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교정 방안

스리랑카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실태를 살펴보면 다양한 오류가 광범 위하게 나타난 것을 Ⅲ장에서 확인하였다. 이 오류들의 원인으로서는 충분 하지 못한 발음 교육으로 인해 잘못된 발음, 이중모음의 음운 규칙을 잘 모르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와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서 일어난 오류 등을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학습의 목적은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 소통하는 데에 있어서 발음 교육의 주요 목적은 학습자들의 오류를 발견 하고 교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교정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는 교사가 입모양 사진을 제시 하면서 이중모음을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를 학습자들에게 가르쳐야 한 다. 그 다음에 학생들이 교사를 따라하고 반복 연습을 한다. 마지막으로 두 명씩 짝을 이루고 한 명은 한국어 이중모음을 발음할 때 한 명은 그 이중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하는지를 확인하는 식으로 연습시킬 수 있다.

앞서 오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어떤 발음이 보다 더 어려운지를 살펴 보고 다음과 같이 활음과 단모음 결합으로 만들어진 이중모음을 천천히 연습할 수 있게 제시한다.

한국어 이중모음 ‘얘’ 발음은 오류 분석 결과 오류가 제일 많이 나타난 것이고 음향 음성학적 대조 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이다. 그 래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얘’ 발음을 교정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입모양 사진을 함께 제시하면서 연습할 수 있다.

+

[그림 Ⅳ-1]한국 이중모음 ‘얘’ 발음의 입 모양

교사는 하급자에게 ‘이’ 활음과 단모음 ‘애’를 발음하는 것을 사진과 함 께 보여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이중모음 ‘얘’는

‘이’를 짧게 발음한 후에 연달아 ‘얘’를 발음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교사가 발음한 후에 학습자들이 ‘얘’ 발음을 따라하는 연습을 할 수 있고 그 다음에 학습자들끼리 두 명씩 나눠서 발음 연습을 할 수 있다.

이렇게 y계 이중모음을 설명 시 ‘이’를 짧게 발음하고 ‘아, 어, 오, 우, 에’를 발음하는 것으로 y계 이중모음을 발음하는 방법, 즉 같은 활음을 공 유하는 모음끼리 묶어 제시하는 것이 설명과 이해에 효과적이다(신지영 외, 2015).

이중모음의 발음을 연습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다. 이

얘 얘 얘 얘 얘 얘 얘 얘 얘 얘 얘 얘

야 야 야 야 야 야 야 야 야 야 야 야 여 여 여 여 여 여 여 여 여 여 여 여 요 요 요 요 요 요 요 요 요 요 요 요 유 유 유 유 유 유 유 유 유 유 유 유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야 여 요 유 예 얘 야 얘 여 예 요 유 얘 예 유 요 여 야

야구 여기 요리 유리 예약 얘기

과정은 이중모음 글자들을 익히는 목적을 함께 가지므로, 글자를 보고 발 음을 충분히 익힐 수 있는 시간이 학습자들에게 주어야 한다. 앞서 언급했 듯이 처음에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을 고려한 순서로 제시하고 이 연습 을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무작위로 y계 이중모음을 섞어 제시함으로써 음 가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연습 활동 1> ‘얘’ 이중모음을 발음해 보세요.

<연습 활동 2> 이중모음을 발음해 보세요.

<연습 활동 3> 다음 이중모음을 발음해 보세요.

<연습 활동 4> 다음을 소리를 내서 읽어 보세요.

스리랑카 학습자들 중 빈번히 오류가 발생한 발음으로 ‘외’ 발음도 있 다. 이호영(1996)에 따르면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는 ’웨’와 같은 음가로 발

외 외 외 외 외 외 외 외 외 외 외 외

와 와 와 와 와 와 와 와 와 와 와 와 워 워 워 워 워 워 워 워 워 워 워 워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웨 웨 웨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왜 위 위 위 위 위 위 위 위 위 위 위 위

와 워 왜 웨 외 위 와 왜 워 웨 외 위 위 외 웨 왜 워 와

음되다. 그러므로 ‘외’ 발음을 연습 먼저 ‘우’를 발음하다가 천천히 ‘에’의 발음을 연결한다. ‘우’에서 빠르게 ‘에’로 미끄러져 ‘에’를 강하게 발음한 다. 이 과정을 빠르게 반복하면 ‘외’를 발음하게 된다.

