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어 이중모음 교수·학습 실제

이중모음에 대한 지식을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어와 스리랑카어의 이중모 음을 비교·대조를 통해 두 언어 간의 차이점이 있다는 사실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인지적 학습 후, 행동적 학습을 진행해야 한다. Praat 음성 분석 프로그 램이 생소한 학습자에게 Praat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려준다. 학습자는 본인의 발음을 녹음하고 그것의 파형과 스펙트로그램을 볼 수 있는 정도 의 지식만 있으면 충분하여 그 사용법만 간단하게 가르친다. 그 후에 학습 자들은 스스로 자신의 발음을 녹음하고 그것을 시각화한다. 이때 교사는 학습자에게 한국어 이중모음과 한국어 이중모음이 들어 있는 단어 중 오 류를 일으킬 수 있는 단어를 녹음하도록 지도한다. 학습자들은 본인의 음 성의 파형과 스펙트로그램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료 학습자들 의 음성과도 비교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는 한국인 화자의 음성을 Praat로 분석한 파형과 스펙트로그램을 제시하여 학습자 본인의 발음과 비교·대조하도록 지도한다. 여기에서는 학습자들은 파형의 모양, 길이나 스펙트로그램의 색깔을 관찰하면서 본인의 발음이 한국인 화자의 발음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Praat를 통해 한국인 화자의 발음과 비교해보면서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스스로 본인의 발음을 교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 과적이다.

(production)37)’ 단계로 이루어진 ‘PPP’ 모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효율 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무엇을’, ‘왜’ 학습하고 있는지를 분명히 인식시킬 수 있는 제시 단계가 필요하다. 그다음에는 원 어민의 자연스러운 발음을 듣고 따라하거나 교사의 발음을 따라하는 연습 단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학습자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발음을 학 습할 수 있는 생성 단계가 필요하다. 한국어 교육학 사전(2014)에 따라 PPP 모형은 언어 학습을 일종의 습관 형성으로 보고 제시-연습-활용의 단계에 따라 교수 학습 활동을 진행하는 수업 모형을 가리킨다. 그래서 PPP모형은 바른 언어 사례를 제시하면서 반복 연습하고 언어 자료들을 자 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에 서는 효과적인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해 이에 대한 내용을 교재 및 선 행 연구 검토를 하여 통합 교재 내에서 좀 더 효율적인 이중모음 교수·학 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도입-제시-연습-사용-마무리’의 단계로 PPP 모형이 이루어 진다. 도입 단계는 학습 목표를 도입하고 소개하는 단계이다. 제시 단계는 학습 목표가 되는 발음 항목을 들려주고 음을 정확히 인식하고 발음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단계이다. 학습자들이 학습 목표를 다루기 위하여 반복 연습을 하는 단계는 연습 단계이다. 사용 단계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 여 학습한 발음 교육 내용을 연습해 보는 단계이며 마무리 단계는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학습한 내용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며, 과제를 부 여하는 단계이다.

PPP 모형의 첫 단계인 제시 단계에서는 본고의 Ⅱ장에서 대조 분석한 바와 함께 단모음의 조음 방법과 이해 정도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단모음 의 기초에서 배우는 이중모음을 끌어낸다38). 이중모음을 배우는 순서는 y 계 이중모음, w계 이중모음, ɨ계 이중모음 순으로 가르친다. 이를 위해 사

3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허용·김선정, 2006: 22)

38) 학습자가 단모음을 학습했지만, 본격적인 발음 교육은 이제 시작하는 것이므 로 모음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이중모음 습득에 도움이 된다.

진, 거울, 도표, 그림 등 시각적 보조 자료를 사용 또는 음성 설비39)를 이 용하여 학생들에게 정확한 발음의 혀의 위치, 혀의 높이, 입술 모양을 가 르친다40).

PPP 교수 모형과 교안 작성 형식을 참고하여 y-계 이중모음, w-계 이 중모음, 그리고 ɨ-계 이중모음은 1차시와 2차시로 나눠 총 2차시 수업으 로 구성하였으며, 1차시는 55분 수업으로 이루어졌 있다.

다음은 앞서 다룬 한국어 이중모음 음성 양상 및 오류 분석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스리랑카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중모음 교육 방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리랑카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선정한 한 국어 이중모음 교육 내용을 토대로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학습 과제 를 설계해 보았다. 한국어의 이중모음 발음을 정확하게 습득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기본적인 이중모음 체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중모음 체계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단모음부터 인지해야 하기 때문에 교사가 학습자에게 모음체계와 이중모음체계를 IPA와 같은 정보를 활용해서 대조분석을 토대 로 하여 설명할 수 있다. 특히 학습자에게 이중모음 체계를 설명할 때 시 청각적인 자료와 함께 제시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크라센 (Krashen, 1982)에서는 제2언어 학습자에게 노출되는 모든 유형의 자료 를 충분한 입력(input)을 기반으로 목표어를 학습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 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목표 언어 자료들을 입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이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서 듣기 활동을 활용할 수 있다.

