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Hyperbaric 시스템 및 장비설비규모(안)

가. 100미터 이상 수심의 잠수모의훈련장(HDSS)

1) 상층부 구조물 : 챔버 3m×8m 3개 :생활챔버, 감압챔버, 이송챔버

2) 하층구조물 : 챔버 1개 3m×3m, 중앙통제실Console, Certification챔버작업실 등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111

나. 90미터 수심의 TUP 모의훈련장(TUP YDT: Yard Diving Tender)

∘ TUP는 이동식 모듈형 체계로 자동위치제어장비(DPII)가 설비된 선박 혹은 굴착기에 탑재 할 수 있다. N-Sea사가 제공하는 건설 지원 및 조사 장비와 볼트 축력기, 물 분사 기, 수중 절단기 및 모래 제거 장비 등에 적용 가능

∘ 분류기준 : Lloyd's Register(국제인증 등록 장비)

∘ 설계기준: IMCA D018/D023(3격실Lock) 및 IMCA D018/D024(Lock외 모든 부품)

∘ 잠수수심 : 10bar = 90 msw(실 해상)

∘ 시스템 무게 : 72 ton / 시스템 크기 : 14.1m × 3.5m

∘ 컨테이너 크기 : 20ft(화물규격 통일, 조종실, 장비실 등)

∘ 하부 구조물 : Diver Consol, Diver 감압챔버, 호흡기체실 및 분석기실 등

112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다. 100미터 수심의 표면공급잠수시스템(SSDS) 1) SSDS 부두훈련장(부두 수심 : 10미터 수심)

잠수사가 되기 위한 최초의 수중 훈련으로 약 70KG의 잠수장비와 납으로 제작된 특수 신발을 싣고 계단을 스스로 올라와야 다음 훈련과정을 받을 수 있음

Mk-37, Mk-27 이상 헬멧 운용과 PT검정을 통과하는 강인한 체력을 갖추어야 SSDS 훈련이 가능

2) SSDS 탱크 훈련장(15피트 수심)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113

3) SSDS 탱크 훈련장 하층 구조물(15피트 수심)

∘ 설비 : SSDS Console, 감압챔버, 호흡 기체 분석실, SSDS 장비 정비실 등

4) SSDS 탱크 모의 훈련장(Mixed Gas Diving 및 수중 용접/절단 훈련장)

114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라. 수심 20미터 모의훈련 풀장

∘ SCUBA 및 SSDS 장비의 수중 숙달훈련 목적과 각종 Salvage Simulation 훈련 목적 달성이 가 능하도록 바닥에 철판 빔을 설치하여 수심을 3단계(2미터, 10미터, 20미터)로 설비한다.

∘ SCUBA 및 SSDS 장비의 수중 숙달훈련장

∘ 각종 심해 Diving Simulation 훈련장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115

마. Diving & Salvage 교육훈련장 설비 및 규모 1) 부두 설비 Diving & Salvage 모의 훈련장

선체인양 : Air Lifting과 Crane Lifting 구조 기술로 침몰선체 인양 Simulation

116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2) Diving & Salvage Simulation 훈련장(세월호 교훈 모의 훈련장)

∘ 세월호 격실 진입 및 Salvage Simulation 훈련장

∘ 모의훈련장 : 극한 상황(강한 조류, 파고, 시정,) 모사와 격실 내 진입, 시신 수습, 선 체인양 시뮬레이션( Salvage Manual의 Lifting 기술 원리 훈련)

바. 잠수질환 의무실 및 R&D 연구실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117

사. 호흡기체 저장소

∘ 호흡기체는 공기(Air), 산소(O2), 헬륨(He), 질소(N), 수소(H)로 구분되며, 보관 취급 에 주의가 요구되므로 보관 용기 탱크를 그림에서 보듯이 색깔로 표시함

∘ 특히 공기압축이나 혼합기체(Mixed Gas)는 주변 공기환경이 표준규격에 충족되어야 하며 혼합기체의 산소분압율(%) 표시 의무화와 자동조절기를 시용함

∘ 다이버 호흡기체는 야외 공간에 별도의 Flask(산소, 헬륨, 질소, 압축공기, 자동조절 기)에 저장하여 저장 및 공급 시스템 설비함

아. 부대설비 및 지원 시설 분야

1) 강의실, 도서실 및 다목적 종합 강의실

118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2) 사무행정 및 분임토의실

3) 부대설비 및 복지후생 시설

∘ 본관 : 교수·직원용 사무실, 회의실, 심해잠수 및 해양사고 종합상황실, 휴게실, 역사 관, 국기게양대, 남·여화장실 등이 포함된 건물

∘ 정문시설 : 정문근무자 사무실, 화장실, 정문 자동 출입시스템 등이 갖춰진 시설

∘ 기숙사 : 훈육관 및 훈련 학생 전원 수용 가능한 규모

∘ 식당 : 교육생을 포함한 전 직원이 식사 가능한 규모 4) 다이버 체력단련 종합 훈련장

∘ 체력단련실 : 대심도 잠수 위해 체력단련이 필수이며, 언제든 사용할 수 있음

∘ 체력 검증 Test : PT 점검(턱걸이, 윗몸일으키기, 10마일 달리기 등) 5) 조감도 및 형상 설계

[그림 5-4]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조감도 및 형상 설계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119 제3절

교육훈련 과정 및 Certification 프로그램(안)

1. 목적 및 개요

가. 목적

현재와 미래 잠수인력 Needs에 적합한 해양구조 전문인력의 육성 및 관리 체계를 구축 하기 위하여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의 심해잠수구조 교육훈련과정 및 Certification 프 로그램 기획을 목적으로 하였다.

나. 개요

∘ Certification 프로그램은 현재 운용 중인 세계적인 권위의 미해군 Certification 제도와 IMCA/ADCI 기준의 HSE 교과과정 및 Certification 제도에 부합토록 상정하였다.

∘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의 Certification 프로그램은 다음 총 12개 과정으로 편성하고 과정별 교육훈련 목표와 교육훈련 과정은 세분화하였다.

① 수석잠수사(Master Diver) Certification교육훈련과정

② 잠수감독관(Supervisor)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③ 포화잠수사(Saturation Diver)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④ 1급잠수사(1st Class Diver)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⑤ 2급잠수사(2nd Class Diver)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⑥ SCUBA잠수사(SCUBA Diver)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⑦ 잠수의무사(DMT : Diver Medic Technician)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⑧ 잠수의무보조사(DMTR: Diver Medic Technician Refresher)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⑨ 생명안전지원사(LST: Life Support Technician)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 ROV조종사(ROV System Auditing & Assurance)

 수중용접사(Underwater welder)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 수중폭발물취급사(EOD: Explisive Ordinance Disposal) Certification 교육훈련과정

120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제4절

Hyperbaric 고압환경의 해양안전·구조 사업 규모(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