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리랑카에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데 도 스리랑카 학습자를 위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며 특히 한국어와 스리 랑카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어와 스리 랑카어는 유사한 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많이 있는데 그 중에서 이중모음 체계가 매우 특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리랑카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 중에서도 이 중모음 발음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 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지금 까지 한국어 이중모음과 관련된 연구와 스리랑카인 학습자 대상으로 한 연구를 무엇인지를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중심 내용과 결과를 논의하였다.
Ⅱ장에서는 발음 교육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제2언 어 습득의 이론 중 음성습득모형과 대조분석가설을 살펴보고 한국어와 스 리랑카라어의 모음을 분석하여 이중모음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에는 12개의 이중모음 체계를 볼 수 있으나 스리랑카어의 이중모음 을 두 개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오류분석가설을 고찰 하여 스리랑카인 학습자가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에서 일으킬 수 있는 오 류를 예측하고 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총 31명의 스리랑카인 학습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분석하고,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서 조 사하고, 인터뷰를 통해 교사들의 의견도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스리랑카인 학습자들은 현재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현재 의 교육보다 더 많은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발 음에서 가장 어려운 영역은 이중모음이라고 인식 결과가 나타났으며, 실제 이중모음 발음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지만 문제 의 원인을 모르는 학습자가 많았다. 스리랑카인 학습자들이 실제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시 어떤 오류가 일으키는지 직접 발음 실험을 통해서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예, 의’ 외, 얘’ 발음에서 오류가 많이 나타났고 오류 유형에 따라 대치 오류가 많았다. 아울러 ‘얘’ 발음을 단모음처럼 발음한 오류도 많았으며 이것이 모어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오류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스리랑카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의 실태와 그에 대 한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연구 대상은 스리랑카인 한국어 학습 자로 선정하였다. 스리랑카 학습자들이 한국어 이중모음을 발음할 때 나타 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내기 위해서 한국어 모어 화자 15명과 스리 랑카인 학습자 15명의 이중모음 발음도 함께 조사하여 그 양상을 비교하 였다. 발음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SPSS의 MANOVA 검정을 활용하 였으며 ‘다변량 검정’ 두 집단 간의 이중모음 발음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 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MANOVA ‘개체 간 검정을 통해 한국어 이중모음 중 ‘/얘, 웨, 외, 왜, 의/’와 /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와 스리랑카어에 관한 실험 음성학적인 분석 을 시행함으로써 양 언어의 유사한 점과 차이점을 밝혔는데 특히 스리랑 카어에는 이중모음 체계가 따로 없기 때문에 실험학적 분석 및 오류 양상 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교수·학습 방안을 정립에 초점을 두었다. 최근에 다른 언어권에서는 음향 음성학을 토대로 한 실험음성학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지고 있으나 한국어와 스리랑카어에 관한 실험학적 연구는 미흡한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험학적으로 이중모음의 실현 양상을 밝혀내고 자 하였다.
발음 교육은 시각적인 것이 아니라 소리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소리 의 물리적 특성을 인식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를 위하여 Ⅳ장에서 실질적인 도구로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 스펙트 로그램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Ⅳ장에서 Ⅲ장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이중모음 교정 방안과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어 교육에서 사용하는 ‘제시(presentation), 연습 (practice)과 생성(production)’ 단계로 이루어진 ‘PPP’ 모형을 활용하였
다.
스리랑카인 초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습득을 위해서 본고 에서는 학습자의 발음 현황을 다각적으로 정밀하게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 해 이중모음 발음 실태와 오류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조사 대상자들 은 켈라니야 대학교의 학생들만으로 실시한 연구이지만, 연구 대상자는 스 리랑카의 모든 지역 출신으로 구성되었다. 앞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실질적 인 한국어 발음에 노출되기 힘든 타 영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강봉수(2007). 「대학생과 원어민이 발화한 이중모음의 음향적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구본관(2016).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구성 연구: 단어 형성법 지식의 활 용을 중심으로」, 2016년 국어교육연구소 연구보고 대회, 13-32.
