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재무적 타당성 분석

가.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

∘ 예비타당성조사의 대상이 되는 해양구조 연구센터 조성사업은 그 파급효과가 전 국민 에게 미치는 것이므로 국가적인 관점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즉 경제성 분석을 주된 평 가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 사업타당성조사에 있어서 재무성 분석은 재정부담의 규모를 평가하기 위해 사업자체의 재무적 수익성을 평가하기 위해 경제성 분석과 함께 구체적인 사업주체의 관점에서 시 행하는 재무적 타당성 분석, 즉 재무성 분석 또한 부차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 재무성 분석은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미래의 현금유입(cash inflow)과 현금유출 (cash outflow) 및 최초 자본투자(initial investment outlay)의 현재가치를 비교하여 재 무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개별사업자의 입장이 아닌 국가 전체적인 입장에서 사회적 편익과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여 사회적 순현재가치(NPV)를 측정하는 경제성 분 석과 구분된다.

∘ 재무성 분석은 잠재가격으로 평가되는 경제성 분석과는 달리 시장가격을 적용하며, 세 금, 이자비용 등 이전지출을 포함한 실질 현금유출입을 기준으로 하며, 시장이자율 및 사업 위험 등을 고려한 재무적 할인율을 적용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분 경제성 분석 재무성 분석

분석목표 사회적 순현재가치의 측정 재무적 순현재가치 측정 분석관점 국가 (국민경제적 입장) 해당사업 (사업운영주체 입장)

가치평가(측정가격) 잠재가격 시장가격

평가지표 비용편익분석(B/C) 수익성지수(PI)

할인율 사회적 할인율 재무적 할인율

세금 등 이전효과 - 실질 현금유출입 기준으로 반영

[표 5-12] 해양구조훈련센터 경제성 분석 결과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3). 공기업・준정부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연구

138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나. 운영비용 1) 비용계획

① 사업비

∘ 재무적 타당성 분석을 위한 사업비는 제세공과 및 부가가치세 등 이전비용을 포함하여 총 55,323백만 원으로 산정하였다.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합계

부지매입비 0 1,362 0 0 1,362

건축공사비 0 0 6,155 7,553 13,709

설계비 0 556 0 0 556

감리비 0 7 40 92 139

조사 및 용역비 0 437 0 0 437

장비 및 설비비 0 0 6,807 21,793 28,600

예비비 0 223 1,228 2,779 4,230

제세공과 0  0  596 1,350 1,946

부가가치세 0 100 1,300 2,944 4,344

합계 0 2,685 16,126 36,511 55,323

[표 5-13] 연도별 사업비

단위 : 백만원

제세공과 : 건축물, 장비 및 설비비 취득세 기준

부가가치세 : 건축공사비, 설계비, 감리비, 조사 및 용역비, 장비 및 설비비 대비 10%

② 운영비 종합

∘ 인건비, 운영비 및 연구사업비를 포함한 연간 운영비는 경제성 분석에 적용된 비용과 동일하게 5,988백만 원을 적용하였다.

구분 운영비 비고

인건비 1,338,480 35명 기준, 급여, 퇴직급여 및 복리후생비 포함

일반운영비 1,800,000 교수인건비, 교보재비용 등

건물유지관리비 627,849 건축물 대비 3.5%

장비유지관리비 840,000 장비비 대비 3.0%

운영예비비 1,381,899 운영비 대비 30%

운영비 계 5,988,228 재투자비를 제외한 연간 운영비 기준 [표 5-14] 연간 운영비 종합

단위 : 천원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139

③ 운영매출

∘ 해양구조 훈련센터 운영을 통한 연간 매출 계획은 제2과제 연구기관인 한국잠수산업 연구원에서 추정한 결과를 활용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 해양구조훈련센터 운영을 통해 국제인증잠수자격 Certification사업, 잠수질환 응급지원 사업, 고압/저압 Hypeerbaric사업 등 8개 분야에 대한 해양안전・구조사업 운영이 가능 하며, 이를 통한 연간 매출규모는 총 5,630백만 원으로 추정된다.

∘ 해양구조 훈련센터 개소 후 해양안전 구조사업 운영 사업이 연차적으로 발전하면서 5 년차부터 5,630백만 원의 매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구분 수익예측 비고

① 국제인증잠수자격

Certification사업 580 잠수자격 인증 및 자격증 발급사업

② 잠수질환 응급지원 사업 50 잠수병 질환 1차 응급 치료

③ 고압/저압 Hyperbaric Test 사업 750 국내업체 및 군 장비 시험평가 등

④ 해양재난구조 컨설팅 사업 1,500 해양재난구조 컨설팅사업 등

⑤ 고압 Certification 사업(KS) 1,600 수중, 항공, 선박 등 검사인증

⑥ 민․관․군 Salvage 순회교육 사업 0 순회교육 봉사

⑦ 수중근로자DB자동화사업 350 자격유지 보습교육사업 등

⑧ 산ㆍ학ㆍ연 협력사업 800 R&D개발사업 등

5,630

[표 5-15] 해양구조훈련센터 운영매출 계획

단위 : 백만원

자료 : 세부과제 2 보고서 (p. 231~239 참조)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① 국제인증잠수자격

Certification사업 200 200 400 400 580

② 잠수질환 응급지원 사업 10 10 20 20 50

③ 고압/저압 Hyperbaric Test 사업 300 500 1000 1200 750

④ 해양재난구조 컨설팅 사업 100 100 1000 1000 1,500

⑤ 고압 Certification 사업(KS) 0 750 1000 1000 1,600

⑥ 민․관․군 Salvage 순회교육 사업 0 0 0 0 0

⑦ 수중근로자DB자동화사업 100 100 200 300 350

⑧ 산ㆍ학ㆍ연 협력사업 0 500 500 500 800

710 2,160 4,120 4,420 5,630

[표 5-16] 해양구조훈련센터 운영매출 계획

단위 : 백만원

자료 : 세부과제 2 보고서 (p. 246 참조)

140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

다. 재무적 타당성 분석결과 1) 연도별 현금흐름

∘ 해양구조훈련센터의 연도별 매출 및 비용에 대한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다.

