운반선, 케미칼 운반선, 정제유 운반선, 에틸렌 운반선 등

해상사고 발생 현황 분석

어선 및 민간자율구조대의 해상사고 발생시 대책은 전체 대책에 대해 각각 6%, 4% 기여율을 보이고 있다. 총해경 어선 민간자율구조단 자율주행 / 기타.

[표  3-2]  구조기관별  해상조난사고  조치  현황(구조불능  제외)
[표 3-2] 구조기관별 해상조난사고 조치 현황(구조불능 제외)

해양 사고의 원인 충돌 충돌 접지 극 전복 화재. 해양사고의 원인은 항해 부주의, 정비 및 관리 소홀 등 인위적 원인과 악천후 등 자연적 원인, 기타 원인으로 구분된다.

[그림  3-1]  연도  별  해양사고  횟수와  인명피해(실종포함)  현황
[그림 3-1] 연도 별 해양사고 횟수와 인명피해(실종포함) 현황

해상사고 피해 현황 분석

대규모 해양재난이 발생하면 사회문제로 확산되어 선박을 통한 물류 및 인력수송을 기피하는 등 사회적, 경제적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해양사고 발생 시 신속한 구조활동을 통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림  3-5]  세월호  관련  사회적  이슈관련  사진
[그림 3-5] 세월호 관련 사회적 이슈관련 사진

대형 해상사고 대응 사례 분석

정부가 여객선 침몰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발족했다. 중국 당국은 조사 과정에서 실종자 가족의 현장 접근을 막고 언론을 통제해 사고의 장기적 후과와 세간의 주목을 막았다.

해상사고의 정도에 따라 배치할 구조·구조인력의 범위도 달라진다. 해양사고에 지속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구조 및 구조인력의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 유관기관의 잠수인력 교육훈련 실태(종합)

국내외 실증연구 결과와 관련한 국가적 니즈 분석 IMCA/ADCI 회원학교 수준의 신기술 도입이 필요하며, 비상 및 평시 전문인력 양성/관리를 위한 해양구조훈련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해외유관기관의 잠수인력 교육훈련 실태(종합)

해양수산부 산하기관 잠수관련 R&D 현황

해양구조물연구센터를 건립하면 잠수산업과 해양산업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유사과제 조사 결과 해양구조 인적기반 구축에 대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8]  NTIS  검색  결과  산하기관  유사과제  키워드별  비율 2)  연계  가능성
[그림 3-8] NTIS 검색 결과 산하기관 유사과제 키워드별 비율 2) 연계 가능성

국민안전처 산하기관 R&D 현황

향후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 이후 기존 연구와 연계하여 연구개발 연구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해양구조물연구센터 운영으로 선진국의 기존 장비를 활용한 신규 장비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도 착실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연구동향 및 영역별 실태 조사

심해 환경 연구는 심해 잠수 및 인양 및 인양 산업과 관련된 연구의 핵심 분야이지만 주로 침몰한 유조선에서 유류 잔사를 회수하는 연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잠수교육에 대한 교과서와 연구개발에 비해 심해잠수인력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흡하여 장기적인 교육체계와 인력양성기관이 필요하다.

[그림  3-10]  연도별  국내  연구현황  분석그래프
[그림 3-10] 연도별 국내 연구현황 분석그래프

개념 설계 방향과 역할 및 기능

해양안전처 해양안전, 인양, 인양과학기술을 지원한다. 조건부 명명) 해양 구조물 연구 센터의 개념 설계(초안).

[그림  4-3]정부부처와의  연계성  구성
[그림 4-3]정부부처와의 연계성 구성

개념 설계 방향

운영체계 : 정부출연기관법 또는 대통령특별법에 따른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로 약칭. 설립 주체는 기업의 출자금을 통해 법인 설립을 지원하고 법인의 이사장이 되어 연구소를 운영·지휘·감독한다.

