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산업잠수의 종류(표 6-2)
∘ 산업잠수의 종류를 표 6-2에 정리하였으며,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항만잠수(harbour diving)
∘ 선박의 검사, 유지, 보수, 관리 그리고 항만 시설물 검사 등을 위해 항만 또는 그 주변 에서 진행되는 산업잠수 활동
2) 토목잠수(civil diving)
∘ 내수면, 근해 또는 해안 등에서 진행되는 토목공사 관련 잠수
∘ 방파제, 교량 기초, 댐, 발전소 시설물, 풍력 발전 시설 등 목적물에 따라 다양한 프로 젝트가 포함
3) 해양잠수(offshore diving)
∘ 일반적으로 유전의 석유나 가스시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산업잠수
∘ 해양의 인양이나 탐사 등의 프로젝트도 진행되지만 일반적으로 유전 및 가스전의 잠수 를 의미한다.
∘ 유전이 없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흔히 볼 수 없지만, 산유국들은 유전의 건설 및 유 지보수 관리를 위한 해저 프로젝트에 많은 자본과 기술을 투입하고 있다.
∘ 최근에는 친환경 에너지 산업의 발전으로 풍력과 조력 발전시설 등의 건설이 각광을 받으면서 이에 따른 산업잠수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업종 활용분야 적용분야
항만잠수 선박의 검사, 유지, 보수, 관리 등 항만시설물 검사 등 토목잠수 내수면, 근해 또는 해안에서
진행되는 토목공사
방파제, 교량 기초, 댐, 발전소 시설물, 풍력발전 시설 등 해양잠수
해양플랜트
침몰선박인양
침몰선박 유류제거 (HNS15) 관리 등)
유전의 석유나 가스시설 점검
해양 탐사(수중촬영 등) [표 6-2] 산업잠수 업종별 활용 및 적용 분야
14) 임창용 : 산업잠수사 (http://www.SCUBAnet.kr/article/view.php?category=&article=518&page=1) 15) 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위험‧유해물질(화학물질)
170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4) 산업잠수 업종별 잠수사 역할
∘ 일반적으로 산업잠수에서 잠수사의 역할은 수중에서 육안 검사 및 수중 촬영 등이 주 요 업무 이다. 그러나 해양플랜트 등에서는 수중 용접, 바파계 검사, 자켓 등에 연결선 설치, 수중에서 구조물 위치 확인 등의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표 6-3).
업종 적용분야 잠수사 역할 잠수장비 잠수수심
항만잠수
선박의 검사 선박 육안 검사 및 촬영 SCUBA
수중카메라 10m 이내 선박의 유지 선박 육안 검사 및 촬영 SCUBA
수중카메라 10m 이내 선박의 보수 선박 파공 부분 보수 SCUBA
용접 등 10m 이내 선박의 관리 선박 육안 검사 및 촬영 SCUBA
수중카메라 10m 이내 항만시설물검사 항만 시설물 검사 및 촬영 SCUBA
수중카메라 20m 이내
토목잠수
방파제 공사 테트라포트 수중 위치 확인 테트라포트 이동로프 수중 제거
SCUBA
수중카메라 20m 이내 교량 기초 공사 교량 수중 위치확인
교량 설치시 수중 촬영
SCUBA
수중카메라 20m 이내
댐 건설 수중 촬영 SCUBA
수중카메라 20m 이내
발전소 시설물 수중 촬영 SCUBA
수중카메라 20m 이내 풍력발전 시설 풍력발전 지지대 수중 위치확인
수중 촬영
SCUBA
수중카메라 20m 이내
해양잠수
해양플랜트
해양플랜트 구조물 위치확인 구조물 설치(수중 조립 등) 수중 촬영
비파계 검사
자켓 등에 연결선 설치
SSDS 포화잠수 ROV 수중카메라 대형스패너
200m 이상
침몰선박인양 선박 인양줄 설치 수중 절단 및 용접
SCUBA SSDS 포화잠수 수중절단기 수중용접기
40m 이내 100m 이내 200m 이상
침몰선박 유류제거 파공 봉쇄
유류제거 연결 호스 설치
SCUBA SSDS 포화잠수 파공 봉쇄 연결 호스
40m 이내 100m 이내 200m 이상 [표 6-3] 산업잠수 업종별 잠수사 역할, 잠수장비 및 잠수가능 수심
제6장 중장기 로드맵 설정 171
∘ 해저 웰(Subsea Well)의 작업을 위해서는 잠수부를 고용한다. 기본적인 해저 웰 (Subsea Well)은 머드라인(Mudline) 부유 시스템 상부에 부착된 크리스마스 트리를 보 조하기 위해 단순히 잠수부를 고용한다. 또한 잠수부는 웰 세척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흐름선 및 제어 시스템을 연결하는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16).
