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으로 위와 같은 불공정거래 행위 이외에도 높은 모집수수료를 제공하는 보험상품의 우선 배치 또는 추천 알고리즘 설정, 다른 온라인 플랫폼과 의 거래를 제한하는 등의 멀티호밍 제한, 높은 제휴수수료 위주의 보험 상품 배치 또는 알고리즘 설정, 멀티호밍 제한, 자사 온라인 플랫폼 상에 서 거래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을 다른 유통경로 대비 동등하거나 더 유리하도록 요구하는 최혜국대우(Most Favoured Nation) 등 새로운 유형의 불공정거래 행위가 있을 수 있다.

자료: 온라인 플랫폼 중개거래의 공정화에 대한 법률(안) 직접 편집

준수사항 금지사항

1. 계약서 작성·교부 의무 및 필 수기재사항 규정

- 우월적 지위를 지닌 사업자에 게 주요 거래조건 및 분쟁예 방을 위한 사항을 계약서에 명시하도록 하고 이를 교부할 의무를 부여

2. 표준계약서 제정·보급

- 공정거래위원회가 건전한 온 라인 플랫폼 중개거래 질서를 확립하고 불공정한 내용의 중 개계약의 체결을 방지하기 위 하여 표준계약서를 제정하고 사용을 권장할 수 있도록 함 3. 중개계약내용 변경시 사전통지

의무

-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업자가 계약내용 변경 시 최소 15일 전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방법 으로 그 내용을 온라인 플랫 폼 이용사업자에게 통지할 의 무를 부여하고, 이를 이행하 지 않은 계약내용 변경의 효 력은 부인함

4. 온라인 플랫폼 중개서비스 제 한 등의 사전통지

-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업자가 서비스의 일부 제한 및 중지 의 경우 최소 7일 이전, 계약 해지의 경우 최소 30일 이전 에 그 내용 및 이유를 온라인 플랫폼 이용사업자에게 통지 할 의무를 부여하고, 이를 이 행하지 않은 계약해지의 효력 은 부인함

1. 부당하게 온라인 플랫폼 이용 사업자가 구입할 의사가 없는 상품 또는 용역을 구입하도록 강제하는 행위

2. 부당하게 온라인 플랫폼 이용 사업자에게 자기를 위하여 금 전ㆍ물품ㆍ용역, 그 밖의 경제 상 이익을 제공하도록 강요하 3. 부당하게 온라인 플랫폼 이용는 행위 사업자에게 거래과정에서 발생 한 손해를 전가하는 행위 4. 제1호 내지 제3호에 해당하는

행위 외의 방법으로 부당하게 온라인 플랫폼 이용사업자에게 불이익이 되도록 거래조건을 설정 또는 변경하거나 그 이행 과정에서 불이익을 주는 행위 5. 부당하게 온라인 플랫폼 이용

사업자의 경영활동을 간섭하는 행위

또한, 2022년 1월 6일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및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심사지침 을 마련하고 이에 대해 행 정예고를 실시한바 있다.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시장획정, 시장지배적 지위의 판단, 경쟁제한성 등 판단 기준을 구체화하였으며, 온 라인 플랫폼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경쟁제한 유형으로 ①멀 티호밍 제한 ②최혜대우(MFN) 요구 ③자사우대 ④끼워팔기 등을 제시 하였다.127)

<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주요 경쟁제한행위 유형 >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보도자료,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 남 용행위 등 심사지침 제정안 행정예고”, 2022.1.6.

나. 금융위원회

금융당국은 금융산업에 대한 빅테크 규제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금융소비자보호법 의 규제 적용대상으로 포섭하는 방식으

127) 공정거래위원회 보도자료,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 행위 등 심사지침 제정안 행정예고”, 2022.1.6.

유형 주요 내용 주요 경쟁제한

효과 멀티호밍제한

자사 온라인 플랫폼 이용자의 경쟁 온라인 플랫폼 이용을 직·간접적으로

방해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독점력을 유지 강화 최혜대우

요구

자사 온라인 플랫폼 상의 거래조건을 타 유통채널대비 동등하거나 유리하게

적용하도록 요구

자사우대 자사 온라인 플랫폼 상에서 자사 상품 또는 서비스를 경쟁사업자의 상품·서비스 대비 직·간접적으로 우대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독점력을 지렛대(leverage) 로 연관시장까지 끼워팔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와 다른 상품 또는서비스를 함께 거래하도록 강제 독점화

