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개념 설계 방향
∘ 심해잠수 분야의 장비, 운용체제, 인력에 대한 지속적이고 끊임없는 연구개발(R&D)을 통한 심해잠수 및 구조․구난 기술에 대한 원천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예측 불가능한 해 양재난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유사시 사고 발생에 대비해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체 계를 구축한다(그림 4-2).
∘ 한편, 사고 후 최단시간 내 복구 할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을 마련하며, 미래 고부가가 치 산업인 수중산업․해저산업․해양플랜트산업 등 해양개발산업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해 양산업에서 세계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한다.
∘ 국부 창출을 목적으로 본 과제에서 제안된 해양구조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정부, 산업, 학계, 민간 등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한다.
∘ 다양한 방법으로 해양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해양산업의 발전을 현실 화시키기 위한 개념모델을 구축한다.
[그림 4-2]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을 위한 개념모델
제4장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안) 67
나. 역할과 기능
1) 예방 (Preparation)
∘ 평상시에 일반인들에게 사고사례를 홍보하고 해양안전에 대한 중요성과 심각성에 대한 경각심을 부여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해양재난에 대해 가장 근본적인 예방책이 되 도록 안전 교육 실시
∘ 사고예측 시스템, 수중환경 예보시스템 등 다양한 안전 관련 기술 및 시스템의 개발 및 발전을 통해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잠수장비 및 구조기술 개발, 재난대응 시스템 개발을 통해 유사시 즉각적이며 효율적 인 구조를 실시할 수 있는 기술 확보
2) 연구 개발 (R&D)
∘ 심해잠수 및 구조 기술 개발을 통한 현장 대응 능력 강화
∘ 잠수 매뉴얼, 안전 규제, 교육 교재 등 교육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며, 심해구조 연구 원, 교수진 등 인적 능력 배양
∘ 심해잠수 및 구조기술 확보를 통한 관련 산업 및 수중산업과의 연계 협력을 통한 산업 화 및 국제화
3) 비상시 대응 (Response)
∘ 정부 및 지자체, 유관기관과의 협조 체계를 통한 구조/구난 자문 및 기술 협력
∘ 국내 관련 기관 및 민간단체와의 지역적 협조체계
∘ 국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신속한 구조 활동, 시신 수습 등 구난 활동 마. 정부부처와 연계 및 협력(그림 4-3)
1)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 해양정책실)
∘ 해사안전국/해양정책실 해양안전정책 및 기획 지원
∘ 해사안전국 해양안전·구조․구난과학기술 지원
∘ 해양잠수산업 인력양성으로 해양수중산업 견인
68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 해양정책실 해양신산업/해양플랜트 기술연구 지원 2)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중앙해양특수구조단)
∘ 국민안전처 해양공간 자연재난 대응기술 연구 지원 및 해양경비안전본부 해난구조기술 연구 지원
∘ 해난사고 시 중앙해양특수구조단 잠수시스템 및 인력 지원 3) 해군
∘ 해난사고 시 해군 해난구조대와 연계 협력 지원
[그림 4-3]정부부처와의 연계성 구성
제4장 (가칭)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안) 69
제2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