∘ 그러나 현재 해양플랜트(수중분야)는 안전과 운용상의 문제로 장비(ROV: Remotely Operated Vehicle; 원격조정 무인 잠수장치) 등을 사용하고 있다.
∘ ROV는 1850년 8월 영국해협에 설치된 해저케이블 손상을 계기로 케이블을 해저에 묻 을 수 있는 장비의 개발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1930년대 말에 Bottom Crawling/
Towed Vehicle의 기본적인 형태가 등장하고, 1960년대 초의 상당 한 발전 이후 1975 년 경부터 해양유전업계의 발전과 함께 실용화되어, 다양한 수중작업이 가능하였다.17)
∘ 현재 우리나라 산업잠수에서는 ROV를 충분히 활용치 못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과감한 투자와 기술 축적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ROV에 대하여 잠수사에 앞서 모든 수중작업 을 가능하게 하는 만물 상자로 이해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관련 인원의 양성이나 장비의 보급과 기술이전이 미흡한 실정이다.
∘ ROV는 아래와 같이 잠수사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다.
· 잠수사의 위해 환경 노출을 최소화 하거나 대신
· 안전하고도 효율적인 수중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잠수사의 수중 체류시간을 감소
· 위험, 유해 환경에서의 작업 (원자력 구조물, 오염지구 등)
· 잠수사의 잠수 불가능 수심에서의 작업
∘ 해양에서 수행하는 작업이 장비로 마무리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잠수부의 안전이 보장되는 환경에서는 잠수부를 활용한 마무리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6) 김덕기, 2012. Subsea Production System에 대한 고찰, BSNAK, Vol. 49, No. 1. pp53-57 17) 수중공사업협의회 홈페이지 자료: http://www.komcc.or.kr/jamsu/jamsu2.htm#i
172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나. 산업잠수의 발전 및 협회의 발생
∘ 세계 대전들을 거치면서 각국의 해군들이 잠수 및 수중 작전을 위해 장비를 개발하고 군인들을 양성하면서 잠수에 대한 기술 빛 장비들이 발전하였으며, 경쟁적으로 더 깊이 더 오래 잠수할 수 있는 이론, 장비 및 인력들을 양성하였다.
∘ 이러한 잠수 기술은 이후 유럽 북해, 미국 멕시코 만 등 거대 정유회사들의 유전 개발 과 함께 안전의 개념을 포함한 산업잠수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 또한 프랑스의 자크 이브 쿠스토 등 선구자들의 실험적인 연구 활동을 거치면서 심해 잠수 및 포화잠수 등의 개념들이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 이런 산업잠수의 규칙들은 시장을 공유하는 지역에서 통용되는 규칙 등으로 발전하였 고, 국제 협약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
∘ 구체적인 자체 규정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거대한 산유국이 밀집한 중동 국가들이 이 러한 국제 협약을 시장 규정으로 도입하였다.
∘ 거대 정유 회사들이 중동, 극동, 아프리카 등 에너지 산업 관련 규정이 없던 시장으로 들어오면서 보유하고 있던 높은 수준의 산업잠수 규격들을 적용하여 시장을 점유하였다.
∘ 시간이 흐르고 이러한 규약들은 산유국들을 중심으로 산업잠수 시장에 자리 잡게 되었 다.
∘ 현재 이러한 규약을 대표하는 협회로 IMCA(International Marine Contractors Association) 및 ADCI(Association of Diving Contractors International)가 있다.
라. 국외협회(IMCA와 ADCI) 현황
1) IMCA (International Marine Contractors Association)
∘ 영국 연방국을 중심으로 한 중동, 극동 등의 시장에서는 IMCA가 강세를 보인다.
∘ IMCA 쪽 시장에서는 만나는 대부분의 산업잠수사들은 영국 및 유럽국가, 호주, 캐나 다 그리고 남아공 등의 산업잠수 교육기관에서 자격을 취득한 잠수사들이며, IMCA의 회원사로 그 규정들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있다.
