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공급 요인

Dalam dokumen 동일조건변경허락 2.0 (Halaman 48-52)

해외 항만 시장에 진출하는 선진국 대형 GTO들의 관점에서, 대형 항만운영 사업자가 해외 항만 사업에 진출하는 이유는 크게 다음 4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1) 신규 수익성의 확보

해외시장에서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해외항만사업은 자국 내 시장과 환경이 상이하기 때문에 리스크가 동반되기는 하지만 대개 독점적 시장의 특 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참여할 경우 높은 수익률을 획득할 수 있다. 선진 국의 대형항만운영업체들이 해외항만사업을 통해 획득하는 세전(Pre-tax)수익 률은 매출액 대비 25% 내외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높은 수익성은 이들 사업자의 진출을 촉진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선발 대형업체들의 해외사 업 운영이윤이 25%를 상회하고 있는 운영실적에 자극받은 업체들이 이제는 후발주자로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외항만 사업으로부터 얻은 수익은 시장의 특성, 참여범위, 부 여되는 인센티브 등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대부분 16%~

28%의 수익률이 적정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대해 선진국의 자본투자

가들은 해외사업에서 획득하는 내부 수익률이 최소 15%는 되어야 한다고 요 구하고 있다. 또한, 개도국의 경우에는 이윤율이 최소 20~22%는 되어야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32)

2) 고객 확보의 용이성

대형 항만운영업체들은 고객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 다. 자국 내 사업을 기반으로 획득한 부두운영 노하우, 전문 인력, 재원, 경험 등은 해외진출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 대형 항만운영업체

32) 김형태, 한철환, 우종균,『전게서』, 2000, p.23., Fairplay Amateurs Bage into Ports, April, 2000

가 보유하고 있는 요인을 다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① 동질의 서비스 제공

대형 항만운영업체들은 제3국 항만에서도 자국항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동등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선사들은 이들 항만운영업체가 제공하는 질 높은 서비스를 해외의 타 항만에서도 향수할 수 있다. 그리하여 선사는 가 능하면 동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만운영업체를 선호하게 된다.

②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대형 항만운영업체들이 세계 여러 항만에서 동일한 선사의 선박 접안과 물 량 처리를 취급 하게 되면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보다 유리한 조건을 다양 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만이용과 관련된 협상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국 항만에서 구축된 관계를 더욱 긴밀히 구축해 나갈 수 있다. 또한, 다수항만을 이용하는 단일선사의 규모가 적다하더라도 각 항만별 이용 물량을 합계할 경우 대규모 물량이 되므로, 이들 선사에게도 요율인하 등 인센티브 제공이 용이하다.

3) 사업 확대 및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대

선진국의 항만운영사업자는 자국시장의 항만운영만으로는 포화상태에 이르 러 충분한 사업기회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신규 사업 개발 및 사 업 확장을 위해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Hutchison Whampoa 그룹은 1990년대 초에 이미 홍콩의 급격한 화물량 증 가율이 궁극적으로 중국항만의 급신장으로 말미암아 낮아질 것으로 예측하였 다. 그리하여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해외사업으로 방향을 선회 하는 전략을 채택하였다.33)

33) J. Wang James and S. Brian, “Regional Governance of Port Development in China: A Case Study of Shanghai International Shipping Center”,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31, No.4, 2004, pp.357-373.

PSA Corp.도 싱가포르 자국시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 인근지역의 항만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더구나 인근지역의 항만개발이 싱가포르의 우위성을 깨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 서 이루어지는 것을 오히려 바람직하게 간주하고 있다. 그리고 싱가포르 항을 동남아의 정보기지로 만들어 자국의 정보기술 및 항만운영노하우를 전파하기 위해서도 해외항만 진출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DPW사도 P&O Port를 2006년도에 인수한 이래, 세계 3위의 GTO로 급부상 하였으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격적인 항만 투자 전략으로 HPH, PSA사 등 을 추격하고 있다. P&O Ports는 1980년 중반에 호주내의 멜버른, 시드니, Brisbane 및 Freemantle항의 주요 컨테이너 부두와 40개 이상의 항만에서 하 역업을 수행하게 되자 국내사업 확장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를 타개하기 위해 해외로 진출하였다.34)

대형 항만운영업체들은 동일한 부두운영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선박의 기 항지마다 동일 부두운영업체가 부두를 운영할 경우에는 선박의 제원, 선적화 물에 대한 각종정보의 파악이 용이하고, 선박의 입출항 및 화물의 운송 상황 에 대한 실시간 정보(real‐time information)를 제공하는 등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에게 요구하는 입출항 절차, 부두이용에 따르는 서류·서식 등이 통일되어 있다. 따라서, 항만이 지역적으로 상이한 곳에 위치해 있고, 항만마 다 각종 제도 및 관습이 상이하다 하더라도 부두이용 및 입출항에 소요되는 절차는 거의 유사하다.

항만운영업체의 관점에서도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Terminal Network)를 구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해외 항만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오늘날에는 IT 기술의 진전으로 각종 정보의 처리가 신속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작성 절차의 용이성 여부가 매우 중요한 코스트 및 경쟁력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

34)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의 해외항만 투자전략』,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004.

pp.30-40.

다. 만약 선사가 각종 정보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면 이는 비 용절감 및 경쟁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 IT 기술이 발전해 있는 오늘날에는 타 항만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만 하면 선사를 유치할 수 있는 능력이 월등하 게 향상된다. 이에 따라 부두운영업체는 세계적인 차원에서 항만간의 네트워 크를 구축·확대하고 있다.

4) 리스크 분산

해외 GTO들은 자국 내 시장에만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에는 그로 인한 리

스크가 크므로, 포트폴리오(Portfolio) 전략에 의한 리스크 분산 정책을 시행하 게 되었다. 해외 항만시장으로 진출함으로써, GTO들은 국내의 단일시장에 집 중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높은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HPH사는 1992년 중국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홍콩과 영국에 집중되어

있던 항만 투자의 리스크 분산을 위해 중국 본토에 까지 확대하였다.

또한, PSA사도 1996년까지 국내 항만사업에만 집중 투자하였으나, 이로 인 한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 1997년 이후 해외진출을 개시하였다.35)

35) J. Wang James and S. Brian, Ibid, 2004.

2GTO 등장배경과 유형

Dalam dokumen 동일조건변경허락 2.0 (Halaman 4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