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과
9) 교육훈련 교육훈련 교육훈련 이행요인 교육훈련 이행요인 이행요인 이행요인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값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3.582 .379 9.455 .000
프로세스 모니터링과 측정의
수행여부 .341 .088 .330 3.867 .000
<표 4-40>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프로세스 모니터링 이행변수간 의 회귀분석결과
* 유의확률 : *** p<0.01, **p<0.05, * p<0.1
9)
9) 9)
교육훈련 업무개선효과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이행변수는 내부교육의 적합성 변수이고 그 다음으로는 외부교육의 비중과 교육훈련의 필요성여 부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육훈련의 필요성여부 변수는 다른 두개의 이 행변수간의 상관계수가 높아 이 변수에 대해서는 따로 회귀분석 하였고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R 제곱 수정된 R 제곱 F 유의확률 Durbin-Watson
.301 .284 17.655 .000 1.116
<표 4-42> 교육훈련 업무개선효과와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 적합성 결과
a 예측값: (상수), 교육훈련의 필요성 여부, 외부교육의 비중, 내부교육(OJT)의 적 합성 b 종속변수: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와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모형의 적합성표에 의하면, R2 이 0.301 이고 F 값이 17.655(유의확률은 0.000) 으로서 회귀모형의 설명력이 다소 낮지만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값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2.127 .474 4.483 .000***
외부교육의 비중 .160 .086 .157 1.875 .063*
내부교육 적합성 .547 .090 .535 6.054 .000***
교육훈련의
필요성 -.094 .100 -.090 -.948 .345
<표 4-43> 교육훈련 업무개선효과와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결과
* 유의확률 : *** p<0.01, **p<0.05, * p<0.1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와 세 개의 이행변수간의 회귀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내부교육의 적합성변수는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에 매우 강한
정의 유의적인 인과관계(유의확률이 0.000)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외부교육의 비중이 유의확률이 0.063 으로서 다소 약한 정의 유의적인 인 과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교육훈련의 필요성 식별 변수는 유의확률이 0.345 으로서 유의 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이 변수만을 고려하여 교 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와의 단순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R 제곱 수정된 R 제곱 F 유의확률 Durbin-Watson
.066 .058 8.787 .004 1.245
<표 4-44> 교육훈련 업무개선효과와 교육훈련 필요성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 적합성결과
a 예측값: (상수), 교육훈련의 필요성 여부 b 종속변수: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와 교육훈련 필요성 식별 이행변수간의 회귀 분석모형의 적합성표에 의하면, R2 이 0.066 이고 F 값이 8.787(유의확 률은 0.004) 으로서 회귀모형의 설명력도 10%가 되지 않고 유의확률도 높아 모형이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값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3.795 .436 8.712 .000
교육훈련의
필요성 여부 .271 .091 .256 2.964 .004
<표 4-45> 교육훈련 업무개선효과와 교육훈련 필요성여부 이행변수간 의 회귀분석결과
* 유의확률 : *** p<0.01, **p<0.05, * p<0.1
교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와 교육훈련의 필요성여부 이행변수간의 회귀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베타값이 0.256이고 유의확률이 0.004 으로서 교 육훈련의 업무개선효과에 정의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만, 회귀분석모형의 설명력이 지나치게 낮아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고 볼 수가 없다.
제 제 제
제5 5 5장 5 장 장 장 결론과 결론과 정책적 결론과 결론과 정책적 정책적 정책적 시사점 시사점 시사점 시사점
제 제
제 제1 1 1 1절 절 절 연구결과의 절 연구결과의 연구결과의 연구결과의 요약 요약 요약 요약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운항만업체에서 품질경영시스템의 시행에 있어서 개 선여지가 있는 요건을 ①경영방침 수립, 이행 및 모니터링, ②품질(안전∙보안)계 획 수립 및 이행, ③부적합사항 시정 및 예방조치, ④내부심사, ⑤경영검토, ⑥내 부의사소통, ⑦평가, ⑧모니터링, ⑨교육훈련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시스템 이행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실증 연구하였다. 그러한 분석 결과와 이에 따른 의미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경영시스템 요인의 중요성 인식과 경영시스템 실행정도 간에는 정의 인과관계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들 요인들의 중요성 인식정도와 이행정도 의 차이는 표<3-23>와 같이 나타났다. 각 요인의 중요성 인식정도는 이행정도보 다 높게 나타났으며, 순위별로는 첫째 평가, 둘째 품질(안전∙보안)계획 수립 및 이행, 셋째 경영검토, 넷째 경영방침 수립, 이행 및 모니터링, 다섯째 부적합사항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여섯째 교육훈련, 일곱째 내부의사소통, 여덟째 내부심사, 그리고 모니터링 순이었다.