∘ IMCA는 해양 산업관련 국제협회이며, 해양 산업에 관한 많은 규정들을 두고 있지만 잠수자체를 훈련하는 기관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다.
제6장 중장기 로드맵 설정 173
∘ 영 연방 국가들 및 일부 국가들이 가지고 있는 산업잠수 교육 및 관련 교육들을 인증 하고 있다.
∘ 예를 들면 영국의 해양 공기 잠수사(HSE Offshore Top-Up: Part1)와 호주, 캐나다, 프랑스, 남아공 등 각 국가들이 가진 같은 레벨의 자격들을 IMCA에서 통합적으로 인증 하고 있다.
∘ 이러한 구분 및 인증은 포화잠수 자격증 및 각 레벨의 감독관 자격에도 적용되며, IMCA를 기반으로 한 국제 산업 잠수 현장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지고 적용되고 있는 규 정이며, 교육 인증 및 각 국가 인증 자격에 대한 정보 그리고 산업잠수 전반에 관한 규 정들을 홈페이지(www.imca-int.com)에서 찾아 볼 수 있다.
∘ IMCA의 영향을 받는 산업잠수 현장의 대표적인 지역으로 중동 또는 극동의 석유 시 장 등이 있다.
∘ 이 시장 주변 산유국들은 해양 및 산업잠수에서 IMCA의 규정을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 시장에서 열리는 산업잠수 현장의 산업 잠수사들은 각국에서 서로 다른 훈련 을 받고 각각 고용 되지만 IMCA 규정에 의해서 일정한 레벨로 분류된다. (Offshore Air Diver, Saturation Diver, Air Diving Supervisor, Saturation Diving Supervisor, Diver Medic, ALST, LST, Dive Tech, ROV Pilot, ROV Supervisor etc.)
∘ IMCA 회원 리스트
구분 총 회원 수
Contractor(도급계약) 448
Corresponding(협력사) 90
International Contractor(ICO)
(국제도급계약) 6
Mixed(혼합계약) 18
Supplier-Equipment & Services
(공급사-장비&서비스) 320 Supplier - Training & Personnel
(공급사-훈련&인력) 133
Temporary(임시회원) 6
합계 1,021
IMCA Member Listing as of 08-October-2014 from www.imca-int.com http://www.imca-int.com/media/152587/imca_memberslist.pdf
∘ IMCA 활동 지역
174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 아시아 태평양(Asia Pacific)
․ 중앙 및 북아메리카(Central and North America)
․ 유럽 및 아프리카(Europe and Africa)
․ 중동 및 인도(Middle East and India)
․ 남미(South America)
2) ADCI (Association of Diving Contractors International)
∘ 미국을 중심으로 한 멕시코만 그리고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ADCI가 강세이다.
∘ ADCI는 미국 시장에서 활동하는 회사들 및 현지 잠수사를 위한 산업 규격(ADC)이 국제화된 협회인데 미국 및 멕시코 만 등 인근 석유 시장에서는 그 영향력이 막강하다.
∘ 미국 내의 많은 교육기관 및 산업잠수 회사들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이 기관의 회 원으로서 그 규정을 따르는 곳이 많다.
∘ 기본적으로 교육 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훈련 프로그램들은 IMCA에서 인증하는 교육 기관들과 서로 비슷하다.
∘ ADCI의 차별화 된 점은 실무에서의 근무 형태 및 혼합기체 잠수 규정 그리고 상위 자 격으로의 승급방법 등에 있다.
∘ 실무에서의 근무형태를 살펴보면 미국의 회사들은 전통적으로 일정 기간의 보조사 (Tender) 생활을 거쳐서 잠수사로 승격하는 형식을 갖고 있으며, 이는 미국 산업잠수 시장만 갖고 있다.
∘ 잠수 한계에 대한 규정으로는 40m를 넘는 수심에서의 혼합기체 잠수를 인정하는 점이 IMCA와 다르다.
∘ IMCA에서는 40m 보다 깊은 수심에서의 잠수는 포화잠수의 방법으로 수행하게 되어있다.
∘ ADCI의 상위 자격 취득 규정을 살펴보면 교육 기관의 훈련 및 자격 취득 이후 회사의 고용 및 훈련 등을 통해 상위 자격을 취득 하게 되는데 회사 자체적으로 구성원의 상위 자격 취득을 신청하거나 개인이 자신의 경력을 증명해서 자격증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 를 둔 것도 IMCA와 다른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