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아황산가스 저감대책
1) 저황유 공급확대정부에서는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 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연료용 유류의 황 함유량 기준이 강화된(B-C유 : 1.6% → 1.0% → 0.5%→ 0.3%, 경유 0.4% → 0.2% → 0.1%) 유류의 공급 및 사용을 의무화하였다. 이와 같이 저황연료를 확대 공급함에 따라 아황산가스 배출량 감소로 아황산가스 오염도는 선진국 수준에 도달 하고 있다.
2) 청정연료 사용 의무화
1991년 9월 1일부터 용량의 합이 2톤 이상인 보일러가 설치된 업무용 시설(영업 용 및 공공용 포함)에 대하여 청정연료인 LNG 사용을 의무화하기 시작하였으며, 1995년에는 0.2톤 이상 2톤 미만 보일러 사용건물까지 확대하여 청정연료 또는 경유 사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표 3-16〉 연료사용규제고시 주요내용
◦ 업무용시설 및 발전시설
보일러 용량의 합 사 용 연 료 시 행 시 기
◦ 2톤 이상
◦ 0.2톤 이상 2톤 미만
청정연료 청정연료 또는 경유
’91. 9. 1. 이후
’95. 9. 1. 이후
◦ 공동주택
구 분 평 균 전 용 면 적 사 용 연 료
기 존 ◦ 82.6㎡ 이상
◦ 59.5㎡ 초과 82.6㎡ 미만
청정연료 청정연료 또는 경유
신 규
◦ 82.6㎡ 이상(아파트 ’91.1.1일, 연립주택은 ’91.4.11일 이후 사업승인을 받은 시설)
◦ 46.3㎡이상 82.6㎡미만(아파트는 ’91.1.1일, 연립주택은 ’91.4.11일 이후 사업승인을 받은 시설)
◦ 40.0㎡초과 46.3㎡미만(’94.5.1일 이후 사업승인을 받은 시설)
청정연료 청정연료 또는 경유 청정연료 또는 경유
중앙 집중난방식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991년 9월 1일부터 전용면적 115.5㎡ 이 상의 공동주택에 대하여 청정연료 사용의무화를 추진하였고, 1993년에는 82.5㎡ 이상 공동주택까지 청정연료인 LNG사용을 의무화하였으며, 1997년에는 59.4㎡ 이상의 공동주택에도 청정연료 또는 경유사용을 의무화하여 추진을 완료하였다. 또한 2005년 에는 46.3㎡ 이상인 공동주택에 대하여 청정연료 또는 경유사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향후 모든 공동주택에 청정연료의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다. 먼지저감대책
먼지는 대기오염물질 중 가장 원시적인 물질로서 입자의 크기에 따라 10㎛이상의 강하먼지와 10㎛이하의 미세먼지로 나누어지며, 발생원이 산업공정이나 자동차 등의 연료의 연소, 도로와 공사장 등 매우 다양하다.
인천은 항만, 고속도로, 공사장 등 자체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먼지와 황사 꽃가루 등 자연적인 발생원에서 유입되어 온 먼지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미세먼지 농도는 2003년 이후부터 항만, 공항 등의 물동량 증가와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해 증가하다가 2007년 이후부터는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1) 도로변 먼지저감
먼지발생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도로변의 먼지를 줄이기 위하여 고압살수 차를 이용한 도로물청소용역 및 민·관이 참여하는 1사1도로 클린제를 실시하고 있 으며, 진공청소차량 및 살수차를 확충하고 가동률을 향상시켜 도로 기계화 청소를 확대 실시하고 있다. 또한 도로먼지 관리가 취약한 113개 도로, 고속도로 등에 대해 이동 먼지 측정차를 운영하여 실시간 오염현황 파악 및 주요 오염원 개선에 노력하고 있으며, 도로먼지 주요 발생원인 인천항 및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주변 화물 운반차량 에 대한 덮개설치 등 시설개선 및 지도점검을 강화하여 도로먼지발생을 근원적으로 저감시키고 있다.
