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수산부 산하기관 잠수관련 R&D 현황

해양수산부 수부 산하기관 고유사업 조사를 위하여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NTIS)에서 해 양구조, 해양산업, 잠수산업, 선박사고, 해양재난, 심해산업을 키워드로 조사하였다.

가. 키워드 : 해양구조관련 R&D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유사과제) 과제명 분석년도 분석년도

총 예산 과제당연평균 1

해양안전 구명을 위한 롤링저감구조 선 체형식 표류장비 및 Marine Equipment Design PLAT-FORM 기술개발

'15~'18 609 152

2 실시간 수중음향 영상화를 위한 송수신

시스템개발 '14~'19 250 42

3 해상사고 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Vehicle 장비 개발 '15~'16 154 77

나. 키워드 : 해양산업관련 R&D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유사과제) 과제명 분석년도 분석년도

총 예산 과제당연평균 1 미래 해양 산업 기술 개발 사업 '15 10,768 10,768

2 해양수산기술 지역 특성화 사업 '15 4,171 4,171

3 안전기능성 해양용 스마트방수복에 관

한 연구 '14~'17 51 17

4 동해권 실시간 원격 해양탐사를 위한

수중글라이더 운용시스템 개발 '14~'18 407 102

5 선체 수중검사 자동화를 위한 자율무인

시스템개발 '14~'18 180 45

6 알루미늄 경합금소재를 이용한 스틸소

재의 20% 경량화 해상용 헬리데크개발 '14~'16 458 229 7 음성분석을 통한 선박의 음주운항단속

시스템개발 '14~'16 50 25

8 무인시스템플랫폼기술개발 '14~'17 213 71

제3장 국가적 차원의 소요와 미래 Needs 분석 55

다. 키워드 : 잠수산업관련 R&D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유사과제) 과제명 분석년도 분석년도

총 예산

과제당연 평균 1 해양 SUBSEA용 RISERCLAMP용 체

결 장치 '15~'17 200 100

2 Moon Pool 시스템구조를 적용한 실내

다이버보트 개발 '15~'18 120 40

3 무인잠수정용 일체형 추진 장치 기술

개발 '13~'16 800 267

4 수중다이버용 웨어러블로봇 및 잠수지

원장비 기술 개발 기획 연구 '14~'15 74 37 5 하이브리드형 무인잠수정을 위한 제어

시스템 '13~'16 50 17

6 수중 활동자에 대한 안전관리기준제정

에 관한 연구 '15~'16 24 24

7 스쿠버다이버를 위한 센서 융복합 수

중 네비게이션 시스템 '14~'16 320 160

8 미래지향형 풀페이스(Fullface) 마스

크를 적용한 공기호흡기용 면체 개발 '11~'13 104 52

라. 키워드 : 선박사고관련 R&D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유사과제) 과제명 분석년도 분석년도

총 예산

과제당연 평균 1 해류조사를 위한 HF 해양레이더 개발 '15~'17 280 140 2 여객선의 잔존부력확보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15~'16 155 78

3 선박의 결함탐지 및 수리용 로봇 개발 '14~'15 49 49 4 쾌속조형기를 활용한 선박충돌방지시

스템, AISconverter 개발 '14~'15 19 19 5 제한 수역에서의 선박운항시뮬레이션

기술고도화 '12~'14 502 251

56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마. 키워드 : 해양재난관련 R&D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유사과제) 과제명 분석년도 분석년도

총 예산

과제당연 평균 1 HNS 대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대기

확산 예측 기술 개발 '15~'19 150 38

2 해저 침강 HNS 처리 기술 개발 '15~'19 40 10 3 HNS 탐지센서 및 무인이동체 기반

모니터링 기술 개발 '15~-19 230 58

4 해양 재난 통보 시스템 '14~'15 100 100

5 해양재난 수색구조체계 개선 방안 '14 40 40

6 해양재난대응 매뉴얼 작성을 위한 연

'14~'15 44 44

7 다관절 복합 이동 해저로봇 개발 '10~'16 2,003 334

바. 키워드 : 심해산업관련 R&D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유사과제) 과제명 분석년도 분석년도

총 예산

과제당연 평균 1 해양플랜트 Subsea 초고압 시험 인증

연계 협력체계 구축 사업 '11~'14 3,945 1315 2 극지용 Disconnect able Turret의 자

동잠수 System 핵심 기술 개발 '15 30 30 3 최대수심 100미터에 운용 가능한 통

합제어형 친환경 SPM 시스템 개발 '15~'18 2,420 807 4 무인정 원격조종을 위한 양방향 해양

무선중계 통신기술 개발 '16~'17 51 51

5 심해유·무인잠수정 기술 개발 및 운용

인프라 구축 - 기술개발 '13~'18 1,717 343

6 심해자원생산용 친환경 해양플랜트 '12~'18 200 33

7

심해자원생산용 해양플랜트 시장진출 을 위한 해저장비 및 URF설치용 3,000m급 심해설치공사 기술 개발

'12~'18 7,631 1271

8 수심3000m급 ROV Launch and

recovery System(LARS)개발 '15~'18 848 283

제3장 국가적 차원의 소요와 미래 Needs 분석 57

사. 차별성 및 연계 가능성 분석 1) 차별성 분석

∘ 연구사업 분석 결과 장비 개발 위주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그림 3-8).

∘ 해양구조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잠수산업 및 해양산업 등에 관한 연구 수행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된다.

∘ 유사과제 조사 결과 해양구조를 위한 인적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해양구조훈련센터를 설립하여 인적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수행이 시급함을 시사한 다.

해양구조, 3

해양산업, 8

잠수산업, 8 선박사고, 5

해양재난, 7

심해산업, 8

해양구조 해양산업 잠수산업 선박사고 해양재난 심해산업

[그림 3-8] NTIS 검색 결과 산하기관 유사과제 키워드별 비율 2) 연계 가능성

∘ 해양구조연구센터와 관련된 산하 기관의 R&D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 된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해양구조연구센터 및 해양구조훈련센터에서 사업화 추진하고자 하는 초고압 산업 (Hyperbaric System)과 연계된 연구과제는 다수 존재하나, 전문적인 단체에서 꾸준한

58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연구는 이루어지는 않고 있다.

∘ 해양구조와 관련된 장비 개발과 관련된 R&D과제도 다수 존재하며,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을 통한 R&D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 질 것으로 판단된다.

∘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와 향후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 이후에 연계하여 R&D 연구가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 또한, 해양구조연구센터를 운영을 통하여 기존의 선진국 장비를 사용하면서, 새로운 장비 개발 R&D가 꾸준히 이루어 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