조직편성 및 인력구성

9팀 구성(해양재난안전기획팀, 기술팀, 운영팀, 잠수장비개발팀, 구조잠수부개발팀, 잠수시스템개발팀, 수중산업기술연구분석팀, 연구개발팀, 대외협력팀) . 2) 해양사고/안전과. 역할 심해잠수장비개발, 잠수시스템개발 및 R&D 연구과제 세부구성 2팀(잠수장비개발팀, 잠수시스템개발팀) 4) 수중산업학부.

[그림  4-4]  해양구조연구센터  운영조직  계획안
[그림 4-4] 해양구조연구센터 운영조직 계획안

해양안전 R&D 연구를 위한 중점과제(예방-대비-대응-복구)

연도별 R&D 수행 계획

연도별 연구 사업 규모

설립 예산 및 운영비

출처: 1과제 해군구조연구센터 건립 및 운영계획. 가칭)해군구조연구센터 타당성조사.

[표  4-6]  인건비  산정
[표 4-6] 인건비 산정

의견조사 종합

전문가 및 여론조사 결과 해상구조와 관련된 기술수준, 전문인력, 제도적 제도 및 법제도 등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환경이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구조연구센터의 도입은 국내 심해구조 관련 기술개발과 해양구조와 관련된 국내 제반 여건에 대한 전문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에서 전문가 및 국민의 의견이 합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경제적 타당성 분석

운영 비용 증가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적 분석. 따라서 해양구조물 연구센터의 경제성 분석에서는 표준안 대비 운영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하고자 한다.

정책적 타당성 분석

따라서 해양구조물 연구센터 건립에 대한 사업추진단의 의지와 선호도는 매우 높다. 해양구조연구센터 운영을 위한 인력계획으로 해양안전기술부, 심해잠수부, 수중산업기술부 등 총 25명을 신설했다.

[표  4-12]  해양수산부  2016년  예산현황
[표 4-12] 해양수산부 2016년 예산현황

종합분석

AHP 대응 결과 해양구조물연구센터 건립·운영을 위한 사업 추진 여부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한 평가자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Evaluator Discrepancy Index 프로젝트 수행 및 비이행 평가 결과.

[표  4-23]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  측정  결과
[표 4-23]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 측정 결과

목적 및 개요

고압(Hyperbaric) 기술 산업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국가고압환경인증기관입니다. IMCA/ADCI 회원교 인증발급 및 기술인력단 제도 운영

[그림 5-1]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포트폴리오 사업 개념도
[그림 5-1]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포트폴리오 사업 개념도

운용 주체

독립적인 공공기관으로서 수익성을 위해서는 국가의 지원이 필요하다. 관련 전문 조직을 활성화하면 기업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잠수인력양성부 : 심해잠수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을 담당하고, 심해잠수사 자격증 취득을 수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IMCA/ADCI 국제 자격증을 소지한 심해잠수사 교육훈련을 위한 도입과 포트폴리오 수익사업의 수행을 위한 센터의 고압시스템 규모 및 형상설계를 산정하는데 있다.

[표  5-1]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편성  기능  및  인원  소요
[표 5-1]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편성 기능 및 인원 소요

Hyperbaric 시스템 및 장비설비규모(안)

⑦ DMT(Diving Medical Technician) 자격증 과정. ⑧ 다이버 메딕 테크니션 리프레셔(DMTR) 자격증 코스.

[그림  5-4]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조감도  및  형상  설계
[그림 5-4]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조감도 및 형상 설계

목적과 개요

초기 시설 투자 예산 및 연간 운영 예산 규모(안). 가) 해양구조훈련원의 설립·운영을 위한 초기 시설투자예산 및 연간 운영예산의 규모를 산정·계산하는 목적.

초기 설비투자 예산 규모

가칭) 해양구조훈련원 건립 및 운영에 소요되는 초기 시설투자예산과 준공 시 소요되는 연간 운영예산을 산정하여 산정하였다. 본 사업의 재정적 타당성을 검증한 피디엠코리아가 제출한 초기 센터 건립을 위한 시설투자예산을 산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간 운영예산 규모(초기 설비투자 이후)

연구센터 운영비와 연구센터 운영 중 발생하는 연구센터 시설·장비 관리비로 구성된다. 운영관리비는 기본운영비와 시설관리위탁비로 구분된다.

