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물량으로 배부하며, 판매부문 원가는 용도별 판매물량 및 수용가수 를 동일한 비율로 배분한다. 하역부문과 기화․송출부문의 원가는 최 소설비원가와 초과설비원가43)로 분류한 다음, 도시가스 용도별 판매 물량 및 동절기 초과물량 비율로 배부한다. 저장부문 원가는 도시가스 부문 용도별 동절기 초과물량 비율로 배부하며, 공급부문(배관 및
V/S) 원가는 50%는 용도별 수요가수의 비율로, 나머지 50%는 최소
설비원가 및 초과 설비원가로 분류되어 용도별 판매물량과 동절기 초 과물량 비율로 배부한다.
에서 발간하는 도시가스통계월보에는 열병합시스템에 공급하는 물량 을 한국가스공사 요금 용도 구분에 해당하는 열병합1, 열병합2, 열전 용 보일러용과 같이 세분된 용도로 구분하여 자료가 집계되지 않고 있어,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여 용도별 배부기준을 파악할 때에는 집단 에너지 공급용과 관련하여서는 세부 용도별 배부기준을 추정하는 것 이 어렵다.
구분 연간공급량 동절기
물량
동절기
초과공급량 수요가수
주택용 9,596(45%) 5,886 2,688(67%) 13,795(94.3%) 업무난방용 1,313(6%) 927 489(12%) 373(2.5%)
일반용 1,861(9%) 840 219(5%) 448(3.1%)
산업용 6,947(32%) 2,698 383(9%) 13(0.1%)
열병합용 179(1%) 78 19(0%) 0(0.0%)
집단에너지용 584(3%) 426 231(6%) 0(0.0%)
수송용 1,055(5%) 334 - 0(0.0%)
냉방용 - - -
계 21,534(100%) 11,190 4,029(100%) 14,629(100%)
<표 5-2> 도시가스부문 용도별 배부기준 추정
(단위: 백만 ㎥, 천 가구)
주: 냉방용은 배부기준 산정과정에서 제외 자료: 한국도시가스협회, 도시가스통계월보,
따라서 <표 5-2>의 배부기준은 도시가스용 기능별 총괄원가를 세부
용도로 배분할 때 상기 비율대로 배분한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도시가스용 기능별 총괄원가를 알 수가 없으므 로 도시가스 용도별 공급비용 대안을 분석할 경우 <표 5-2>의 추정된 배부기준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나. 용도별 배부기준 가중치를 전제로 한 용도별 요금 추정
한국가스공사가 도매공급비용을 산정할 때 적용한 도시가스용 기능 별 총괄원가를 알 수 없으므로 도시가스용 용도별 공급비용을 추정하 기 위해서는 기능별 총괄원가 배부를 대신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도별 공급비용은 도시가스용에 배부된 기능별 총괄원가를 원가 유발요인인 수요가수[배관 및 V/S(50%), 판 매(50%)], 연간물량[하역, 도입, 판매, 기화․송출(50%), 판매(50%)], 동절기 초과물량[저장, 배관 및 V/S(50%), 기화․송출(50%)]의 용도 별 기여도에 각 원가 유발 요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정하였다. 즉, 1) 도시가스용 총괄원가를 산정한 후, 2) 각 배부기준에 대한 가중치 를 부여하여 도시가스 세부용도별 총괄원가를 추정하고, 3) 현행 용도 별 공급비용과 추정된 용도별 공급비용 간의 차이가 최소화되는 가중 치를 설정하여 용도별 공급비용을 추정하였다.
<표 5-3>은 2010년 용도별 판매실적을 전제로 도시가스용 총괄원
가를 추정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2010년 도시가스 판매실적 및
2011년 5월 1일 현재 적용되고 있는 공급비용을 활용하여 도시가스용
총괄원가를 산정해 보면 12,774억 원으로 추정된다. 냉방용은 저장설 비 감소와 발전설비 확충 부담 완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원 료비 이하로 요금이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도시가스용 총괄원가에 포 함시키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구분 연간공급량
공급비용 총괄원가
물량 비율
주택용 9,596 45% 81.97 7,866
업무난방용 1,313 6% 92.17 1,210
일반용 1,861 9% 44.60 830
산업용 6,947 32% 27.49 1,910
열병합용 179 1% 46.27 83
집단에너지용 584 3% 105.31 615
수송용 1,055 5% 24.72 261
냉방용 -
계 21,534 100% 12,774
<표 5-3> 도시가스용 총괄원가 추정
(단위: 원/㎥, 억원)
<표 5-4>는 <표 5-3>에서 추정한 도시가스용 총괄원가를 기준으로 도시가스부문 용도별 공급비용을 간접적으로 추정한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11년 5월부터 적용되고 있는 도시가스용 용도별 공급비용에 각 기능별 총괄원가를 배분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원가 배부 기준으로 알려져 있는 주요 원가 유발 요인별로 용 도별 기여도와 각 원가 유발 요인에 부여한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 한 용도별 추정 총괄원가 배부 비율을 기준으로 용도별 공급비용을 추정하고, 이것을 현행 용도별 공급비용과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이 되 도록 가중치를 재조정하여 최종적인 용도별 공급비용을 추정하였다.
<표 5-4>는 배부기준의 가중치, 용도별 추정 공급비용, 현행 용도별 공급비용을 정리한 것이다. 2010년 도시가스 수요패턴 자료를 활용하 여 도시가스부문 용도별 배부기준의 가중치를 추정해 보면, 수요가수
에 10%, 연간공급량에 30% 및 동절기 초과공급량에 60%의 가중치를 주는 것이 현행 승인 공급비용과 가장 유사한 공급비용을 나타내 주 는 것으로 판단된다.
배부기준 수요 가수
연간 물량
동절기
초과량 용도별 배분 공급비용 가중치 10% 30% 60% 비율 금액 추정 승인
주택용 94% 45% 67% 63% 8,025 83.63 81.97
업무용 3% 6% 12% 9% 1,197 91.18 92.17
일반용 3% 9% 5% 6% 788 42.34 44.60
산업용 0% 32% 9% 15% 1,965 28.29 27.49
열병합용 0% 1% 0% 1% 68 37.92 46.27
집단용 0% 3% 6% 4% 544 93.03 105.31
수송용 0% 5% 1% 188 17.80 24.72
냉방용 - - - - - - -
계 100% 100% 100% 100% 12,774
<표 5-4> 도시가스부문 용도별 배부기준 가중치 추정
(단위: 억원,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