2) 비산먼지발생 공사장 먼지저감
비산먼지 발생사업 신고대상 기준의 10배 이상인 건축물축조공사, 토목 건설공사장 등을 특별관리공사장으로 지정 「엄격한 비산먼지발생 억제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들 공사장에 대하여는 월 1회 이상의 지도 점검 실시와 흙먼지 공사에 대한 안내판 설치, 흙먼지 관리 전담요원 배치 등 비산 먼지 관리를 강화하여 주민불편 사항이 야기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표 3-17〉 비산먼지 발생사업장 현황
(단위 : 개소)
년도별 계 시 멘 트
제품제조
비 금 속 물질채취
1차금속 제품제조
비료,사료
제 조 업 건설업 고철,곡물
하 역 업 기 타
2017 1,265 43 94 42 19 1,030 25 12
2016 1,065 47 92 39 20 828 28 11
2015 1,065 32 91 41 21 808 32 40
2014 1,167 41 112 51 22 904 26 11
2013 1,149 44 108 50 23 885 26 13
※ 자료 : 대기보전과
3) 산업공정, 생활주변 먼지저감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먼지저감 대책으로는 청정연료 사용의무화 및 연소효율이 높은 연료사용을 유도하고 먼지발생시설에 대해서는 방지시설 설치를 강화함으로써 먼지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다.
집 앞 공터 등에 방치된 토사, 쓰레기 등을 청소하기 위하여 「내집앞 내직장 주 변 내가 쓸고 닦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구·군별로 재개발공사장 등 먼지다량 배출업소가 밀집된 지역과 먼지오염도가 높은 지역을 먼지발생 취약지역으로 선정 한 후 환경순찰을 강화하여 먼지발생을 억제하는 등 생활주변의 먼지발생 억제를 위하여 다각적인 대책을 수립 추진 중에 있다.
라. 대기오염 경보제 운영
대기오염 경보제는 대기 중 먼지, 오존의 농도가 일정기준 이상 높게 나타났을 때 시민에게 신속히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인체 및 생활환경상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기 오염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환경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표 3-18〉 대기오염 경보 구역설정 현황
지역구분 행 정 구 역 대기측정소 위치
동남부 권역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숭의, 동춘, 고잔, 구월, 논현, 부평, 계산 서 부 권 역 중구(영종제외), 동구, 서구 신흥, 송림, 연희, 석남, 검단, 원당
영 종 권 역 중구(영종) 운서
강 화 권 역 강화군 송해
※ 자료 : 대기보전과
대기오염 경보 발령은 인천지역을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대기오염 측정소의 미세 먼지, 오존측정 결과가 발령기준을 초과할 경우 초과측정소가 포함된 지역별로 경보가 발령된다. 경보발령 메시지는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내 환경자동감시정보센터 에 설치된 상황실에서 매시간 측정결과와 기상자료를 검토한 후 경보발령 여부를 판단하여, 발령기준을 초과할 경우 시장(대기보전과)에게 발령요청하고(해제 요청시도 같음) 전화나 Fax를 이용한 동시통보장치와 라디오, TV 등 전파매체 및 대기오염 전광판이나 공익광고 전광판 등을 활용하여 경보발령 메시지를 행정기관, 언론기관, 학교 및 인천 인근 자치단체에 전파한다.
오존 및 미세먼지는 단기간동안 고농도에 노출될 경우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 치며, 특히 어린이와 노인의 경우에는 피해가 커질 수 있어 대기오염 경보가 발령되면 외출을 삼가는 등 실외 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1) 미세먼지 경보제(2015. 1. 1.부터 시행) ○ 발령기준(2015. 12. 10. 이후)
구 분 발 령 기 준
PM10
발령 주의보 시간평균농도가 150㎍/㎥ 이상 2시간 이상 지속인 때 경 보 시간평균농도가 300㎍/㎥이상 2시간 이상 지속인 때
