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공조설비의 부하 특성과 공조용 도매 공급비용 추정

데, 현행 요금과 지원제도를 전제로 할 때, 빙축열+가스보일러가 흡수 식 가스 냉온수기에 비해 비용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준으로 냉난방 공조용 수요에 적용되는 도매 요금은 연 평균

658.82원/㎥으로 추정된다. 즉, 5월∼9월 중의 소비는 냉방용 요금을

적용하고, 기타 월의 수요는 업무 난방용 요금을 적용하여 산정한 연 평균 요금은 658.82원/㎥이 되며, 이는 앞에서 설명한 기준 원료비

647.00원/㎥에 비해 11.82원/㎥ 정도 높은 것이다. 그리고 업무난방용

원료비에 비해서는 66.29원/㎥ 정도 저렴한 수준이다. 기준 원료비를 초과하는 원료비 부분에 대해 냉난방 공조용 물량이 부담할 것이 없 다고 가정한다면, 연평균 냉난방 공조용 도매 공급비용은 11.82원/㎥

수준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준 원료비를 초과하는 업 무난방용 원료비나 다른 용도의 원료비가 적용해야 할 적정 원료비 수준이라고 한다면, 냉난방 공조용 물량을 원료비 이하로 할인 판매한 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구분  업무난방용(용도기준) 업무난방용(설비기준) 냉방용 업무난방 소계 냉난방기 보일러등 소계

1월   44,890 44,890 13,218 31,672 44,890

2월   32,594 32,594 10,292 22,302 32,594

3월   24,850 24,850 5,555 19,295 24,850

4   18,308 18,308 3,469 14,839 18,308

5월 1,732 6,494 8,226 1,732 6,494 8,226

6월 6,005 4,834 10,839 6,005 4,834 10,839 7월 11,095 5,493 16,588 11,095 5,493 16,588

8월 15,016 3,349 18,365 15,016 3,349 18,365

9월 8,967 3,320 12,287 8,967 3,320 12,287

10월   6,123 6,123 2,710 3,413 6,123

11월   17,437 17,437 3,687 13,750 17,437

12월   35,992 35,992 7,968 28,024 35,992

합계 42,815 203,684 246,499 89,715 156,784 246,499

<표 5-6> 업무용 수요의 구분

(단위: ㎥)

자료: ㈜삼천리

나. 원가주의 원칙에 근거한 공조용 요금 추정

1) 추정의 전제

한국가스공사의 홈페이지에는 총괄원가의 내역에 대한 정보는 공개 하고 있지만, 용도별 원가의 배분과 관련된 사항을 별도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용도별 원가배부를 위해서는 몇 가지의 전제가 필 요하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가스부문 용도별 원가분석 을 위해서는 도시가스부문에 배부된 기능별 원가가 있어야 한다. 그러 나 한국가스공사에서는 기능별 원가자료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2011년도에 적용되는 도시가스 용도별 도매요금에 포함된 용도별 공 급비용을 활용하여 기능별 원가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용도별로 원가를 배부하기 위해서는 용도별 물량 전제 값들이 있어야 하므로 한국도시가스협회에서 발간하는 통계자료(도시가스통 계월보)에 있는 2010년 용도별 판매물량을 적용한다. 그리고 세분된 자료가 없는 열병합용은 하나의 용도로 취급한다.

현재의 용도별 분류기준에는 가스냉난방공조용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스냉난방공조용 도매공급비용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현 재의 용도별 수요패턴 자료를 재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업무난 방용과 냉방용으로 분류되는 현재의 용도별 판매량 자료는 순수 업무 난방용과 냉난방 공조용 판매량 자료로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2010년 실적 판매물량을 기준으로 공조용을 별도로 구분한 용도별 배 분기준은 <표 5-7>과 같다.

