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PSA Corporation은 21세기에 들어와서 항만운영 사업의 글로벌 화가 보편화될 것으로 예측하여, 1996년 이후 해외항만진출을 위한 획기적인 전략을 수립하였다.
PSA는 16개국 28개 항만에 진출해 있으며, 그중 6개는 중국 항만인데, 이를 위해 기존의 조직을 두 부문으로 개편해 해외 항만 진출 사업을 전담하는 International Business Department를 설립하였다.
또한, 향후 10년 이내에 해외 항만 사업에서 획득할 수입을 PSA사 전체수
입의 1/3 이상이 되도록 하는 장대한 목표 하에 PSA는 해외 항만 진출을 위 해 가장 먼저 타겟으로 선정한 곳이 중국이었다. PSA는 1996년에 Dalian, 2000년에는 Fuzhou, 2001년에는 Guanghou에 각각 진출하였다.
PSA는 한국에서 인천항 PSA-ICT(PSA Incheon Container Terminals)를 운 영하고 있고, 부산신항만 진출에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44)
44) PSA는 부산신항만(주) 16.23%의 지분을 확보하였으나, 공식적으로 정부의 승인을 득하지 못함.
지역 운영 중인 터미널 (개발 중인 터미널) 소 계
연 백만 TEU이상 처리실적 보유
극동 아시아
HIT TML, Cosco-HIT TML, TML#3, TML#8W(홍콩)
Guangzhou Con.TML, Fuzhou Qingzhou Con TML(중국)
Hibiki Con TML(일본), etc
Dongguan,Tianjin Port PhaseIII(중국)
14 (2)
HIT Terminal Cosco-HIT TML
Terminal 8W Guangzhou TML Dalian Con TML
유럽
Deurganckdok West Devlp., Europa TML(#855-869),
MSC Home Terminal, OCHZ Terminal(벨기에) Voltri TML,Vecon(이탈리아)
Terminal XXI(홍콩), etc
Great Yarmouth (영국)
10 (1)
Europa Terminal Noordzee TML
901-915,HNN) MSC Home
TML
동남아
Singapore Terminals, PSA-COSCO TML(싱가폴) Eastern LaemChabang(태국), etc.
SP-PSA Int'l Port (베트남)
5
(1) Singapore TMLs
남아시아 및 기타
Tuticorin Terminal New CNTR Terminal(인도)
Chennai TML(인도) Multi-purpose Panama Int' TML
(파나마), etc
7 (5)
합계 27 9 36
(9) 9
자료 : Drewy, Annual Review of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Sept., 2007.
<표 4-3> PSA 운영 터미널 지역적 분포
운영회사 및 터미널명 처리실적 (1,000TEU)
지분 (%)
지분율에 따른 처리실적
Dalian Container Terminals 2,885 34.6 988
Dalian Dagang China Shipping Container Terminals 274 20.1 55
Dalian Port Terminals 421 25.0 105
Guangzhou Container Terminals 1,781 49.0 873
Fuzhou Qingzhou Container Terminals 807 41.7 337 Fuzhou-Jiangyin int'l Container Terminals 192 40.0 77
자료: Drewy, 2007.
<표 4-4> PSA 중국 진출현황
2. 해외항만 투자전략
PSA는 중국 항만을 개발하는 것이 자사의 수익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중국 항만이 싱가포르의 허브기능을 보다 강화시킬 것으로 전망하여 중국진출을 계속 강화하고 있다. PSA는 이미 진출한 Fuzhou항에 2개의 선석 을 추가 건설하였으며, Tianjin Port Group과 JV(49%)형태로 4개의 선석을 건
설하여 2007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2008년 중에 다른 6개 선석의 운영을 개
시할 예정이다. 또한, Donguan Humen Port Authority와 20:80으로 Dongguan에 신항만을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운영을 개시할 예정이다.
PSA의 조직은 크게 전략사업그룹(Strategic Business Group)과 전략개발그 룹(Strategic Development Group)의 2개 핵심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략사 업그룹은 물류부(LD), 컨테이너 터미널부(CTD) 국제사업부(IBD) 등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전략개발그룹에는 자산관리부(PD), 엔지니어링부(ED), 정보기술 부(ITD), 기업개발부(CDD), 자금부(FD), 인력개발부(HRD) 등이 있다.
PSA의 해외항만진출시의 특징으로는 먼저 자회사를 통한 사업의 전개이다.
PSA는 산하에 수많은 자회사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항만운영과 물류
관련 사업이외에도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두 번째의 특징으로는 항만 개발 및 투자는 MPA와 PSA Corporation이 각각 담당하고 있으며, MPA는 항만수역관리, 입출항수로시설의 개발 및 유지, 항로표지개발 유지, 항만개발 계획 수립에 관여하고, PSA Corp.사는 항만건설의 계획에서부터 토지조성, 하 역기계 개발, 투자, 관리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마지막 특징으로 PSA는 선사, 화주 등 항만물류이용자들의 경쟁력 향상과 글로벌 시장수요에 적절히 대응하 기 위하여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PSA는 2000년 5월 정보회
사인 Portnet.com이라는 자회사를 설립하여 세계주요선사, 화주, 터미널관리자
및 터미널운영자를 위한 e-Solution을 제공하고 있으며 IT 기술을 활용하여 전 세계 항만에 진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