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Liberal Arts College 운영을 위한 기본 계획

III. Construction of Fudan General Education Core Curriculum

3. Liberal Arts College 운영을 위한 기본 계획

문제는 liberal education의 구체적인 내용과 운영 방안, 즉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단 국대학교는 교육혁신을 통한 대학 특화를 목적으로 미 래교육혁신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교육과정 및 학사제 도 개선을 위한 4가지 정책연구를 추진하였다.10) LAC 설립 및 Liberal Education 운영 계획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는 그 가운데 하나였다. 연구진에서는 LAC의 운영 목적과 기본 철학, 교육 목표와 추진 전략, 조직 운 영 방안 및 교육과정 편성, 개설 교과목 등에 관한 기 본계획을 수립하여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 합동 실 처장회의와 교무위원회에 각각 보고하였으며, 현재 구

성원의 의견을 수렴 중에 있다. 구성원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2019년 2월까지 LAC 운영 계획을 확정하게 되 면, 단국대학교의 liberal education 프로그램은 2019년 1년 동안의 준비과정을 거쳐 2020학년도부터 시행 에 들어간다.

최근 3년 간 뜸을 들여온 단국대학교의 Liberal Arts College 도입 및 운영에 대한 논의는 이제 서서히 그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단편적인 구상에서 시작하였던 LAC 운영에 대한 논의가 「2020 신학사구조개편안」의 확정과 함께 공식화되고, 정책연구와 미래교육포럼을 거치면서 큰 그림(Big Picture)을 그려가고 있다. 3장에서 는 현재 구상 중인 liberal education의 개요를 소개하고 각계의 조언을 구하여 보다 완성된 프로그램을 구축 하는 데 도움을 받고자 한다.

운영목적 ·학부교육의 혁신, 교양교육의 브랜드가치 창출

·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 인재 양성

·글로벌대학으로의 도약이라는 대학의 비전 실현 교육목표 ·보편적 지성 교육을 통한 전인적 인격 형성

·견실한 기초 교육을 통한 학문의 토대 형성 추진전략 ·교육목표와의 정합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편성

·교육의 균질성 확보를 위한 교과목 운영의 기본 원칙 준수

·탄탄한 기초교육을 위한 실천적 교육방법 시행

·견실한 기초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교육과정 ·중핵교양 : 인류의 지적·문화적 유산 이해 및 현대적 의의 탐구

·공통교양 : 대학에서의 학업 이수에 필요한 기본 토대 구축

·영역별교양 :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학습 조직/제도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 통합 Liberal Arts College

·기초학문분야 전임교원의 이중 배속(dual appointment)

·Liberal Arts & Science 학사 학위과정

·교과과정 삼분 체제 : 교양/전공/선택

·이중 설강(double listing) 및 교차 인정 제도

3.1. LAC 운영 목적과 기본 철학

단국대학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에서 Liberal Arts College를 운영하고자 한다. 첫째, 오랫동안 묵 과해 온 교양교육의 숙제를 해결하고 학부교육의 실질적 혁신을 꾀하기 위함이다.11) 비단 단국대학교만의 문제 는 아니겠으나, 교양교육에 대한 구성원의 편견과 오해는 학부교육의 혁신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전문 직업교육과는 상대되는 ‘일반적 보편 지성교육’이 교양교육의 본령임에도 불구하고 전공기초교육을 위한 교과 목이나 실용 교육을 위한 교과목(취·창업 관련 교과목이나 특정 시험 대비 교과목 등)을 교양 교과목으로 개설해 온 관행, 교원의 책임시수 충족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교양 교과목을 개설해 주어야 한다는 그릇된 인식 등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Liberal Arts College의 운영은 이와 같은 오래된 관행을 혁신하고 교양기초교육을 본래 의 목적에 맞게 운영함으로써 학부교육의 질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갈 미래 창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주지하듯이, 산업 수요와 사회 환 경의 급속한 변화는 기존의 전공 중심 교육으로 대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12) 특히 초연결(hyperconnectivity),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총체적 맥락 속에서 문제를 조망할 수 있는