구분 연간공급량 동절기 물량

동절기

초과공급량 수요가수

물량 비율 물량 비율 건수 비율

주택용 9,596 43% 5,886 2,688 68% 13,795 94%

업무난방용 1,117 5% 736 364 9% 373 3%

일반용 1,861 8% 840 219 6% 448 3%

산업용 6,947 31% 2,698 383 10% 13 0.1%

열병합용 179 1% 78 19 0% 0 0.0%

집단에너지용 584 3% 426 231 6% 0 0.0%

수송용 1,055 5% 334 -   0 0.0%

냉난방공조용 774 4% 288 30 1% 16 0.1%

22,113 100% 11,288 3,934 100% 14,644 100%

<표 5-7> 도시가스용 용도별 배부기준 추정치

(단위: 백만 ㎥, 천 가구)

주: 배부기준 산정과정에 냉방용이 포함되어 <표 5-2>와 차이가 발생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 5-7>에서 동절기는 1∼3월, 12월이 며, 동절기 초과공급량은 동절기 판매물량에서 월평균 공급물량의 4 개월치를 차감하여 계산한다. 냉난방 공조용의 배부기준을 살펴보면 연간공급량 구성 비율이 4%, 동절기 초과공급량 구성 비율은 1%, 그 리고 수용가수 구성 비율이 0.1%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가스 공사의 요금산정은 예산상 총괄원가 및 판매물량을 활용하므로 상기 배부기준은 실제 요금산정과정 상의 배부기준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 나 상기 기준을 활용하여 대략적인 용도별 공급비용 수준은 추정할 수 있다.

2) 냉난방 공조용 도매공급비용 추정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010년 판매실적 물량을 전제로 추정한 도시가스용 총괄원가는 12,774억 원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도시가스 용 총괄원가에 <표 5-7>의 배부기준과 <표 5-4>의 배부기준별 가중 치를 적용하여 용도별 공급비용을 재산정하면 <표 5-8>과 같다.

배부기준 수요

가수

연간 공급량

초과

공급량 용도별 배분 공급비용

가중치 10% 30% 60% 비율 금액 연간

공급량 단가

주택용 94% 43% 68% 63% 8,103 9,596 84.44

업무난방용 3% 5% 9% 7% 935 1,117 83.72

일반용 3% 8% 6% 6% 789 1,861 42.41

산업용 0% 31% 10% 15% 1,950 6,947 28.08

열병합용 0% 1% 0% 1% 68 179 37.94

집단에너지용 0% 3% 6% 4% 552 584 94.41

수송용 0% 5% - 1% 183 1,055 17.33

냉난방공조용 0% 4% 1% 2% 195 774 25.14

100% 100% 100% 100% 12,774  22,113 57.77

<표 5-8> 도시가스용 용도별 공급비용 추정 결과

(단위: 억원, 원/㎥)

원가기준으로 냉난방 공조용 도매 공급비용을 추정해 보면, 냉난방 공조용 도매 공급비용이 수송용 도매 공급비용보다는 높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냉난방 공조용의 수요패턴이 수송용에 비해 동절기 초과공 급량을 많이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5-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스 냉난방 공조설비에 적용되는 별도의 요금 을 신설할 경우, 이 용도에 적용되는 도매 공급비용은 25원/㎥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현재의 요금을 가스 냉난방 공조설비에 적용(5월∼9월까지는 냉방용 요금 적용, 기타 월에는 업무 난방용 요 금 적용)할 경우 냉난방 공조용 설비에 부과되는 연간 평균 도매요금 은 658.82원/㎥이었다.

한편 새로운 냉난방 공조용 도매 공급비용(25.14원/㎥)과 업무 난방 용 원료비나 기준 원료비를 반영한 요금을 적용하게 되면 요금은 각 각 연평균 ㎥당 750.25원과 672.22원이 되는데, 이는 기존의 요금을 적용하는 것에 비해 ㎥당 요금이 인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요금수준을 고려할 때, 원가주의 원칙에 근거하여 가스냉난방 공조용 도매공급비용을 별도로 신설하게 되면 가스 냉난 방 공조용 수요의 개발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도매 요금을 산정할 때, 저장설비 절감 및 발전설비 확충 부담 완화 효과를 고려하여, 냉방용 요금에는 도매 공급비용을 포함시키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준 원료비보다도 낮은 원료비가 반영되어 있는 반면, 원가에 기준하여 산정한 도매 공급비용을 적용하는 가스 냉난방 공조용 요금을 별도로 신설하되, 요금에 반영되는 원료비를 결 정할 때에 앞의 부대효과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가스 냉난방 공조용을 별도의 용도로 구 분하고, 이 용도에 적용되는 도매 요금을 신설할 때에는 가스 냉난방 공조용 수요의 부대효과를 반영할지 여부와 그 수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