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Construction of Fudan General Education Core Curriculum
3. H-LAC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과제
1) 학과제도 폐지
모든 대학의 기본 단위조직은 학과이다. 학과는 학생들의 구심점이면서 동시에 교수들의 소속단위이다. 이
러한 조직은 우리나라의 대학제도가 시행된 이래 변함없이 지속되어 왔다.
한때 교육부가 각 대학에 강요하였던 학부제도가 학과를 대신한 경우도 있었지만, 학부는 학생들의 소속단 위이었을 뿐, 교수들은 여전히 학과조직에 안주하면서 학생들을 기다려 왔다. 학과사무실과 이 사무실에 배속 되어 있는 조교들은 학생과 교수의 중간자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학생지도에 일익을 담당하기 보다는, 사 실상 학과교수들을 보좌하고 대학의 행정사항을 교수들에게 전달하는 비사실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신입학 자원의 감소로 인하여, 등록금 의존도가 사실상 100%인 중소형 사립대학의 재정은 악화일로 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과별 사무실 운영은 재정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고, 행정 전산화가 고도화됨에 따 라 본래의 기능인, 본부, 교수, 학생 사이의 소통과 연락을 학과 사무실과 조교를 통할 필요가 사라졌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과 사무실의 당위적 존재는 교수의 보좌기능에 기인한다.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교수 의 입장에서 학과 사무실과 조교는 반드시 지키고 싶은, 학생지도나 행정업무를 대행시킬 수 있는 달콤한 존 재이다. 이러한 이유로 학과사무실은 반드시 있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학과제도는 결코 허물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인 것이다. 리버럴아츠 칼리지의 기본은 ‘자유’롭게 학문영역을 탐구하여 자신의 지성을 높여나가는 것 이다. 학과 또는 학과사무실은 이러한 자유를 사실상 철저하게 봉쇄한다. 대학은 마땅히 이 구조를 타파하여 야 하지만 교수들의 저항은 선뜻 실행을 주저하게 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최근 학생자원의 감소와 재정악화가 지속된다면 분명히 학과제도는 소멸될 것이고, 따라서 진정한 리버럴아츠 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은 빠른 시 간 안에 마련될 것이다.
2) 교수들의 전공 타파
교수들은 한 분야에서 고도의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며 지속적으로 학문을 탐구하여야 한다.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연구중심대학이 아닌 교육중심대학의 교수는 학생의 교육이 우선이어야 한다. 따라서 시 의성이 있고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공하고자 부단하게 노력하여야 한다. 과거에 연마하였던 지식체계를 언제나 변함없이 가르치려는 것은 교육중심대학의 교수로서는 일종의 직무유기이다. 4차 산업혁명 이 가져올 미래는, 하나의 직업, 하나의 전문기술에 의존하여 감당할 수 없는 변화가 있음은 자명하고, 이는 대 학의 교수들, 즉 지식인들이 먼저 예견하고 주창하였다. 한편 아이러니하게도 미래를 예견하는 교수들도 교육 에서는 자신의 과거 전공을 정년까지 고집하려고 한다. 교수의 전문분야가 아닌 교과는 아무리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이라고 하더라도 빠질 수 없다. 교수가 전공한 혹은 강의하기 쉬운 교과가 교과과정에서 우선 하고, 일부 새롭게 도입하여야 하는 교과들은 시간강사나 신임교원들에게 전가한다. 리버럴아츠 칼리지가 다양 한 융복합 전공트랙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지도하려면 교수들 스스로가 늘 새롭게 깨어나려는 각성이 필요하 다. 한편 학교의 행정은 H-LAC 교수에게 연구업적을 강요하기보다 교육업적을 존중하여 평가하고, 교육에 전 념하게 하는 정책 또는 업적평가제도를 실시하여야 한다.
3) 학생들의 인식과 학업자세
고교 교육의 실패 학생들은 더 이상 생각하기를 싫어한다. 지치고 힘들어서 아무 생각없이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하려 할 뿐, 새로운 도전은 사회에 진출한 이후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더 이상 고급하고 저명한 교
수가 필요하지 않다. 자신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다정하게 감싸주고 성심을 다하는 교수가 필요하다.
자신의 전공을 스스로 선택하여야 하는 리버럴아츠 교육시스템은 이러한 학생들에게 거부감 또는 두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대학교육이나 졸업 후 진로에 대하여 고교 시절처럼 간섭할 지식과 열정 이 부족하다. 결국 학생들이 학업에 진지하게 임하게 하려면, 엄격한 학사관리가 필요하다. 최근 교육부의 간 섭으로 대학의 학사일정 준수는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학기당 15주 수업과 보충학습기간, 중간 기말고사, 휴보강관리, 출결관리 등 외형적 학사관리는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학생들에 의한 강의( 교수)평가와 상대평가제도는 교수들의 교육열을 위축시키고 좌절하게 만든다. 상대평가제도는 매우 비교육적인 성취평가 방법임은 교수자들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공정성과 형평성을 건드릴 가능성이 있는 절대평가는 교 수들로 하여금 모험을 회피하게 만든다. 그러나 강의계획서와 학습지침서를 통해 학습자가 반드시 성취하여야 하는 기준을 적절하고도 명확하게 제시한 다음, 이를 기준으로 객관적이면서도 냉정하게 평가하여 학점을 부 여한다면 얼마든지 절대평가로 회귀하여 교수의 권의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4) 핵심교과의 Double Listing
대전대학교 H-LAC의 교육은, ‘더 넓은 자유, 더 깊은 사고, 더 높은 지성’을 추구한다. 즉, 기초학문 중심으 로 사고력을 깊게 하는 한편 여러 학문분야들을 다양하게 섭렵하여 높은 지성을 갖춘 인재로 교육하려고 한 다. 학생들이 더 많은 학문분야를 탐구토록 하기 위하여, 전공이수 학점을 적게 요구하고 있다. 한 학생이 적 어도 2개 이상의 전공트랙을 이수하게 하려는 교육정책이다. 여기에 리버럴아츠 핵심영역의 교과목들이 전공 수준을 유지한다면 그 교과들은 포함하는 전공트랙을 다양하게 구상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공 이수에 필요한 교과들을 핵심교과와 함께 이중으로 설강한다면 전공트랙 이수를 훨씬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상 리버럴아츠 교육정착을 몇 가지 제언들은 교수와 학교행정의 협조가 담보되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대학 교육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생각보다 훨씬 가깝게 다가와 있다. 그러므로 교수와 학 교의 교육에 대한 인식 또한 빠르게 전환될 것으로 예축한다.