센터의 운영예산과 손익 분기점 분석

명칭 : ‘(가칭)국립고압기술훈련원(NHTC)’ 설립·운영

해양구조훈련원 건립을 위한 사업위치는 구체적인 부지계획사업계획을 제시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화해를 통해 사업을 지속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표  5-6]  해양구조훈련센터  경제성  분석  결과
[표 5-6] 해양구조훈련센터 경제성 분석 결과

재무적 타당성 분석

해군구조훈련원 운영을 통한 연간 판매계획은 2차 과제 연구기관인 한국잠수산업연구원에서 추정한 결과를 활용해 타당성 분석을 진행했다. 인증업 580 다이버 자격인증 및 자격증 발급업

종합분석

해양구조훈련소 건립 및 운영에 대한 사업수행 또는 미수행 평가점수에 대한 AHP 대응결과에 대한 심사위원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Inconsistency Index Reviewer 프로젝트 실행 프로젝트가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표  5-26]  해양  기여도의  제3계층  가중치  측정  결과
[표 5-26] 해양 기여도의 제3계층 가중치 측정 결과

중장기 단계별 계획

평시에는 전문 산업 잠수사를 양성 및 관리하고 비상시에는 즉각 대응하는 기관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부 정책을 지원하는 전담 기관입니다.

[그림  6-1]  해양구조연구센터  조직  구성(안)
[그림 6-1] 해양구조연구센터 조직 구성(안)

현재 해양구조 시스템 고찰

해군구조대는 인력, 장비, 훈련 등 해양 구조 및 구조 전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조직이다. 해군구조대는 인력, 장비, 훈련 등 해양구조 및 구조 전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조직으로 군의 특수성으로 인해 해상작전 및 국가재난 시 활용된다.

[그림  6-3]  해양  구조·구난  관련  조직 다.  장비  측면(Product  Area)
[그림 6-3] 해양 구조·구난 관련 조직 다. 장비 측면(Product Area)

현재 해양구조 시스템의 취약점 분석

심해구조 및 구조에 필요한 특수장비는 국가적 예산을 투입해 갖춰야 한다. 심해 인양 및 구조는 인적 자원 및 장비와 함께 전문 기술 및 경험 구축이 필요합니다.

현재 해양구조 시스템의 개선 방향

이후 한국의 재난관리 접근은 통합관리의 관점에서 대외적으로 접근하였다고 할 수 있다. 모든 재난에 대한 관리 책임과 부담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림  6-5]  도출된  개선  분야
[그림 6-5] 도출된 개선 분야

기술적 측면에서 잠수산업 수요와 미래 Needs

2단계 교육 및 관리체계는 수심 100m에서 평시에도 수중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SSDS(Surface Supply Diving System) 자격을 갖춘 상업용 잠수체계의 보편화이다. 3차 관리체계는 동해안, 대륙붕 및 EEZ 해역을 대상으로 1차, 2차 잠수심도를 포함한 포화잠수시스템의 전문가를 관리해야 한다. 해양산업과 해양산업(Oil & Gas) 해양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합니다.

산업적 측면에서의 잠수산업 수요와 미래 Needs

궁극적으로 우리는 해저를 포함한 해양 영토 주권과 해저 개발의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수중잠수산업 현황

일반적으로 산업 다이빙에서 다이버의 역할은 육안 검사와 수중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SSDS 포화 잠수 ROV 수중 카메라 대형 렌치.

잠수산업 국·내외현황

수중산업분야 개발 가능성 아이템

산업잠수 Road map

세부과제 간 역할 분담

국가적 기반 강화 로드맵

해양구조와 관련된 핵심수단에 대한 종합적 기반 강화 Road map

결론 및 종합

실천적 강화 전략

Gambar

[그림  2-2]  프랑스  INPP  방문  및  관련  사진
[그림  2-4]  중국  해난구조국(CRS)  조직도
[그림  2-7]  광저우  살베지  방문  및  관련  사진
[그림  2-8]  광저우  잠수학교  방문  및  관련  사진
+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