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4> 스리랑카어의 모음 분류(Nisansala, 2015: 10) 혀 위치
혀높이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단모음 장모음 단모음 장모음 단모음 장모음
고모음 b i B I: W u W! u:
중모음 M e tA e: T o ´ o:
저모음 we æ wE æ: w a wd a:
위에 표를 살펴보면 스리랑카어의 모음은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나뉘며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뉜 다. 그리고 각각의 모음을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위에 표를 살펴보면 혀의 높낮이에 따라 나눌 때 스리랑카어의 고모음 에는 ‘b [i], W [u]’ 2개가 있고 중모음에는 ‘M [e], T [o]’ 2개가 있으며 저모음에는 ‘we [æ], w [a]’ 2개가 있다. 혀의 앞뒤 위치에 따라 나눌 때 스리랑카어의 전설모음에는 ‘b [i], M [e], we [æ]’ 3개가 있고 중설모음에 는 ‘w [a]’ 1개가 있으며 후설모음에는 ‘W [u], T [o]’ 2개가 있다.
ㅣ(=/y/)계 이중모음 ㅑ[ya], ㅕ[yə], ㅛ[yo], ㅠ[yu], ㅖ[ye], ㅒ[yɛ]
ㅜ(=/w/)계 이중모음 ㅘ[wa], ㅝ[wə], ㅟ[wi], ㅙ[wɛ], ㅞ[we], ㅚ[we]
ㅡ(=/ɨ/)계 이중모음 ㅢ[ɨy]
이중모음에서 두 개의 모음 중 하나는 대체로 고모음/y/ 또는/w/모음 이다. 다른 하나의 특징은 이중모음을 공명도(sonority)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공명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상향이중모음(rising diphthong)과 반대로 공명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가는 하향이 중모음(falling diphthong)이라고 한다. 공명도는 모음 의성 질이므로 반 모음인 활음은 모음보다 공명도가 낮다. 따라서 ‘모음 활음’은 공명도가 높은데서 낮은 데로 가는 하향 이중모음이고 ‘활음 모음’은 상향 이중모음 이다. 상향 이중모음은 활음이 단모음에 선행하는 이중모음 말하는 것이 며, 하향 이중 모음은 활음이 단모음에 후행하는 이중모음을 말한다.
상향이중모음: 활음+단모음: ㅑ[ya], ㅕ[yə], ㅛ[yo], ㅠ[yu], ㅒ[yɛ], ㅖ[ye], ㅘ[wa], ㅝ[wə], ㅞ[we], ㅙ[wɛ]
하향이중모음: 단모음+활음: ㅢ[ɨy]
이중모음을 크게 상향 이중모음(반모음+단순모음)과 하향이중모음(단순 모음+반모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표 Ⅱ-5>와 같이 학자들의 견해에 따 라 ‘의’를 상향이중모음으로 보는 입장도 있다.16)
<표 Ⅱ-5> 한국어의 이중모음 (허용·김선정, 2006: 99)17)
16) 본고에서는 허용·김선정(2006)에 따라 ‘의’를 상향이중모음으로 본다.
17) 차리싸(Charisa, 2013), 조단(Zhaodan, 2015), 왕징징(Wangjingjing, 2012) 등 대부분의 연구에서 한국어의 이중모음 체계를 12개로 보며,
음운 환경/문법 요소 발음 예
첫음절 [ㅢ] 의지[의지], 의미[의미]
둘째 음절 이하 [ㅢ]/[ㅣ] 주의[주의/주이], 민주주의[민주주이]
자음+ㅢ [ㅣ] 희망[히망], 띄다[띠다]
조사 ‘의’ [ㅢ]/[ㅔ] 우리의[우리의/우리에]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실제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ㅚ’와 ‘ㅟ’는 이중모음으 로 발음된다.
한국어 이중모음의 특성을 고려할 때 ‘ㅢ’ 는 음운 환경이나 문법적인 기능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로 발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어 ‘ㅢ’ 발음의 이러한 차이 때문에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주게 되므로 학 습자들은 ‘의’ 발음의 특성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18).
<표Ⅱ-6> 이중모음 /ㅢ/의 발음(허용·김선정, 2006: 99)
(2) 스리랑카어 이중모음 체계 및 특성
스리랑카어의 이중모음 체계는 따로 보이지 않지만, 스리랑카어에 이중 모음이 2개가 존재한다. 이중모음 체계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에 따라 숫 자가 약간씩 다르지만19), 대부분의 연구에서 스리랑카어에 이중모음이 2 개가 존재한다. 스리랑카어의 이중모음은 /ai/, /au/로 활음/y/와/w/가 모음/a/ 뒤에 오는 하향이중모음이다.
허용·김선정(2006)에 따라 본고에서도 이중모음 체계는 12개로 살펴보다.
18) 스리랑카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쓰고 있는 서강한국어(2008)에서는 이러 한 차이를 제시하지 않았으나 서울대학교언어교육원(2009: 34)에서는 ‘ㅢ’ 발 음은 따로 설명되어 있다.
19) Wasala & Gamage(2005)는 /iu/, /eu/, /æu/, /ou/, /au/, /ui/, /ei/, /æi/, /oi/, /ai/ 10개가 존재한다고 보지만, 대부분에 자료에서 스 리랑카어에 이중모음이 2개로 살펴본다.
<표 Ⅱ-7> 스리랑카어의 이중모음(Disanayake, 2006: 227) w [a] + b [i] = ft [ai]
w [a] + W [u] = T! [au]
스리랑카어의 이중모음 특징으로는 한국어 이중모음과 달리 스리랑카어 에 존재하는 이중모음 2개가 저모음과 고모음으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만 들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과 한국어 이중모음 특성을 바탕으로 이어지 는 Ⅲ장에서 스리랑카인 한국어 학습자들 대상으로 오류 분석과 음향 음 성학적 분석 내용을 논의할 것이다.
Ⅲ.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조사 및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