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AHP 평가 개요 1) 평가대상
∘ 본 AHP 분석의 평가대상인 제1과제 해양구조연구센터는 개발 연면적 2,602㎡, 예상 사업비 12,495백만 원 규모로 계획되었다.
∘ 평가대상에 대한 경제성 분석 결과는 비용편익분석(BC) 1.429, 순현재가치(NPV) 64,516백만 원으로 분석되었다.
구분 주요사항
사업규모 ∙ 부지면적 5,000㎡ / 연면적 2,602㎡
총 사업비 ∙ 12,495백만원
경제성 분석 결과 ∙ 비용편익분석(BC) 1.429 / 순현재가치 64,516백만원 [표 4-15] 해양구조연구센터 개요
자료 : 경제성분석 결과 참고
2) 조사 대상 집단
∘ 전문성, 공공성 등을 바탕으로 해양구조 관련 전문가인 해군/해경/유관기관 전문가, 관 련 산업 및 협회 전문가, 관련 분야 교수 및 연구진으로 구성된 총 24명의 평가자를 대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 환류과정을 거치면서 응답 비일관도지수 0.15를 초과하는 평가자를 제외하여 총 9명 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평가를 실시하였다.
구분 총 평가자 유효샘플 비고(전공분야)
해군/해경/유관기관 8 2
국방부, 해군, 해안경비안전센터 등(북한학, 군사전략, 잠 수실무, 잠수과학기술, 국제협력안보 해사법학, 해양군사학 등)
관련산업 및 협회 7 3 선박해양플랜트 연구소 등(해사안전환경, 수산물리학, 정 치학, 외교학, 컴퓨터과학, 선박해양공학, 잠수실무) 관련분야 교수 3 1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등(수중고고학, 국가안보
정책, 해양잠수)
연구진 6 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해양물리, 잠수실무, 수중음향학, 안보과정)
합계 24 9
[표 4-16] 평가 조사 대상 집단 현황
주 : 외부 자문위원 대상 조사 실시
제4장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안) 93
나. 평가항목 가중치 산정 1) 제1계층 가중치
∘ 사전 가중치 범위 제시
· 경제성 분석 및 정책적 분석 등 제1계층의 가중치 산정은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기획재정부, 2014)에서 제시하는 사전 가중치 산정범위를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개방 형으로 설문
경제성 분석 정책적 분석
0.300 ~ 0.500 0.500 ~ 0.700 [표 4-17] 제1계층 사전 가중치 제시 범위
자료 : 기획재정부(2014). 2014년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R&D 정보화사업 기준 적용)
∘ 가중치 측정 결과
· 평가자 조사 결과 해양구조연구센터 타당성 조사를 위한 평가항목 중 제1계층 가중치 는 경제성 분석 0.367, 정책적 분석 0.633으로 정책적 분석 부문에 가중치를 우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제성 분석 정책적 분석
0.367 0.633
[표 4-18] 제1계층 가중치 측정 결과
주 : 비일관도지수 0.15 이하 샘플 9개 기준
2) 제2계층 가중치
∘ 정책적 분석의 하위계층 평가항목을 위해 9점 척도를 기본형으로 사용하여 각 항목별 로 쌍대비교를 실시
∘ 제2계층 가중치 평가 결과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가 0.558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해양기여도’ 0.317, ‘사업추진상 위험요인’ 0.125 순으로 조사되었다.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사업추진상 위험요인
해양 기여도
0.558 0.125 0.317
[표 4-19] 정책적 분석의 제2계층 가중치 측정 결과
주 : 비일관도지수 0.15 이하 샘플 9개 기준
94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3) 제3계층 가중치
∘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가중치
·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평가항목에서는 ‘사업추진의지’가 0.451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관련계획 및 정책방향 일치성’ 0.317, ‘사업 준비정도’ 0.232 순으로 조사되 었다.
사업추진의지 관련계획 및
정책방향 일치성 사업 준비정도
0.451 0.317 0.232
[표 4-20]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의 제3계층 가중치 측정 결과
주 : 비일관도지수 0.15 이하 샘플 9개 기준
∘ 사업추진상 위험요인 가중치
· 사업추진상 위험요인 평가항목에서는 ‘재원조달 가능성’이 0.392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기술적 타당성’ 0.3336, ‘환경성 평가’ 0.272 순으로 조사되었다.
· 사업대상지가 확정되지 않은 조사대상의 특성을 고려 시 사업추진상 위험요인 평가항 목의 하위계층에 대한 가중치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재원조달 가능성 환경성 평가 기술적 타당성
0.392 0.272 0.336
[표 4-21] 사업추진상 위험요인의 제3계층 가중치 측정 결과
주 : 비일관도지수 0.15 이하 샘플 9개 기준
∘ 해양 기여도 가중치
· 해양 기여도인 평가항목에서는 ‘국가 해양산업 발전기여’가 0.519로 조사되었으며,
‘국민 해양안전 인식 확산’은 0.481로 조사되어 두 가지 평가 항목 모두 유사한 정도로 중요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민 해양안전 인식 확산 국가 해양산업 발전기여
0.481 0.519
[표 4-22] 해양 기여도의 제3계층 가중치 측정 결과
주 : 비일관도지수 0.15 이하 샘플 9개 기준
제4장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안) 95
4)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 종합
∘ 해양구조연구센터에 대한 AHP 응답결과 평가자들이 각 평가항목에 대하여 평가한 가 중치는 다음과 같다.