구분 할인율 수익 비용 편익-비용

불변가 현재가치 불변가 현재가치 불변가 현재가치

2015년 0.948  0 0 0 0 0 0

2016년 0.898  0 0 0 0 0 0

2017년 0.852  0 0 2,685 2,287 -2,685 -2,287 2018년 0.807  0 0 16,126 13,018 -16,126 -13,018 2019년 0.765  0 0 36,511 27,936 -36,511 -27,936 2020년 0.725 710 515 5,988 4,343 -5,278 -3,828 2021년 0.687 2,160 1,485 5,988 4,117 -3,828 -2,632 2022년 0.652 4,120 2,685 5,988 3,902 -1,868 -1,217 2023년 0.618 4,420 2,730 5,988 3,699 -1,568 -969 2024년 0.585 5,630 3,296 6,588 3,857 -958 -561 2025년 0.555 5,630 3,124 5,988 3,323 -358 -199 2026년 0.526 5,630 2,961 5,988 3,150 -358 -188 2027년 0.499 5,630 2,807 5,988 2,985 -358 -179 2028년 0.473 5,630 2,661 5,988 2,830 -358 -169 2029년 0.448 5,630 2,522 6,588 2,951 -958 -429 2030년 0.425 5,630 2,390 5,988 2,542 -358 -152 2031년 0.402 5,630 2,266 5,988 2,410 -358 -144 2032년 0.381 5,630 2,148 5,988 2,284 -358 -137 2033년 0.362 5,630 2,036 5,988 2,165 -358 -130 2034년 0.343 5,630 1,930 6,588 2,258 -958 -328 2035년 0.325 5,630 1,829 5,988 1,945 -358 -116 2036년 0.308 5,630 1,734 5,988 1,844 -358 -110 2037년 0.292 5,630 1,643 5,988 1,748 -358 -105 2038년 0.277 5,630 1,558 5,988 1,657 -358 -99 2039년 0.262 5,630 1,476 6,588 1,728 -958 -251 2040년 0.249 5,630 1,399 5,988 1,488 -358 -89 2041년 0.236 5,630 1,326 5,988 1,411 -358 -84 2042년 0.223 5,630 1,257 5,988 1,337 -358 -80 2043년 0.212 5,630 1,192 5,988 1,268 -358 -76 2044년 0.201 5,630 1,130 6,588 1,322 -958 -192 2045년 0.190 5,630 1,071 5,988 1,139 -358 -68 2046년 0.180 5,630 1,015 5,988 1,079 -358 -65 2047년 0.171 5,630 962 5,988 1,023 -358 -61 2048년 0.162 5,630 912 5,988 970 -358 -58 2049년 0.154 5,630 864 6,588 1,011 -958 -147 합계 - 157,790 54,922 238,570 111,027 -80,780 -56,104 [표 5-17] 연차별 매출 및 비용의 현금흐름(주 : 사회적 할인율 5.5% 기준) 단위 : 백만 원

제5장 (가칭)해양구조훈련센터 설립/운영(안) 141

2) 분석 결과

∘ 준 정부기관의 운영주체에 의해 관리・운영되는 해양구조훈련센터 운영에 따른 수익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타당성 분석의 분석기간은 조성기간과 운영기간(30년)을 포함한 2017년~2049년이 며, 각 비용과 편익의 현재가치는 사업성분석이 시행되는 전년도인 2015년을 기준이다.

∘ 경제성 분석을 위한 사회적 할인율은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제5판) (한국개발연구원, 2009)에서 제시한 5.5%를 적용하였다.

∘ 사업추진에 따른 총 사회적 비용은 사업조성을 위한 초기사업비와 운영기간 동안 발생 될 운영비용으로 구성되며, 총비용은 현재가치 기준 111,027백만 원으로 추정가능하다.

∘ 해양구조훈련센터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 총 매출은 5,678백만 원이며, 사업 운영기간 (30년) 운영을 통한 총 매출은 현재가치 기준 54,922백만 원으로 추정되었다.

∘ 수익성분석(PI Ratio) 결과 0.495, 순현재가치(NPV) -56,104백만 원으로 각 분석결 과 모두 재무적 타당성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 해양구조훈련센터는 해난사고에 대비하는 국민안전을 위한 기반시설로 재무적 타당성 외 국가 사회적 관점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분석 등을 포함한 종합적 판단이 필요하다.

구분 분석결과 비고

할인율 5.5% 사회적 할인율 기준 적용

기준년도 2015년 사업타당성 분석 실시일의 전년도 말 기준

목표년도 2020년 준공 목표년도

운영기간 30년 2020년 ~ 2049년

총 매출 54,922백만 원 사업비 및 30년 운영 매출의 현재가치 총 비용 111,027백만 원 사업비 및 운영기간 총 운영비용

분석 결과

수익성지수

(PI Ratio) 0.495 PI Ratio 0.518 < 1.000 순현재가치

(NPV) -56,104백만 원 NPV -51,203 < 0 내부수익률

(IRR) - 운영손실로 내부수익률이 도출되지 않음

[표 5-18] 해양구조훈련센터 재무성 분석 결과

주 : 사회적 할인율 5.5% 기준

142 해양구조연구센터 설립․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