자유교육에서 자유학예교육으로? 일본 교양교육 사례 연구
푸타오 황(히로시마 대학교)
초록
본 발표는 1990년대 이후 일본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이 자유학예교육 시스템으로 변화해온 과정을 다룬다.
선행 연구의 검토, 특히 국가 교육 정책 연구의 분석과 검토에 기초하여, 1947년 이후 일본에서의 교양교육의 이념, 체계, 교육과정 등의 변화과정을 논의할 것이다. 나아가 현재 일본의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유학예 교육이 기존의 교양교육과 어떠한 차별성과 연계성을 갖고 있는지 검토하고, 이러한 일본 교양교육의 변화가 갖 는 함의를 연구, 정책, 제도적 차원에서 분석할 것이다.
From General Education to Liberal Arts Education?
Futao Huang(Hiroshima University)
Introduc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US general education to Japan’s universities in 1947 when the US army occupied Japan, various changes occurred in Japan’s general education in relation to its goals,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For example, Seki analyzed the changes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y from the late 1940s to the 1980s and described the most striking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in difference periods (Seki, 1989).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s university and general education and focusing four aspects of university curriculum: the goal, content, linkage of university education with senior higher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al system, Yoshita (2013) claimed that since the end of WWII, changes to general education in Japan’s university experienced four stages. Huang’s research indicates that because general education was enforced by the American Occupation authorities in a formal and systematic way, it has exerted more profound influences on Japan’s undergraduate education since the late 1940s, compared to other Asian societies. However, over the past fifty years, remarkable changes also happened to Japan’s general education at policy, system and program levels because it has been constantly influenced by changing social and educational contexts (Huang, 2018). Further, compared to earlier
educational system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general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and colleges since 1991 (Huang, 2015). For example, there was a gradually dominant delivery of general studies by almost all faculty members, including those from faculties of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studies, a rise in the number of institutions to adopt the wedge-shaped model of undergraduate studies, and a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programs in foreign languages, information science, and especially in first-year education or remedial program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evaluation systems at both n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hanges occurred in liberal arts education in Japan’s university since the 2000s. By analyzing government’s policies and strategies and what was provided at individual universities, the study attempts to discuss if there was a shift from general education to liberal arts education in Japan’s universities since 1991. The study begins with a short introduction to changing policies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1940s to 1991 and the most influential general education model in Japanese universities by 1991. In the second section, the study outlines the recent policies and strategi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provision of these programs based on relevant findings from national surveys of Japan’s universities which were conducted by the MEXT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The final section concludes by presenting main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Changing policies of general education
Soon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as one of important means of restructuring Japanese higher education based on nationalism, militarism, and unilateralism in the war time, the US occupation authorities and Japanese government launched national-level reforms on all levels of Japan’s education, including higher education modeled in almost every aspect on the US pattern. Among various reforms, the idea of general studies in Harvard University was adopted as an example to reform the undergraduate curricula in Japanese universities (Figure, 1). However, in practice because of longstanding tradi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strong resistances from industry and some government officers, largely differing from the US pattern, the US general studies were only delivered in the first two-year undergraduate education by faculty members in a Faculty of General Education. This faculty is treated as inferior to other faculties of specialized studies in terms of academic status, budget allocation and administrative arrangements. Despite changes to general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since it was transferred from the USA to Japan in 1947, prior to the early 1990s, the Japanese undergraduate education had been essentially influenced by
the model of professional curricula.
Figure 1 the Harvard model and post-war reforms on Japanese undergraduate education
Source: Huang (2004)
In relation to policy changes, according to main national policies of reforming undergraduate education from 1947 to 1990, they experienced three major phrases as follows (Table 1):
The first phrase (1947-early 1950s): it is also called the US occupation period. Main reforms include introducing the US model into Japan’s campus based on the idea of general education argued in the RED BOOK in Harvard University but also stressing the provision of Japanese profession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education.
The second phrase (1950-1960): Strongly demanded by industry and business, there emerged more diverse undergraduate program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Especially there seemed to be growing emphasis on professional studies. As part of undergraduate education, individual universities were asked to develop general education studies which mainly include foreign languages, health, basic or fundamental programs, and professional studies.
The third phase (1970-late1980s): government required individual universities to designing distinctive, diversified and comprehensive curriculum, including general education studies, according to the mission of each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