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정책목표 및 추진전략
○ 기본구상 : 인천광역시가 실현하고자 하는 「모두가 행복한 글로벌 청정도시 인천」의 비전 안에서 「자연과 어우러진 맑고 깨끗한 환경시스템 구축」과 「자원순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녹색환경 기반조성」,
「기후변화 대응 및 발전」의 실행 목표로써 기본개념을 설정
〈그림 2-1〉 환경정책목표 및 추진전략
나. 주요 시책 방향
◦ 환경부의 지방자치단체 환경보전계획 수립지침(2015. 4.)과 국가중기종합계획에 따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5년간 연차별 중장기 비전으로 하고, 실행시책 수립
◦ 인천광역시의「2020 도시 기본 계획」의 친환경적 실현 유도
◦ 기후 변화 대응 등 장기적 전개를 감안한 목표 설정
◦ 장래 실현해야 할 환경적 비전 목표수립과 대책 강구
◦ 목표 달성의 로드맵, 달성상황의 평가가 시민이 알기 쉽고 행동하기 쉬운 지표를 설정
1) 분석 및 전망
◦ 세계 인구는 2007년의 67억명에서 2050년에는 30억인이 증가한 97억명으로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됨.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개도국에서 인구증가가 현저할 것으로 예상
◦ 세계의 도시인구 비율은 1900년에는 13%에 불과하였으나 1950년에는 29%로 증가했고, 2005년에는 49%에 도달함. 세계규모로서 도시화는 계속 진전되어 2030년까지는 세계인구의 60%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측됨
◦ 세계의 경제는 글로벌화와 IT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전체가 하나의 경제권으로 되고, 현대의 글로벌화의 현저한 특징의 하나는 아시아가 현저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임
◦ 세계 에너지의 수요는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고, 2030년에는 현재의 약 1.5배 증가 할 전망임
◦ 우리나라의 인구는 2020년 전후부터 계속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인천의 경우는 2030년까지 계속 증가 추세에 있음
◦ 대기오염과 화학물질에 의한 건강피해 등 시민의 건강과 생활의 안전을 위협하는 직접적인 위기와 열섬현상, 기후변화, 녹지의 감소 등 도시와 지구의 지속 가능성 위기라는 두가지 위기에 직면하고 있음
◦ 지구온난화 물질 대응이 현안 문제로 대두되는 등 기후변화대책 추진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음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부분의 문제는 에너지, 대기, 자원환경보전 등 전반적 환경문제를 재조명할 필요성이 있음
◦ 환경오염에 대한 예견적이며 지속적인 대응이 필요함
◦ 질 높은 도시환경 형성에 의한 도시의 매력 향상이 필요함
다. 주요 추진사업 및 투자계획
1) 주요 추진사업 : 8개 부문, 14개 분야 127개 단위사업 계획 ◦ 총괄목표
- 인류·생물 기반이 확보되는 도시 실현 -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확보 - 쾌적하고 질높은 도시 환경 창출
〈표 2-1〉 부문별 주요 추진사업
부 문 단위
사업 주 요 추 진 사 업 총 괄 127
자연환경
자연생태 9 하천변 녹화, 도심속 생명의 숲 늘리기 자연경관 7 완충녹지․가로녹지조성, 도시자연공원 재정비 토양과지하수 7 토양 및 지하수오염원에 대한 모니터링
해양,연안과 도서 3 해양생태계 다양성 보전, 생태적 해양오염방제기능 강화
생활환경
대기,악취,실내공기질 18 대기오염개선, 생활환경악취관리, 사업장 대기오염 물질 총량제 추진, 배출업소 관리강화
수질 8 자연형생태하천 조성 및 유지관리, 하천오염평가 및 하천 수변구역 관리, 소하천 살리기, 사업장폐수관리 상하수도 16 노후 수도관 개량, 하수도사업재원확충, 하수관거 정비 소음,진동 4 소음측정망 확대 및 적정 운영, 소음지도 작성 유해화학물질 3 화학물질 잔류실태 파악 및 위해성관리
자연자원
수자원 8 절수기기 보급, 중수도 및 우수 활용, 유수지 활용
에너지 4 폐기물에너지화 기반구축
폐기물 5 폐기물처리시설 기반 강화, 자원 재활용 활성화 환경경제사회의
통합
환경-경제의통합 8 환경배려형 제품의 보급, 환경산업활동 촉진 환경-사회의통합 3 환경교육․학습의 활용
지역 및
지구환경 지역 및 지구환경 13 국제협력체계 강화, 기후변화대응 범시민실천홍보, 이산화탄소 저감방안 수립
저탄소 녹색성장 저탄소녹색성장 4 저탄소․저에너지 정착, 지속가능한 도시교통 추진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공간계획수립 3 환경정책결정시스템 고도화
환경정책평가 및 계획의 추진
환경정책 평가 및
계획의 추진 4 환경보전중기계획 평가, 저탄소지표개발 및 평가
2) 투자계획
◦ 선진국제도시 수준의 환경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 기간 동안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등에 약 6,683억원 투자 계획
- 분야별로는 자연생태분야 635억원, 대기·악취·실내공기질 분야 446억원, 수자원 분야 530억원, 저탄소 녹색성장 분야 142억원 등의 재원투자 필요
※ 소요예산은 단위사업 중 투자사업에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비용기준으로 산정
〈표 2-2〉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 투자전망
(단위 : 억원)
분 야 연 도
비고 투자액 2014 2015 2016 2017 2018
합 계 6,683 429 978 2,794 1,135 1,347
자연생태분야 635 55 100 180 300
자연경관분야 280 30 55 85 110
토양과지하수분야 90 22 24 25 19
해양,연안과 도서분야 535 40 80 145 270
대기,악취,실내공기질 446 38 90 106 106 106
수질 220 10 50 60 50 50
상하수도분야 680 86 116 170 170 138
소음,진동분야 20 10 10
유해화학물질분야 40 4 16 16 2 2
수자원분야 530 106 106 106 106 106
에너지분야 2225 27 238 1860 55 45
폐기물분야 500 100 100 100 100 100
환경-경제의통합분야 55 14 15 15 11
환경-사회의통합분야 40 6 9 9 8 8
지역 및 지구환경 분야 140 17 26 27 37 33
저탄소녹색성장 분야 142 14 35 35 30 28
공간계획수립분야 35 7 7 7 7 7
환경정책 평가 및
계획의 추진분야 70 14 14 14 1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