+

[그림 Ⅳ-2] 한국어 이중모음 ‘외’ 발음의 입 모양

이렇게 w계 이중모음을 설명 시 ‘우’를 짧게 발음하고 ‘아, 어, 애, 에, 위’를 발음하는 것으로 w계 이중모음을 발음하는 방법을 가르칠 수 있다.

<연습 활동 5> ‘외’ 이중모음을 발음해 보세요.

<연습 활동 6> 이중모음을 발음해 보세요.

<연습 활동 7> 다음 이중모음을 발음해 보세요.

이러한 연습과 함께 원어민의 이중모음 발음을 듣고 따라 하는 연습을

와요 워낙 왜 웨이터 외국 위치

으 이 으 이 의 으 이 으 이 의 으 이 으 이 의 의 의 의 의 의 할 수 있다.

<연습 활동 8> 다음을 소리를 내서 읽어 보세요.

오류 분석 결과 스리랑카인 학습자들이 많은 오류를 범한 발음으로 ‘의’

발음도 있다. ‘의’ 발음을 연습할 때는 먼저 ‘으’ 발음할 때 입을 조금만 벌리고 입술과 혀는 편안하게 둔다. ‘이’를 발음할 때는 혀를 좀 더 앞으 로 보낸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연습시킬 때 입술의 모양은 ‘으’로 유지 하고 혀의 위치는 ‘으’에서 ‘이’로 빨리 옮기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

[그림 Ⅳ-3] 한국어 이중모음 ‘의’ 발음의 입 모양

<연습 활동 9> ‘의’ 이중모음을 발음해 보세요.

‘의’는 발음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해야 한다는 것도 ‘의’ 발음 연습 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단어의 첫 음절에서 ‘의’로 발음해야 하고, 단어의 둘째 음절 이하에서나 자음과 함께 쓸 때 ‘이’로 발음해야 하고 조사로 쓸 때 ‘에’로 발음해야 한다는 규칙을 설명하는 것이 좋다.

단어의 첫 음절에서: [의] ⇒의사[의사], 의자[의자]

의사 의자 의미 의지 의도 의견 의심 의논

강의 거의 문의 회의

여의도 창의력 축의금 펴의점

희망 희생 흰색 무늬 너희 저희

한국의 미 하늘의 별 따기 그림의 떡 고향의 봄

단어의 둘째 음절 이하에서: [이] ⇒강의[강이], 회의[훼이]

자음+‘ㅢ’: [이]: ⇒희망[히망], 무늬[무니]

조사 ‘의’:[에] ⇒친구의 친구[친구에 친구]

<연습 활동 10> 다음을 소리를 내서 읽어 보세요.

<연습 활동 11> 다음을 소리를 내서 읽어 보세요.

<연습 활동 12> 다음을 소리를 내서 읽어 보세요.

<연습 활동 13> 다음을 소리를 내서 읽어 보세요.

‘얘’ 이중모음 발음은 제외하고 나머지 이중모음 모두 단모음으로 발음 될 때도 있고 장모음으로 발음될 때도 있고 ‘얘’는 장모음으로 발음해야 한다는 점을 설명해 주는 것 바람직하다. 이러한 많은 연습 활동을 통해 스리랑카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게 도와준 다.

현재 사회에서 급속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스마트 교육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최근에는 이러닝(e-Learning), 모바일 학습(m-Learning), 게임 학습 (g-Learning) 등 기존의 학습과는 다른 형태의 학습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오늘날 학습자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띠라서 본고에서는 소 리의 시각화를 활용하여 스리랑카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교육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학습자가 자신의 PC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쉽고 효율적으로 발음을 습 득하는 것도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활용한 발음 교육 방안을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스리랑카 학습 자를 위한 한국어의 정확한 발음에 대해서는 인터넷이나 애플리케이션으 로는 부족하며, 스리랑카인 학습자를 위한 웹 기반 멀티미디어의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발음을 비교·대조하여 발음하는 동영상을 제작하 여 유튜브에 공유한 후, 학습자와 교사로부터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학습자들과 함께 한국어 모음 발음 에 대해서 토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리랑카 학습자를 위해 발음 방법이나 규칙의 원리를 파악할 수도 있다고 본다. 그러나 학습자가 보다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Praat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