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합물은 지표면 부근에서 오존의 생성에 관여하므로 결과적으로 지구온난화에 간접적인 역할을 한다. 넷째, 프레온과 같은 일부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순환과정을 통해 성층권으로 유입되어 오존층 파괴원인물질이 되고 있다. 다섯째, Polychlorinated biphenyls와 같은 반응성이 약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장시간 체류하여 환경에 누적되거나 축적되어 인간을 포함한 자연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실내외 공기 중 어디에서나 검출될 수 있어 특정한 직업과 상관없 이 모두에게 항상 노출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배출시설 현황
〈표 3-35〉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 현황(2017)
구 분 업종별 계
석 유 정 제 및 석 유 화 학
제 품 제 조 저유소 주유소 유 기 용 제 및 페 인 트 제 조 업
선 박 및 대 형 철 구 조 물 제 조 업
자동차 제조업 등
기 타 제조업
폐 기 물 보관처리 시 설
세탁 시설
총 계 437 3 11 299 1 5 2 106 2 8
경제자유구역청 10 9 1
중 구 34 4 27 1 2
동 구 16 12 4
미 추 홀 구 41 40 1
연 수 구 20 20
남 동 구 44 41 3
부 평 구 53 6 40 1 5 1
계 양 구 39 1 35 2 1
서 구 176 3 71 1 97 2 2
강 화 군 0
옹 진 군 4 4
※ 자료 : 대기보전과
구 분 (업종) 배 출 시 설
시 설 명 규 모 1. 석유정제 및 석유
화학제품제조업
가. 원유정제 등 제조시설 모든 시설
나 저장시설 저장용량 40㎥이상
다. 출하시설 모든 시설
2. 저유소 가. 저장시설 저장용량 20㎥이상
나. 출하시설 모든 시설
3. 주유소 가. 저장시설 저장용량 20㎥이상
라. 휘발성유기화합물질 관리현황 및 계획
1) 관리현황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1995년 「대기환경보전법」 개 정 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규제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1996년의 여천산 단지역 대기보전특별종합대책고시와 1997년의 울산·미포 및 온산국가산업단지내 휘 발성유기화합물 배출저감을 위한 종합대책고시에 따라 특별대책지역의 휘발성유기 화합물에 대한 규제를 시작하였다. 1997년 12월에는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을 개정 하여 규제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범위를 탄화수소류 중 레이드증기압이 27.6kpa이 상인 물질에서 10.3kpa 이상인 물질로 확대하였고, 주유소를 휘발성유기화합물 규제 대상 시설로 추가하였으며, 1999년 10월에는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을 개정하여 10.3kpa 이하의 물질 중에 유해한 물질도 관리할 수 있도록 레이드증기압의 범위제 한을 두지 않도록 하였다.
2) 관리계획
인천광역시에서는 1997년 7월 1일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되어 이에 따른 대 기개선실천계획을 2000년 6월 17일 환경부 승인을 받음에 따라 휘발성유기화합물 의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제품제조를 위한 정제 등 제조 시설·저장시설 및 출하시설, 저유소의 저장시설 및 출하시설, 주유소의 저장시설과 세탁시설 및 유기용제 및 페인트제조업, 선박 및 대형철구조물 제조업, 자동차제조업, 기타제조업, 폐기물보관·처리시설 등 9개 업종의 시설에 대하여 규제를 하고 있다.
〈표 3-36〉 규제 대상시설의 종류 및 규모
구 분 (업종) 배 출 시 설
시 설 명 규 모
4. 세탁시설 가. 세탁시설 처리용량 30㎏이상(합계)
5. 유기용제 및 페인트 제조업
가. 반응시설 용적 3㎥이상
나. 혼합시설 용적 3㎥이상
다. 희석신나 제조시설 용적 5㎥이상 또는 동력 50마력이상 라. 유기용제 함유물질 유류저장시설 저장용량 10㎥이상
마. 페인트저장시설 저장용량 50㎥이상
6. 선박 및 대형 철구조물제조업 (10m×10m이상인 대형구조물에 한함)
가. 세정시설(탈지시설 포함) 용적 1㎥이상
나. 도장시설(건조시설 포함) 용적 5㎥이상 혹은 동력3마력이상 다. 유기용제,유기용제함유물질저장시설 저장용량 10㎥이상
라. 유류저장시설 저장용량 10㎥이상
7. 자동차 제조업 가. 유류, 유기용제 및 유기용제 함유 물질 저장시설
저장용량 10㎥이상 8. 기타 제조업 가. 세정시설(탈지시설 포함) 용적 1㎥이상
나. 유류, 유기용제 및 유기용제 함유 물질 저장시설
저장용량 10㎥이상 9. 폐기물
보관‧처리시설 (폐기물관리법시행 령 제3조 별표1에 의한 폐유, 폐유기용제 및 폐농약)
가. 보관시설 저장용량 10㎥이상(합계)
나. 파쇄․분쇄․절단시설 동력 20마력 이상
다. 소각시설 1일처리능력 10톤이상
라. 고온열분해시설 1일처리능력 5톤이상
마. 건류시설 1일 처리능력 5톤이상
바. 용융시설 동력 10마력 이상
사. 증발․농축․반응시설 1일 처리능력 5톤이상
아. 정제시설 1일 20킬로리터이상(고온열분해 또는
감압증류는 1일 24시간 기준으로, 기타 의 경우에는 1일 8시간 기준으로 산정)
자. 유수분리시설 1일 처리능력 5톤이상
차. 응집․침전시설 1일 처리능력 5톤이상
카. 건조시설 시간당 처리능력 0.15㎥이상
제2장 수 질 보 전
제3부 환경보전시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