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증명은 곧 존재의 변화이다. 존재의 변화는 성찰과 통찰로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해오던 교육에 대한 진정한 성찰이 전제되어야 한다. 21세기 창의융합 사회를 견인하는 새로운 교육에 대한 통찰이 수 반되어야 한다. ‘왜 대학에 가는가’(Andrew Delbanco, 2016)는 근본적인 물음 속에 “대학은 우리에게 무엇이었고,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숙고하는 것이다. ‘교육의 종말’(Kronman, A.) 속에 ‘대학의 몰락’(서보명)을 목격 하고, ‘폐허의 대학’(Readings, B.)을 넘어, 이제 ‘미래의 대학’(Carey, K.)을 설계하는 과업이다.
이 과정 속에 확인되는 공통된 성찰은 ‘교양교육의 실종’이며, 일관된 통찰은 ‘교양교육의 가치 회복’이었다.
4차 산업혁명은 4차 대학혁명을 추동하고, 4차 대학혁명은 교양교육의 전면적인 재구조화를 요구한다. 교양교 육에 대한 외적인 요구뿐만 아니라 내적인 변화의 동인은 차고 넘친다. 교양교육 그 자체에서 교양교육이 미래 를 탐색하고, 미래의 교양교육을 모색해야 한다. 기초학문이 사라진다고 해도 교양교육은 존재할 수 있는 길 을 찾아야 한다.
대학은 성찰과 통찰을 제도화해야 한다. 대학의 성찰과 통찰의 제도화는 교양교육을 직시하는 길이다. 존재 의 변화는 스스로 해야 의미가 있다. 빈사의 길을 극복하고 독립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빈사의 길은 개선이고 독립의 길은 혁신이다. 빈사는 소극적 대응이고 독립은 적극적 타개이다. 방향의 미세한 차이가 길을 가른다.
교양교육의 주체를 새롭게 재정립하고, 내용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면서, 방법적 혁신을 일상화하는 것이 최소한 의 책무이자 최대한의 선택이다. 대학의 존재 가치는 인간이 존재하는 이유이다. 교양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In what language shall we speak?
- Exploring the common foundation of Liberal Arts in the age of the 4threvolution
Han, Soo Young(Chung-Ang University)
Abstract
Liberal arts have long shared the “timeless idea”of the unity of knowledge. “Hortus Deliciarum (the Garden of Delights)”and “Consilience”demonstrate the course of its evolution symbolically. The unity of knowledge aims to bring knowledge to a transcendental level as a “sacred language,”and it can also converge all knowledge into the smallest matter as the “language of reduction.”The analogies
“the Garden of ‘Delights,”filled with blossoms of a variety of knowledge, and Ariadne’s“Thread,”
that runs through all knowledge, indicate that the idea of the unity of knowledge has created a broad range of discontinuous and diverse coordinates between the transcendental spiritual area and the concrete physical area.
Humanities and science, the convergence of the two cultures, is a whole other journey toward the unity of knowledge. Different coordinates coexist on the modern stage of knowledge, and the unification of humanities and science requires a common language that can weave “Garden”and
“Thread”together.
These two areas share the sensibilities of the “wonder-the beyond- relationship”with nature, and the area of Poetic Science can be constructed on this basis. The new narrative of poetic science begins with the paradox of this existence, that is, a “matter”and, at the same time, a “spirit”capable of imagining and choosing its own genesis and future. The language of poetic science narrates the complexity and uniqueness of life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It weaves the certainty of scientific knowledge and human potential and converts “knowledge”to “value.”The biological knowledge of DNA can be reorganized into a narrative of destiny and choice. Poetic science can be a type of platform for a convergence, here and now, on the journey for the “timeless idea.”
어떤 언어로 이야기할 것인가?
- 4차 산업혁명시대, 자유학예교육의 공통토대 탐구
한수영(중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