교사는 한국어 이중모음을 제시할 때 한국어에는 이중모음이 첫소리에 따라 y-계 이중모음, w-계 이중모음 그리고 ɨ-계 이중모음 세 가지 종류 39) 인터넷을 이용해서 원어민 화자의 이중모음 발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40) 또한 스리랑카어의 ‘ㅓ’ 발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ㅗ’와 ‘ㅓ’의 차이가 교수·학습 방법으로 보여줘야 한다. 신지영 외(2015)은 집게손 가락을 입술 1cm 앞에 세로로 대 보게 하는 방법으로 ‘ㅗ’와 ‘ㅓ’의 차이가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정확하게 인지시켜야 학습자들이 활음에 단모음을 결합해서 만들어진 이중모음 ‘ㅕ’와 ‘ㅛ’의 차이도 인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의 이중모음이 있다고 설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어 이중모음을 따 로 가르칠 수 있다. 먼저 학습자에게 단어를 들려주고, 학습자의 관심을 끌 수 있다.41)

<연습 활동 예시>

<표 Ⅳ-4> y-계 한국어 이중모음 y-계 한국어 이중모음 단계 -y계열 이중모음을 제시하기

야, 여, 요, 유, 예, 얘 -발음 원리 설명하기

야 = [이]+[아]→[야]

* ‘야’는 [이아]를 끊지 않고 연이어서 빨리 발음한다. 이때 [이]

는 짧고 약하게 [아]에 붙는다.42)

여 = [이]+[어]→[여]

요 = [이]+[오]→[요]

유 = [이]+[우]→[유]

얘 = [이]+[애]→[얘]

예 = [이]+[에]→[예]

* ‘여, 요, 유, 얘, 예’도 같은 방법으로 발음한다.

41) <연습 활동 예시>는 스리랑카인 학습자 중에서 오류가 많이 나타난 y계열 이중모음 중심으로 해서 만든 것이며, 오류 비율이 미미하게 나타난 이중모음 경우는 제시하지 않았다.

42) 서울대학교언어교육원(2009: 26)에 들어 있는 설명을 모국어로 가르친다.

야구 유리 요리 예약 얘기

[그림 Ⅳ-9] 입 모양 제시 그림 예

이중모음은 단모음과 활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단모음과 달리 발음 할 때 입의 모양이 바뀐다. 이는 입 모양 예시 그림을 제시하면서 설명할 수 있다. 또는 교사가 입모양의 변화를 보여줘도 좋다.

[그림 Ⅳ-8] 입 모양 제시 그림 예

Ⅲ장에서 학습자의 정확한 발음 습득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예, 얘’ 음성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공통점과 차 이점을 인식시키도록 한다. 통계 분석 결과 ‘얘’ 발음에서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기 때문에 원어민의 발음을 들려주면서 이 중요한 내용을 스펙 트로그램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림 Ⅳ-10] 한국어인 발화 /얘/ 이중모음의 음성 양상 스펙트로그램

[그림 Ⅳ-11] 스리랑카 학습자 발화 /얘/ 이중모음의 음성 양상 스펙트로그램

‘얘’를 포함하는 낱말은 ‘얘기’, ‘얘’, ‘걔’, ‘쟤’ 등 몇 개밖에 없는데, 모 두 장모음으로 발음된다.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 분석 결과 스리랑카 학습 자는 ‘얘’는 단모음처럼 발음한 경우 많았기 때문에 이런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y-계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원리를 인지한 후 학습자에게 정확 한 발음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 습을 제시한다.

먼저 한국어 이중모음 연습을 시작하기 전에 함께 준비 연습을 하는 것 이 효과적이다. 그다음에 이중모음 연습을 제시하면서 발음 습득을 제대로

① 야 야 야 여 여 여 요 요 요 유 유 유 예 예 예

② 야 여 요 유 예 여 야 유 얘 요 요 예 여 유 야 유 요 예 야 여 예 유 야 여 요

① 굴 귤

② 벌 별

③ 거울 겨울

④ 후일 휴일

⑤ 모사 묘사

⑥대포 대표

하기 위해 많은 연습을 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만 연습할 수도 있고 이중모음이 들어 있는 단어를 연습할 수도 있다.

<준비 연습 활동 1> 다음은 [야, 여, 요, 유, 얘, 예] 발음을 위한 준비 연 습입니다. 잘 듣고 따라 해 보세요.

<준비 연습 활동 2> 다음은 소리가 비슷한 단어를 구별하는 연습입니다.

잘 듣고 따라 해 보세요.

<준비 연습 활동 1>과 <준비 연습 활동 2>는 y-계 이중모음과 이중모 음이 들어있는 단어를 함께 습득할 수 있는 활동이다. <준비 연습 활동 1>에서 y-계 이중모음을 연습하고 <준비 연습 활동 2>에서 이중모음이 들어 있는 단어도 함께 연습하도록 한다. 이후, 연습 활동 단계에서 많은 연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습자에 게 y-계 이중모음에 대한 주의를 더욱 기울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