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있으며, 금융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행위이므로 금융소비자보호법 에 반 영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가 ‘모집’에 해당하 므로 보험상품의 판매 관련 규제와 연관성이 있으며, 보험상품뿐만 아니 라 예금, 대출의 비교서비스에까지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측면이 있다. 반대로 전자의 경우에는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 는 자는 온라인 플랫폼 보험대리점과 일반 법인보험대리점이며, 이미 보 험업법규에 보험대리점의 준수사항 및 금지사항을 정하고 있으며 모집종 사자의 통신판매와 관련된 준수사항도 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수정 및 보 완하는 방식으로 간결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측면이 있다.

온라인으로 비교가능한 금융상품에는 보험, 예금, 대출 등이 있 을 것이다. 예금은 비교가 필요한 것이 가입기간, 금리, 중도해지이율 등 정도일 것이며, 대출 또한 대출기간, 금리, 중도해지수수료 등이 주요 비 교대상일 것이다. 반면 보험의 경우에는 보험료, 보험료 납입기간, 보험 보장기간, 보험가입금액, 보증이율, 해지환급률 등 보다 많은 비교대상이 있으며, 주계약 뿐만 아니라 많은 종류의 특약들까지 있어서 예금 및 대 출에 비하여 보다 상세한 비교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보험상품 에 있어 보다 상세한 비교서비스가 필요하며 보험대리점에 한하여 적용 되는 점 등을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보험업법규에 관련 규제를 마련하 는 방안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본다.

나.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의 정의 마련

1) 정의 신설의 필요성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는 복수의 보험회사의 보험상품을 비교·

안내하여야 하므로 보험대리점만이 가능하며, 그중 기존 법규에 따른 법

5의6

금지사항 : 보험업감독규정 별표 5의7

인보험대리점과 새롭게 정의를 마련한 온라인 플랫폼 보험대리점이 제공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모집활동은 자유롭게 허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특정한 모집활동에 대하여 규제를 마련하려면 규제의 대상이 되는 어떠 한 행위를 정의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 스라는 행위에 대한 정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법체계의 적용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에 대한 정의 마련을 위해 영국 금융당 국의 감독지침인 “Guidance on the: Selling of General Insurance Policies through Price Comparison Websites”에서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설명173)과 앞서 살펴본 온라인 플랫폼 보험대리점의 정의, 그리고 기존 보험업법규를 참고하여 “보험대리점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소 비자에게 보험료, 보험가입금액 등 보험계약에 관한 중요사항을 비교하 여 설명하고 보험계약을 중개하는 서비스”로 정한다. 조문의 위치는 보 험대리점의 영업기준 등을 정하고 있는 보험업법시행령 제33조의2가 바람직하다.

< 보험업법시행령 개정(안) >

173) 舊FSA, “Guidance on the: Selling of General Insurance Policies through Price Comparison Websites”, 3면, “The main business model operated by firms is the use of a proprietary price comparison tool to provide customers with an opportunity to enter requirements and get a series of quotes.”

현 행 개 정(안) 비 고

제33조의2(보험대리점의 영 업기준 등)

①∼④ (생 략)

⑤ 제1항부터 제4항까지에 서 규정한 사항 외에 보 험대리점의 영업기준과

제33조의2(보험대리점의 영 업기준 등)

①∼④ (현행과 같음)

⑤ 보험대리점이 온라인 플 랫폼을 통해서 소비자에 게 보험료, 보험가입금액

온라인 보험비교서비스

다. 준수사항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를 제공할 보험대리점이 반드시 지켜야 할 준수사항들을 앞서 제4장에서 살펴본 영국의 금융당국 및 경쟁시장청 의 규정들과 우리나라의 공정거래법, 온라인 플랫폼 중개거래의 공정화 에 관한 법률 예고(안) 등을 참고하여 마련하여 본다.

1) 기본원칙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보험대리점이 준수하 여야 할 선언적인 기본원칙을 세우는 것에 시작한다. 세부적인 준수사항 및 금지사항을 정할 때 기본원칙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중 요하다. 영국 금융당국의 지침을 참고하여 “소비자가 정보에 기반하여 보험계약을 비교 및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사업 수 행 방식을 결정함에 있어 소비자의 이익을 중심에 두어야 한다.”고 정한 다.174)

174) FSA, “Thematic Review, Price Comparison Websites in the General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은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 시한다.

(신 설)

등 보험계약에 관한 중요 사항을 비교하여 설명하 고 보험계약을 모집하는 서비스(이하 ‘온라인 보 험 비교서비스’라 한다) 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다 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 하여야 한다.

⑥ 제1항부터 제5항까지에 서 규정한 사항 외에 보 험대리점의 영업기준과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은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 시한다.

