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조사 및 분석
할 때 녹음하였고 그 녹음한 자료를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을 통해 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인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이중모음을 발음도 녹 음하였다. 두 집단에서 각각 15명씩21) 모두 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1) 연구 대상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연구 과제에서 조사 대상자는 스리랑카어를 모어 로 하는 켈라니야 대학교 학습자들이다. 스리랑카에서 한국어를 전공으로 배울 수 있는 대학교는 켈라니야 대학교 밖에 없기 때문에 켈라니야 대학 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대상 연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초급(1학 년, 2학년, 3학년) 한국어 학습자들을 총 3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초급 조사 대상자들은 대부분 한국어를 배운 지 1년 정도 되었지만22), 한 국어 발음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 낮은 편이다. 그 학습자들 중에서 한 명 도 한국 거주 경험이 없는 학습자였고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을 본 경 험이 있는 학습자는 2명밖에 없었다. 피험자 모두 연령 22~24세 사이였 다.
조사 대상자의 기본 정보를 살펴보자면, 다음 <표 Ⅲ-1>과 같다.
21) 켈라니야 대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켈라니야 대학교에 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 중에서 절반 이상의 학습자는 여성이다. 그리 고 남녀를 똑같은 기준으로 삼고 싶었지만 이 조사를 진행할 때 대학교 시험 기간이기 때문에 남학생들이 찾기 어려워 2명으로 제한되었다. 그러나 집단 간의 차이가 없애기 위해 그에 따라 한국인 화자를 똑같은 기준으로 삼았다.
22) General Degree 과정에서 전공 3개 중에서 한국어를 한 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1년에 2학기로 한 학기에 15주 동안 150시간이다.
번호 성별 연령 한국어 학습 기간
S-1 여 20 9개월
S-2 여 22 9개월
S-3 여 21 9개월
S-4 여 21 9개월
S-5 여 21 9개월
S-6 여 22 9개월
S-7 여 21 9개월
S-8 여 22 9개월
S-9 여 21 9개월
S-10 여 22 9개월
S-11 여 22 9개월
S-12 여 22 9개월
S-13 여 21 9개월
S-14 여 22 9개월
S-15 여 24 2년 9개월
S-16 여 23 2년 9개월
S-17 남 24 1년 9개월
S-18 여 24 1년 9개월
S-19 여 24 1년 9개월
S-20 여 22 1년 9개월
S-21 남 23 1년 9개월
S-22 남 22 1년 9개월
S-23 여 22 1년 9개월
S-24 여 22 1년 9개월
S-25 여 22 1년 9개월
S-26 여 22 1년 9개월
S-27 여 23 1년 9개월
S-28 여 24 1년 9개월
S-29 여 22 1년 9개월
S-30 여 23 1년 9개월
S-31 여 22 1년 9개월
* S = 스리랑카인 한국어 학습자
<표 Ⅲ-1> 스리랑카인 조사 대상자 정보
본 연구의 세 번째의 연구 과제에서 한 집단의 조사 대상자는 한국어 학습자들23)이고 다른 집단의 조사 대상자는 한국인 화자들이다. 두 집단
23) 한국어 이중모음을 발음할 때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보려고 세
의 연구 대상자는 연령은 22~32세이다. 따라서 두 집단에서 각각의 15명 씩 총 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 Ⅲ-2> 스리랑카 학습자의 기본 정보
녹음 대상자 성별 나이 학습 기간
S-1 남 24 1년 9개월
S-2 남 22 1년 9개월
S-3 여 24 1년 9개월
S-4 여 22 1년 9개월
S-5 여 22 9개월
S-6 여 22 1년 9개월
S-7 여 23 1년 9개월
S-8 여 25 3년
S-9 여 25 3년
S-10 여 25 3년
S-11 여 25 3년
S-12 여 25 3년
S-13 여 26 3년
S-14 여 26 3녀
S-15 여 22 1년 9개월
* S= 스리랑카 학습자 한국어 모어 화자의 정보는 다음 <표 Ⅲ-3>과 같다.
번째 연구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단독 이중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한 자료가 필요하였기 때문에 첫 번째 연구 과제에 한국어 학습자들 중 정확하게 발음한 녹음 자료 8개를 선정하고 추가 자료는 다른 학습자들에 게 요구하여 수집하였는데 모든 녹음 자료는 15개로 제한되었다. 따라서 연 구 과제 2개에서 조사 대상자들은 조금 다르지만 모두 켈라니야 대학교의 한 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표 Ⅲ-3> 한국어 모어 화자의 기본 정보
녹음 대상자 성별 나이 거주지
K-1 남 30 서울
K-2 남 28 수원
K-3 여 27 수원
K-4 여 25 서울
K-5 여 28 서울
K-6 여 27 서울
K-7 여 25 서울
K-8 여 27 서울
K-9 여 29 수원
K-10 여 28 서울
K-11 여 24 수원
K-12 여 26 서울
K-13 여 32 서울
K-14 여 28 서울
K-15 여 27 수원
* K= 한국인 모어 화자
(2) 연구 절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체적인 연구 흐름은 다음 [그림 Ⅲ -1]과 같다.
[그림 Ⅲ-1] 설문조사의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