‘지적 연결지평’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식견, 깊 이 있는 안목을 갖출 수 있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13) 그런 점에서 기초학문분야에 대한 폭넓은 교육, 깊이 있 는 교육, 견실한 교육을 제공할 liberal education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갈 미래 인재 양성에 기여할 뿐 아니라, 전공교육 중심의 ‘사일로 효과(silo effect)’를 극복하고 교양교육의 가치를 재발견하게 하는 ‘플랫폼 효과

11)  단국대학교는 2017년 6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 컨설팅을 통해 교양교육 현황에 대한 진단과 함께 개선해야 할 사항 들에 대한 조언과 도움을 구한 바 있다. 박정하·이보경·이재성, 「2017년도 대학 교양교육 컨설팅 단국대학교 진단결과보고 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7.

12)  조헌국,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pp.62~64.

13)  손동현, 「자유학예교육, 반 시대적 이념인가?, 「2018-1차 단국대학교 미래교육포럼: 대학교육의 미래와 인

(platform effect)14)를 확인하게 할 것이다.

셋째, 글로벌 스탠더드를 충족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대학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단국 대학교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함이다.15)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넘어 수월성까지 확 보해야 하는 바, 단국대학교는 LAC를 통하여 고등교육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충족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 써 글로벌 대학으로 발돋움하는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운영되는 단국대학교의 Liberal Arts College는 ‘근본으로 돌아가 미래를 개척하자’는 기치 아래 ‘오래된 미래를 향한 담대한 행보’를 기본철학으로 한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나니, 근본이 바로서면 나아갈 길이 절로 생겨난다.”고 하였다.16) 단국대학교 LAC의 기본철학은 시류에 흔들림 없이 고등교육이 감당 해야 할 책무를 담담하게 지고 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단국대학교 LAC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기초학문분야의 탐구 성과를 폭넓고 깊이 있게 교육함으로써 인류가 축적하여 온 최고의 지적·문화적 자산을 공유하고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오늘의 문제를 다루면서 인간에 대한 성찰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 키고 공감의 지평을 넓히도록 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 추구해야 하는 참다운 가치에 대하여 고민하게 하고 참다운 가치의 실현을 추구하도록 할 것이다. 교육외적 요인에 휘둘려 왔던 학부교육의 근본을 바로 세워서 ‘법고창신’의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 보편 지성교육을 통해 학생의 개인적 성장과 인간적 성숙을 도모함으로써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것이다.17)

3.2. 교육 목표와 추진 전략

단국대학교 Liberal Arts College는 학생 개개인으로 하여금 성숙한 인격체가 갖추어야 할 품성과 자질, 판단력과 도덕성은 물론 지적 소양과 균형 잡힌 안목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함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이 특정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욱 중 요하게 여긴다. 이와 같은 교육 목표는 ‘자유인’으로서의 삶의 자세를 견지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함양하고

14)  디지털 기업들이 폭넓은 상품과 서비스로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시키는 네트워크를 창출하여 규모수익의 증대를 누리는 현 상을 클라우스 슈밥은 ‘플랫폼 효과’라는 용어로 설명하였다. 한편 홍성기 교수는 교양교육을 전공교육의 플랫폼으로 이해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클라우스 슈밥 지음, 송경진 옮김,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p.34. ; 홍성기, 「개방형 플랫폼 시대의 교양교육, 『두루내 29,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7, pp.2~7.

15)  단국대학교는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면서 ‘도전과 창조의 글로벌 대학’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글로벌 경쟁 력 확보(Global Power)’와 ‘단국브랜드 가치(Special Pride)’를 발전목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발전목표 달성 을 위한 핵심추진분야 가운데 하나로 미래지향적 교육가치 창출을 선정하였다. 단국대학교, 「도전과 창조의 글로벌대학 Dynamic Dankook 2027, 2017, pp.22~23.

16)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論語 「學而篇.