정의 신설

보험업 감독규정위임근거 마련

2) 적절한 정보의 전달

기본원칙에 따라 소비자가 정보에 기반한 선택(an informed decision)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를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 가장 먼저 정하여야할 것이 소비자 에게 적절한 정보가 어떤 사항인지이다.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좁게 는 보험상품과 관련된 정보이며, 넓게는 비교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이 해관계)에 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가) 보험상품과 관련된 정보

보험상품의 비교에 필요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제공 하여야 할 정보는 “보험료, 보험금, 보험기간, 보장되는 위험, 면책사유, 공시이율 등 개별 보험상품의 비교에 필요한 정보”175)는 물론이며, “특 정 보험상품을 추천, 순위를 매기거나 내림차순 등으로 정렬하는 경우 추천 또는 정렬과 관련된 근거 및 기준”176)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 한, 이러한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지 여부와 실시간이 아닐 경 우 최종 업데이트 일자를 게시”177)하여 비교서비스를 통한 보험상품 비 Insurance Sector”, 18면, “1. Take reasonable steps to ensure that consumers are provided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to make an informed decision.”, “5. Ensure that the interests of their customers are genuinely at the heart of how they run their business.”

175) 보험업법시행령 제67조(공시사항) 제2항제1호

176) EIOPA, “Report on Good Practices on Comparison Websites”, 14면,

“Explain the meaning of ‘Editor’s choice’, ‘product of the week’, ‘most popular’, ‘best buys’ features and the information in which these are based.”

177) EIOPA, “Report on Good Practices on Comparison Websites”, 16면,

“New prices, new products are introduced in insurance business frequently. If the Internet user wants to rely on the comparison website to take an informed decision, he/she must be certain that the information procided is up to date.”

교 시점과 실제 보험계약 체결시의 정보가 다를 수 있음을 최소화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도록 한다.

◦ 보험료, 보험금, 보험기간, 보장되는 위험, 면책사유, 공시이율 등 개별 보험상품의 비교에 필요한 정보

◦ 특정 보험상품을 추천, 순위를 매기거나 내림차순 등으로 정 렬하는 경우 추천 또는 정렬과 관련된 근거 및 기준

◦ 실시간으로 제공되는지 여부와 실시간이 아닐 경우 최종 업 데이트 일자

나)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과 이해관계에 대한 것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가 소비자가 편리하게 보험상품을 비교·

안내받고 보험계약의 체결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등 긍정적 인 측면이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비교서비스는 어디까지나 보험대리점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운영됨을 알려주는 것이 소비자가 스스로 중립적이며 신중하게 보험상품의 가입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도 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178)

우선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의 제공 주체가 모집종사자인 보험 대리점임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소비자들이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는 비교서비스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시점과 형태로 제공되지 않

178) FCA, “Thematic Review, Price Comparison Websites in the General Insurance Sector”, 12면, “We assessed whether the role of PCW’s and the nature of the service they provide in the distribution of GI product were cear to consumer and whether their business models were aligned to delivering fair outcomes for comsumer. - Role of the PCW’s and the basis on which they provide their service”

고 다른 일반정보들과 함께 제공되기 때문이다.179) 특히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온라인 플랫폼 업체가 비교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소비자는 기존에 정보 검색을 위하여 이용하던 것처럼 온라인 플랫폼 업체가 제공 하는 것들이 기존의 정보 및 자료를 검색하여 중개하는 것으로 오인할 소지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온라인 플랫폼 업체가 보험 모집에 종사 하는 보험대리점 역할을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를 통해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소비자는 직접적으로 수수료를 내지는 않는다. 그러나 온라인 보험 비교서비스 운영 보험대리점은 보험회사로부터 모집수수료를 받거나 고 객의 정보를 마케팅목적으로 제3자에게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얻는다. 그 리고 소비자가 보험회사에 납부하는 보험료에는 보험회사가 모집종사자 에게 지급하는 모집수수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결국에는 소비자가 온 라인 보험 비교서비스를 이용하고 수수료를 납부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 한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180)

또한 보험대리점이 보험회사의 자회사인 경우에 그러한 사실을 알려줘야 한다. 비교서비스를 운영하는 보험대리점이 보험상품의 공급자

179) FCA, “Thematic Review, Price Comparison Websites in the General Insurance Sector”, 12면, “This was because this information was rarely provided at an appropriate time or formed part of the quote journey, but was instead found in other in other locations on their website (such as within terms and conditions or other generic firm information) 180) FCA, “Thematic Review, Price Comparison Websites in the General Insurance Sector”, 13면, “PCWs are remunerated primarily from fees they charge providers when a consumer buy a policy after getting a quote on the PCW. They may earn income from providing data intelligence services or by selling consumers’ data to third parties.”,

“Some PCWs made statements such as ‘it costs you nothing to use our service’. Such statements could be misleading. While it is true from a direct cost perspective, there is an indirect cost to the consumer, as providers may include the fee they paid the PCW in determining the ultimate price of their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