로 일부 반영하고 있으나, 더 구체적으로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을 통 해 추진하고 있다.128)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129)(현재 국회 정무위원회 심의 중)에서는 금융플랫폼을 정의130)하고, 빅테크 플랫폼의 데이터 독 점과 알고리즘의 편향성, 소비자를 오인하게 하는 행위, 손해 전가나 경 제상 이익제공 강요, 경영활동 관여 등 우월적 지위 남용 및 차별 행위 등을 막을 각종 행위규제들을 신설하고 있다.131) 다만, 동 규제는 금융 소비자보호법 에 따른 금융상품판매업자 또는 금융상품자문업자로서 하 는 행위에는 적용하지 않도록 하였는데, 이는 금융상품판매업자등의 경 우 동 행위규제들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해석이 될 수도 있다.132)

< 온라인 금융플랫폼 사업자에게 요구된 금지사항 >

128)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디지털금융 규제·제도 개선방안”, 2020.12.10., 5면 129) 의안번호 2105855, 제안일자 2020.11.27. 윤관석 의원 대표발의

(http://likms.asse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R2Y0P1Y1P 2W7K1W7I5D8X0O7Q2R3T3, 2022.10.11. 조회)

130)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제2조(정의) 23. “금융플랫폼”이란 이용자 또는 금융회사나 전자금융업자로 이루어진 둘 이상의 집단 사이에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금융상품 및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홈페이지[스마트ㆍ모바일 기 기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응용프 로그램을 통하여 가상의 공간에 개설하는 장소를 포함한다] 및 이에 준하 는 전자적 시스템을 말한다.

가. 금융회사나 전자금융업자와 이용자 사이에 금융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대리, 중개 나 주선을 하는 행위

나. 금융회사나 전자금융업자로부터 요청을 받아 이용자에게 금융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광고, 홍보나 정보제공 등을 하는 행위

다. 이용자에게 금융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 추천 등을 하는 행

라. 가목부터 다목까지와 유사한 행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위 131) 김시홍, 전게논문, 211면

132)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제3조의2(다른 법률과의 관계)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금융상품판매업자 또 는 금융상품자문업자로서 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제27조의2제2호ㆍ제3호 및 제36조의3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자료: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제36조의3(전자금융업자 등의 행위규칙) 직접 편집

1. 이용자의 성별, 출신지역, 국적 등으로 합리적 이유 없이 차별하는 행위 2. 이용자에게 전자금융거래계약의 체결을 권유하는 경우에 금융상품

및 서비스의 내용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설명하지 않는 행위

3. 금융상품 및 서비스의 내용을 사실과 다르게 알리거나 불확실한 내 용 제시를 통해 계약체결을 권유하는 행위

4. 이용자가 금융상품 및 서비스의 내용을 오해하지 않도록 명확하고 공정하게 전달하지 않는 행위

5. 이용자가 전자금융거래의 내용에 관한 중요한 사항의 설명을 요청 하였으나 정당한 사유 없이 이에 응하지 않는 행위

6.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의 종사자가 전자금융업무(이용자의 권 리 또는 이익에 현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업무로 한정한다)에 관 여하지 아니하고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2조제4호가목 및 나목에 따른 지능정보기술, 그 밖의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하여 정보처리시 스템으로만 전자금융업무를 처리할 때 해당 전자금융업무의 합리 성, 투명성 및 공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체계를 갖추지 않는 행위

7. 제6호에 따른 전자금융업무의 처리의 결과 및 주요기준 등에 대하 여 이용자가 설명을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이에 응하지 않거나 이용자의 이의제기 절차를 마련하지 않는 행위 8. 해당 금융플랫폼에서 처리되는 업무에 관하여 이용자에게 다음 각

목의 방법으로 오인하도록 하는 행위

가. 다른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의 금융상품 및 서비스에 대하 여 이용자에게 금융플랫폼을 운영하는 자가 직접 제공하는 금융 상품 및 서비스로 오인하도록 하는 행위

나. 금융상품 및 서비스의 종류, 내용, 거래조건 등에 대하여 오인하 도록 하는 행위

9. 다른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에게 우월적인 지위를 남용하여 하는 행위로서 다음 각 목의 행위

가.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가 이용할 의 사가 없는 용역을 제공받도록 하는 행위

나.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에게 자기를 위하여 경제상의 이익을 제공하도록 하는 행위

다.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에게 금융플 랫폼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손해를 전가하는 행위

라.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의 경영활동 에 간섭하는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