17)  단국대학교 LAC의 기본 철학은 장호성 총장의 『두루내 32호 권두논설을 통해 제시된 바 있다. 필자 또한

「단국대학교의 D-LAC 추진 배경과 방향에서 그와 관련한 관견을 제시한 바 있다. 장호성, 「국제 교양교육 포럼에 즈음하여, 『두루내 32,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8, pp.4~7. ; 윤승준, 「단국대학교의 D-LAC 추진 배경과 방향, 「2018-3차 미래교육포럼: 한국형 Liberal Arts College와 Liberal Education의 방향, 단국대

자 하는 liberal education의 기본 취지를 충실히 반영한 것이다.18)

또한 단국대학교 Liberal Arts College는 어느 한 전공이나 직업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어떤 분야의 학문 이나 직업에나 두루 적용될 수 있는 공통된 기초를 놓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19) 이와 같은 교육 목표는 전 공교육의 플랫폼으로서 교양기초교육이 감당해야 할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겠다는 의지의 천명임과 동시에, 교양기초교육과 전공교육의 상생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함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폭넓은 교양교육, 깊이 있는 교양교육, 견실한 기초교육은 전공교육의 성과를 제고하여 대학의 교육 목표와 비전을 실현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단국대학교 Liberal Arts College는 이와 같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 목표와의 정합성을 고 려한 교육과정 편성’, ‘교육의 균질성 확보를 위한 교과목 운영의 기본 원칙 준수’, ‘탄탄한 기초교육을 위한 실 천적 교육 방법 시행’, ‘견실한 기초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지원’ 등의 4가지 추진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 한다. 교육 목표와의 정합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편성을 위하여 교양교육과정의 하위영역이 LAC의 교육 목표 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각 하위영역에 개설되는 교과목들은 개설 기준을 충족하는 교과목들로 한정하 고, 공통의 운영 원칙을 준수하게 하여 교육 목표의 실현과 함께 교육의 균질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 라 성찰과 탐구, 실험과 논증, 읽기와 토론을 통하여 주체적 학습 능력을 함양하고, 학습 내용과 현실 세계와의 상호 연계를 통해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능동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liberal education의 실질적 과제를 담당할 교원 확보를 위하여 기초학문분야 전임교원의 이중 배속(dual appointment)

제도를 활성화하고, 필요시 교원을 확충한다. 강의실과 실험실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교내외 네트워크를 확충 하는 등 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3.3. 조직과 제도

단국대학교 Liberal Arts College는 최종 확정된 「2020 신학사구조개편안」의 틀에 따라 운영된다. 따라서 현재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에 각각 설치, 운영되고 있는 교양교육대학을 하나의 Liberal Arts College로 통합 운영한다. 이는 일관된 원칙과 기준을 지키지 못하고 캠퍼스별 상황에 따라 달리 운영되어 왔던 교양교육 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 아니라 캠퍼스별 특성화에 따라 달리 구축되어 있는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

18)  liberal education의 개념에 대해서는 이창수 외(2014), 조영하(2015), 최병문 외(2017) 등에서 검토된 바 있다. 특히 AAC&U(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 Universities)의 다음과 같은 정의는 liberal education의 개념을 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Liberal Education is an approach to learning that empowers individuals and prepares them to deal with complexity, diversity, and change. It provides students with broad knowledge of the wider world (e.g. science, culture, and society) as well as in-depth study in a specific area of interest. A liberal education helps students develop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strong and transferable intellectual and practical skills such as com- munication, analytical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a demonstrated ability to apply knowledge and skills in real-world settings.” https://www.aacu.org/leap/what-is-a-liberal-education ; 이창수·송백 훈·전종구, 「자유교육의 개념에 대한 고찰-한국 대학의 교양교육에 주는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4-6,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 조영하, 「21세기 대학의 자유교육, 그 정체성에 관한 고찰-미국고등교육사회의 관련 논쟁과 담론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5-4,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 최병문 외, 「한국형 리버 럴아츠칼리지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7.

19)  이는 실상 Yale Report(1828)에서 제시한 Yale College의 교육목적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Our object is not to teach that which is peculiar to any one of the professions ; but to lay the foundation which is common to them all.”

A COMMITTEE OF THE CORPORATION AND THE ACADEMICAL FACULTY, REPORTS ON THE COURSE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