권성미(2009). 한국어 발음 습득 연구: 모음 중심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 박이정.
권순희(2006).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과 수업 활동 유형」, 한국초등국어 교육 31, 5-40.
김석우·박상욱(2015).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김선정·김용경·박석준·이동은·이미혜(2014). 한국어표현교육론, 서울: 형 설출판사.
김유미(2000). 「학습자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애(2003). 「한국어 발음 진단과 평가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 학회 제13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579-586.
김재욱·김지형·김현진·박동호·허용(2010). 한국어 교수법, 서울: 형설출판 사.
김정욱(2009).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종자(2015). 「스리랑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오류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현(2007).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활용한 한국어 자모 및 발음 교육 방안」, 국어국문학 147, 221-258.
김호정(2017). 「한국어 문법 교수를 위한 학습자 연구: 쟁점과 과제」, 2017년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학술대회 자료집, 5-19.
남궁화경(2008). 「서울말 /ㅚ/, /ㅟ/의 음가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분석 연 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남지애(2008). 「문법 인식을 통한 띄어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2016. 06. 01). 프랏(Praat)을 이용한 음성학 기초, 검색일자 2018. 02. 24., 사이트 주소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61471.
민광준(2004). 한-일 양 언어 운율의 음향음성학적 대조 연구, 서울: J
& C Publishing Corporation.
민병곤(2010). 「표현교육론의 쟁점과 표현 영역의 중핵 성취기준」, 한국 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5-207.
민병곤(2016). 「주제 발표 3;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 연구의 쟁점과 과제
」, 국어교육연구소 제18회 국제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01-225.
박명관(2011). 언어 학자를 위한 통계 분석 입문, 서울: 한국문화사.
박숙희(2013). 한국어 발음 교육론, 서울: 도서출판, 23-47.
박시균(203).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서울: 한국문화사.
박한상(2007). 『PRAAT: 음성분석프로그램』, 서울: 한빛문화.
박한상(2011). PRAAT을 이용한 음성 분석 1, 서울: 한빛문화.
박한상(2011). PRAAT을 이용한 음성 분석 2, 서울: 한빛문화.
배주채(2013). 한국어의 발음, 서울: 삼경문화사.
백봉자(2013). 한국어 수업 어떻게 하는가?, 서울: 도서출판 하우.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2008). (New)서강 한국어: 1A Student's Book: 문법·말하기·듣기·읽기·쓰기, 서울: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 원 출판부.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2008). (New)서강 한국어: 1B Student's Book: 문법·말하기·듣기·읽기·쓰기, 서울: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 원 출판부.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2008). (New)서강 한국어: 2A Student's
Book: 문법·말하기·듣기·읽기·쓰기, 서울: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 원 출판부.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2008). (New)서강 한국어: 2B Student's Book: 문법·말하기·듣기·읽기·쓰기, 서울: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 원 출판부.
서경숙(2009). 신나는 한국어 수업을 위한 쏙쏙 한국어 카드, 서울: 박 이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편). (2014). 한국어교육학 사전, 서울: 도서 출판.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국어교육연구소·언어교육원(공편). (2014).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1, 서울: 아카넷.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국어교육연구소·언어교육원(공편). (2014).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2, 서울: 아카넷.
신정애(2004).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지영·장향실·장혜진·박지연(2015). (한국어 교사가 꼭 알아야 할)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글파크.
신필여(2017). 「담화 문법 관점의 한국어 시제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용 담화와 학습자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2017년 서울대학교 언어교 육원 학술대회 자료집, 33-56.
양병곤(1993). 「한국어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연구」, 말소리 25(6), 3-26.
양병곤(2000). 「Praat를 이용한 숫자음의 음향적 분석법」, 음성과학 7(2), 137-147.
오예림(2018).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의지 향상을 위한 말하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위키백과(2017. 11. 18). 싱할라어, 검색일자 2018. 02. 15., 사이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ki/싱할라어.
윤희수(2002). 「영어 스리랑카어 및 한국어의 어순 대조 분석」, 언어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