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관련 업무에 근무하는 공무원 정원은 1,375명으로 시 본청이 164명, 직속기 관 및 사업소에 854명, 구와 군에 357명으로 일선기관인 사업소와 구·군에 배치함으 로써 주민의 환경행정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또한 국제교류를 활성화하고 기본적인 환경행정 체계 속에서 환경담당자의 전문 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훈련과 연수를 지속적으로 시행함으로써 국제적인 환경동 향에 적응하고 있으며 환경인력은 환경에 대한 관심대두와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시 대의 흐름과 깊은 관련이 있어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사 업 소(91)
〈표 1-16> 환경관련 기관별 정원(2017)
(단위 : 명) 기관별
계
환 경 녹지국
상 수 도 사업본부
보건환경 연 구 원
공원 및
관리사업소 군․구
1,375 164 613 150 91 357
〈표 1-17〉 자치군 ․ 구 환경분야 현황(2017)
계 중 구 동 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 구 강화군 옹진군
인 원 36 20 35 39 31 69 41 60 15 11
제2절 환경분야 예산
1 2018년 환경분야 예산
2017년도의 인천광역시 환경부문 예산은 맑고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579,398백만원의 예산을 투자하였고, 2018년에는 707,921백만원의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표 1-18〉 환경관련부문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도별 2017 2018 비 고
총 합 계 579,398 707,921
일 반 회 계 합 계 238,688 282,382
녹 색 기 후 과 환 경 정 책 과 대 기 보 전 과 자 원 순 환 과 수 질 환 경 과
하 수 과
공 원 녹 지 과
사 업 소
3,892 8,843 29,905 56,764 33,506 38,128 42,287 25,363
5,702 8,142 67,159 62,602 23,762 36,921 49,462 28,632
특 별 회 계 합 계 340,710 425,539
하수도특별회계 185,766 205,760
수 도 권 매 립 지 주 변 지 역 환 경 개 선 특 별 회 계
158,807 210,656
수 질 개 선
특 별 회 계 7,462 5,821
검 단 폐 수
종 말 처 리 시 설 - 3,302
2 2018년 주요투자사업
(단위 : 백만원)
구 분 주 요 투 자 사 업 내 역 투자사업비
녹 색 기 후 과
- 녹색기후 클러스터 추진
-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저감 사업 추진 -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등 지원 및 협력 -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프로그램
- 기후환경네트워크를 통한 시민실천사업 추진 - 녹색생활실천 탄소포인트 운영
16 628 2,930 320 90 433
환 경 정 책 과
-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지원 - 환경개선부담금 및 배출부과금 징수․관리 - 지속가능발전 기반 조성
- 자연환경 인프라 구축 - 석면피해 구제 - 슬레이트 처리 지원 - 화학물질 안전관리 - 실내공기질 관리
335 2,826 1,400 1,834 50 428 106 200
대 기 보 전 과
- 기업 환경시설 개선 - 비산먼지 저감사업 - 악취개선사업
-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 - 산업단지 환경관리
927 4,140 301 61,589 99
자 원 순 환 과
- 생활폐기물 처리 - 자원 재활용 - 사업장폐기물 관리 - 광역폐기물 처리시설 운영 - 수도권매립지 관리
1,943 2,693 720 38,648 16,667
수 질 환 경 과
하천 정비
환경기초시설 확충
수질환경 기초 인프라 구축
13,598 1,736 588
하 수 과
- 하수관거 정비 - 하수처리시설 확충 - 농어촌마을 하수도 정비
- 쾌적하고 안정적인 분뇨처리기반 확충 - 하수처리장 민간위탁사업비(BTO) - 인천환경공단 하수처리장 위탁운영비
5,179 5,210 14,108 15,203 46,182 53,587 공 원 녹 지 과 - 녹지조경사업
- 산림휴양공간 및 산림자원 가꾸기
4,415 12,489
환경관리 기반조성
WHITE PAPER OF ENVIRONMENT 2018
제1장 녹색성장 추진 제2장 환경정책 기능과 환경관리 기반 강화 제3장 환경정책 협력체계 구축
2부
제1장 녹색성장 추진
제2부 환경관리 기반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