해제 주의보 시간평균농도가 100㎍/㎥미만인 때 해제
경 보 시간평균농도가 150㎍/㎥ 미만인 때는 주의보로 전환
PM2.5
발령 주의보 시간평균농도가 90㎍/㎥ 이상 2시간 이상 지속인 때 경 보 시간평균농도가 180㎍/㎥ 이상 2시간 이상 지속인 때
해제 주의보 시간평균농도가 50㎍/㎥ 미만인 때 해제
경 보 시간평균농도가 90㎍/㎥ 미만인 때는 주의보로 전환
※ 출처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7(제 14조 관련) ○ 발령체계
대기오염 측정망 (오염도)
⇒
보건환경 연구원 (환경조사과)
↓
먼지오염추이 분석 및 경보발령․해제 요청
⇒
시 (대기보전과)
↓
경보발령․해제 및 상황전파
⇒
군․구 주민자치센터
해당사업장 언론기관
교육청 아파트 등
○ 기관별 조치사항 대상
구분 관 련 기 관 시 민 사 업 장
경 보
- 주의보 상황통보 - 지역 홍보매체를 통한
주민홍보 요청
- 먼지다량발생 사업장, 공사장 주변 지도․ 점검(순찰)
- 해당지역 집중
도로물청소(살수) 실시 - 먼지 다량발생 사업장
조치결과 취합보고
- 노인, 어린이. 호흡기질환자 및 심혈관질환자 외출자제
- 유치원, 초등학교 실외수업 자제 - 공원, 체육시설, 고궁,
터미널,철도 및 지하철 등을 이용하는 시민에게 과격한 실외 활동 자제홍보
- 기타 시민건강 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 사업장 주변 환경순찰 실시
- 먼지 발생공정 제한 운영 - 공사장, 사업장 주변도로
살수
- 기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필요한 사항
중 대 경 보
- 경보 상황통보
- 지역 홍보매체를 통한 주민홍보 요청
- 먼지다량발생 사업장, 공사장 주변 지도․ 점검(순찰)
- 먼지 다량발생 사업장 조치결과 취합보고
- 노인, 어린이. 호흡기질환자 및 심혈관질환자 외출금지
- 유치원, 초등학교 수업단축 또는 휴교
- 공원, 체육시설, 고궁, 터미널, 철도 및 지하철 등을 이용하는 시민에게 과격한 실외활동 금지홍보
- 기타 시민건강 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공정 중지
- 공사장, 사업장 주변도로 살수
- 기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필요한 사항
2) 오존 경보제 ○ 발령기준
발령기준 주 의 보 경 보 중대경보
농도(1시간평균치) 0.12 ppm이상 0.3 ppm이상 0.5 ppm이상
○ 해제기준
발령기준 주 의 보 경 보 중대경보
농도(1시간평균치) 0.12 ppm미만 0.3 ppm미만 0.5 ppm미만
※ 출처 :「대기환경보전법」시행규칙 별표7(제 14조 관련)
○ 발령체계
대기오염 측정망 (오염도)
⇒
보건환경연구원 (환경조사과)
↓
오존오염추이 분석 및 경보발령․해제 요청
⇒
시 (대기보전과)
↓
경보발령․해제 및 상황전파
⇒
자치군․구 주민자치센터
해당사업장 언론기관
교육청 아파트 등
○ 경보 발령시 기관별 조치내용 대상
구분 관 련 기 관 시 민 차량운전자
(차량소유자) 사 업 장
주 의 보
- 주의보 상황통보 - 대중 홍보매체를 통한 주민홍보 요청 - 대기오염도 변화 분석 및 기상관측 자료 검토요청
- 노천소각금지 요청 - 대중교통이용 권고 - 주민 실외활동 및 과격 운동자제 요청
- 노약자, 어린이, 호흡기 환자, 심장질환의 실외 활동 자제 권고
- 경보지역내 차량 운행자제 권고 - 대중교통이용 권고 - 자동차 사용자제 요청
- 오존 유발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 오염 물질 저감협조 요청
경 보
- 경보상황 통보 - 대기오염측정 및 기상관측 활동강화 요청
- 경보상황에 대한 홍보요청 - 경찰에 교통통제 협조 요청
- 주민 실외활동 및 과격 운동 제한 요청 - 유치원, 학교 등 실외 학습 제한 권고 - 노약자, 어린이, 호흡기 환자, 심장질환의 실외 활동 제한권고
- 경보지역내 자동차 사용제한
- 소각시설 사용제한 요청 - 연료사용량 감축권고
중 대 경 보
- 중대경보상황 통보 - 대기오염측정 및 기상관측활동 강화 요청
- 위험사항에 대한 국민홍보 강화요청 - 경찰에 교통통제 협조 요청
- 주민 실외활동 및 과격 운동 금지 요청 - 유치원, 학교 등 실외 학습중지 및 휴교권고 - 노약자, 어린이, 호흡기 환자, 심장질환의 실외 활동 중지권고
- 경보지역내 자동차 통행금지
- 소각시설 사용중지 요청 - 조업단축 명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