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내 연구동향 및 영역별 실태 조사

가. 국내 연구동향 분석 결과 1) 분야별 연구 동향

∘ 국내 연구동향을 연구영역별로 종합하면, 의료(25%), 기술(23%), 장비(22%), 안전 (15%), 입법(14%), 환경(2%) 순으로 나타난다(표 3-9).

∘ 연구보고서는 기술영역에서만 1건, 단행본은 기술영역, 장비영역에서 두드러지고, 학위 논문과 학술지논문은 의료영역에서 높은 비율의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 의료, 기술, 장비영역의 연구현황의 비율이 압도적이며, 안전, 입법영역이고, 심해에 대한 환경영역은 연구비율이 현저히 낮다(그림 3-9).

국내

연구동향 학위논문수 학술지

논문수 단행본수 연구

보고서수 합계 백분율

(%)

안전 2 16 0 0 18 15%

환경 0 2 0 0 2 2%

입법 4 12 1 0 17 14%

기술 6 11 9 1 27 23%

의료 16 12 2 0 30 25%

장비 4 12 10 0 26 22%

총계 32  65  22  1  120 100%

[표 3-9] 국내 연구동향 조사표 (영역별)

[그림 3-9] 국내 연구현황 분야별 분석그래프

9)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ttp://www.riss.kr/

60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2) 연도별 연구동향 변화 분석

∘ 그림 3-10은 연도별 국내 연구현황 분석 그래프이다. 본 그래프를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 1990년대 실시된 10년간의 연구는 1980년대까지의 연구보다 높다.

∘ 2000년대 실시된 연구는 1990년대 연구보다 높으며,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연구 는 2000년대 10년간의 연구보다 많으며, 이런 경향은 심해잠수 및 구조 관련 전 영역 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판단된다.

∘ 의료, 장비영역은 2000년대의 10년간에 비해 약간의 증가하였으며, 2010년대 5년 간의 연구추이는 감소하였다.

∘ 기술영역은 2010년대에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입법영역은 2000년대에 연구가 주춤했 으나 2010년대에 서서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환경영역은 1990년대와 2010년대의 연구비율이 현저히 낮으며, 안전영역은 2000년 대부터 연구가 활발해졌고, 2010년대 들어서는 연구비율이 높다.

[그림 3-10] 연도별 국내 연구현황 분석그래프

제3장 국가적 차원의 소요와 미래 Needs 분석 61

나. 종합분석 및 시사점

1) 안전, 입법, 기술 관련 교재 개발의 필요성

∘ 2000년대부터 안전영역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지만 그에 해당하는 단행본과 연구보고서의 비율은 낮으며, 보다 활발한 연구를 통한 안전관련 교재개발이 시급하며, 입법관련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점과 본 영역에서 학위논문과 단행본, 연구보 고서 수가 낮다는 것은 심해 해양 구조관련 규정이 보다 명확히 전달 가능한 교재 개 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기술영역 II의 잠수 인력 분야는 전체 기술영역에서 낮 은 비율을 차지한다. 심해 잠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매뉴얼 및 교재 개발이 보다 활 발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2) 심해 환경 분야 연구의 필요성

∘ 심해 환경에 대한 연구는 심해잠수 및 구조․구난산업 관련 연구의 기본이 되는 영역 임에도 침몰유조선에 대한 잔유 회수를 위한 연구위주로 이루어져있다.

3) 입법 영역에 대한 연구 및 인지도의 필요성

∘ 입법영역의 국내 연구 현황은 전 영역 중 하위권에 속하며, 이러한 연구의 미비는 해 난사고 법 규제, 안전에 대한 관심도와 인지도가 미흡하다는 것을 말하며, 이는 곧 해 난사고의 재발가능성을 의미한다.

4) 전문 심해 잠수인력 양성 제도의 필요성

∘ 스쿠버 인력양성에 대한 교재 및 연구개발에 비해 심해 잠수 인력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흡하고, 인력양성을 위한 장기적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5) 정부지원의 필요성

∘ 무인 잠수정에 대한 국내의 활발한 연구를 기반으로 한 정부의 재정적 지원뿐만 아 니라 국내 연구가 미흡한 SAT 잠수 관련 챔버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 전폭적 인 정부지원은 심해 무인 잠수정의 장비기술개발이 필요하다.

6) 해양 사고에 대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장비개발 및 연구의 필요성

∘ 장비분야에 대한 연구내용은 대부분 무인잠수정에 관한 것이며, 그 외에도 드론 등과 같이, 해양 사고 시 빠른 정보전달 및 빠른 인명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비개발 연 구에도 노력이 필요하다.

제4장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안)

제1절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운영 목표와 방향 제2절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개념 설계(안)

제3절 해양안전구조 R&D 사업 규모(안)

제4절 초기 설비투자 예산 및 연간 운용예산 규모(안)

제5절 (가칭)해양구조연굿네터 타당성 조사

제4장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안) 65 제1절

설립 및 운영 목표와 개념설계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