평가항목 가중치 (Weight)
경제성 분석 0.367
정책적 분석 0.633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0.558
사업추진의지 0.451
관련계획 및 정책방향 일치성 0.317
사업 준비정도 0.232
사업추진상 위험요인 0.125
재원조달 가능성 0.392
환경성 평가 0.272
기술적 타당성 0.336
해양 기여도 0.317
국민 해양안전 인식 확산 0.481
국가 해양산업 발전기여도 0.519
[표 4-23]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 측정 결과
주 : 비일관도지수 0.15 이하 샘플 9개 기준
96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다. 대안간 선호도 및 종합점수 산정 1) 경제성 분석 평가 결과
∘ 경제성 분석 결과와 같이 계량화 되어 나온 결과의 경우 한국개발연구원(2009)의 예비타 당성조사 운영을 위한 일반지침에 준하여 평가자의 응답결과와 상관없이 표준점수 전환식을 통하여 일관된 결과치를 반영하였다.
∘ 경제성 분석 결과 비용편익 비율(BC)은 1.429이었으므로, AHP 표준점수 2.824로 환 산하여 종합 점수에 적용하였다.
구분 비용편익비율 AHP 표준점수
경제성 분석 1.429 2.824
[표 4-24] 경제성 분석 결과 표준점수 전환(전체)
주 : BC비율 표준점수 전환 = 5.11532 x ln(BC비율) + 1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0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2) AHP 평가결과 종합
∘ AHP 응답결과 평가자들이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에 대한 사업시행 또는 미시 행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자 비일관도 지수 사업시행 사업미시행 평가결과
평가자 3 0.054 0.814 0.186 사업시행
평가자 5 0.118 0.463 0.537 사업 미시행
평가자 7 0.059 0.780 0.220 사업시행
평가자 9 0.103 0.808 0.192 사업시행
평가자 12 0.093 0.802 0.198 사업시행
평가자 15 0.000 0.698 0.302 사업시행
평가자 17 0.000 0.684 0.316 사업시행
평가자 20 0.000 0.821 0.179 사업시행
평가자 23 0.000 0.718 0.282 사업시행
[표 4-25] 경제성 분석 결과 표준점수 전환(평가자 별)
주 : 비일관도지수 0.15 이하 샘플 9개 기준
제4장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안) 97
라. 종합판단 1) 판단기준
∘ AHP 분석을 통해 도출된 종합평점을 근거로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계획에 대한 ‘사 업시행’과 ‘사업 미시행’대안 간 최종적 결론을 도출하였다.
∘ 종합평점 결과 평가자의 의견이 일치하는 경우 AHP 평점이 0.50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라 평가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종합의견을 도출하며,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 나, ‘사업시행’과 ‘사업 미시행’ 대안 간 차이가 미세할 경우 다음의 평가지표에 따라 정 책적 제언 결론을 도출하였다.
종합평점
시행:미시행 AHP < 0.45 0.45 ≤ AHP ≤ 0.50
0.50 ≤ AHP ≤
0.55 0.55 ≤ AHP
100% : 0% - - 타당성 있음 타당성 있음
75% : 25% FeedBack 아주 신중 약간 신중 타당성 있음
50% : 50%
AHP<0.42 타당성 없음
AHP>0.42 약간 신중
신중 신중
AHP>0.58 타당성 있음
AHP<0.58 약간 신중 25% : 75% 타당성 없음 약간 신중 아주 신중 FeedBack
0% : 100% 타당성 없음 타당성 없음 - -
[표 4-26]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평점에 따른 결론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 ․ 보완 연구(제5판) 주 : 1) ‘시행 : 미시행’은 사업시행 평가자 수와 사업 미시행 평가자 수의 비율을 나타냄 2) AHP는 사업시행 대안의 AHP 종합점수를 나타냄
2) 종합평가
∘ 각 평가자들의 평가를 종합한 결과 평가자 9명 중 8명(88.9%)이 사업 시행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시행 평가점수는 0.732로 분석되었다.
∘ 분석결과를 평가기준 표와 비교 시 ‘타당성 있음’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계획은 사업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분 사업시행 사업 미시행 검토의견
의견일치도 8 1 일치도 88.9% = 타당성 있음
종합평점 0.732 0.268 AHP평점 0.732 = 타당성 있음 [표 4-27] AHP평가 종합
주 : 비일관도지수 0.15 이하 샘플 9개 기준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제1절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운영 목표와 방향 제2절 Hyperbaric 시스템 및 장비설비규모(안)
제3절 심해구조 교육훈련 및 Certification 프로그램(안) 제4절 Hyperbaric 고압환경의 해양안전·구조 사업 규모(안) 제5절 초기설비 투자예산 및 연간 운용예산 규모(안)
제6절 단기적 추진 강화 전략
제7절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타당성 조사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101 제1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