중요성 인식의 정도에 비해 이행정도가 현저히 낮은 것은 여전히 이행에 한계 가 있거나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행정도를 중요성 인식정도로 끌어올린 다 면 개선효과는 훨씬 높아질 것이다. 여기서 부적합사항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가 이행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시스템 이행도중 내, 외부심사 또는 자체적으 로 발견, 조치하는 사항으로 시스템인증 유지 여부를 판가름하는 요인이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
둘째, 가설2의 경영시스템 실행정도와 업무개선효과 간에는 정의 인과관계가 있을 것이다. 각 요인의 이행정도는 중요성 인식정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의 이행정도는 첫째 부적합사항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둘째 경영방침 수립, 이행 및 모니터링, 셋째 품질(안전∙보안)계획 수립 및 이 행, 넷째 평가, 다섯째 경영검토, 여섯째 교육훈련, 일곱째 내부심사, 여덟째 모니 터링 그리고 내부의사소통 순이었다. 이에 비해 개선효과를 보면 ‘리커트 5(46~60%)’이상의 응답자 분포를 합산하면 경영방침 수립, 이행, 모니터링 (83.5%), 내부의사소통(70.9%), 모니터링(69.3%), 경영검토(68.5%), 교육훈련 (68.4%), 부적합사항 시정 및 예방조치(49.6%), 품질(안전∙보안)계획 수립 및 이행(48.8%) 평가(44.9%) 그리고 내부심사(44%) 순으로 나타났다. 이행정도 순위에 따른 개선의 효과순위가 다소 차이가 있지만 결국 이행정도와 업무개선효 과는 정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선택한 9개 요인별로 그 결 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방침 수립, 이행 및 모니터링의 경우 조직내의 의사소통 및 이해여부 가 경영자의 실행의지보다 품질목표 달성가능성과 더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외부심사를 통해 경영자의 실행의지보다는 조직내에서 의사소통이나 이해여부를 보다 중점적으로 심사할 필요성이 있다. 적어도 경영자 의 방침이 무엇인지 알아야 이행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품질(안전∙보안)계획 수립 및 이행의 경우, 조직 내의 관련되는 기능 및 계층에서의 적절한 수립에 대한 이행이 업무효과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품질목표의 측정가능성 그리고 일관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방침에 대해 조직내의 관련되는 기능 및 계층에서 측정가능 하고 일관성이 있는 품질목표 수립이 업무 개선효과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겠다. 현장심사에서 발견된 사항으로는 예산을 고려치 않은 계획 또는 기준이 되는 과거의 객관적인 데이터(data)를 고려치 않은 계획의 경우 이상적인 계획에 그치고 마는 경우를 종종 보았다. 따라서 예산이 포함된 계획 그리고 전 년도 또는 예년의 기록을 기준으로 향후 예상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 할 경우 목표치에 가장 근접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셋째, 부적합사항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이후 개선효과를 보면, 원인조사 충분 성, 시정 및 예방조치방안 그리고 시정 및 예방조치의 적절성 모두 시정 및 예방 조치이후 개선효과에 매우 강한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 세 가지 모두 개선효과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 다도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가 이루어지려면 먼저 원인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원인조사가 반드시 충분하게 이루지는 것이 필수조건이라 하겠다.
넷째, 내부심사의 경우도 심사의 독립성 보장, 객관적인 심사 그리고 심사후 사 후관리 모두 심사의 업무개선효과에 매우 강한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사가 객관적이고 타당성있게 진행되려면 무엇보다도 심사의 독립성 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학연, 지연의 정서가 강한 성격의 조직 에서는 독립성 보장이 어려울 것이며, 객관적인 심사보다는 형식적인 내부심사에 그치고 말 것이다. 최고경영자는 심사의 독립성 보장에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경영검토의 경우 경영검토 결정사항의 실제 반영정도를 나타내는 이행 변수가 실무반영성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시스템 개선 및 변 경의 필요성 평가여부 변수가 후순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영자가 경영검토에 대한 결정을 함에 있어서, 경영검토의 입력사항 즉 심사결과, 고객 피드백, 프로 세스 성과 및 제품 적합성, 예방조치 및 시정조치 상태, 이전의 경영검토에 따른 후속조치, 품질경영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획된 변경 그리고 개선을 위한 제안 사항들이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결정 사항은 현실성이 있어야 한다.
여섯째, 내부의사소통의 경우 전체회의가 92%에 이르며 이는 일방적인 업무지 시나 업무방향을 발표하는 일방적 의사소통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장심사에서 발견되는 부적합사항의 경우, 의사소통이 원활치 않은 이유는 명확한 지침을 주 지 않는 데 있으며, 또한 상대가 이해를 했는지 검증을 하지 않는다는 데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점은 상대의 정확한 이해 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곱째, 평가의 경우, 평가기준 수립의 명확성과 평가결과의 실무 반영여부가 평가의 개선효과에 매우 강한 정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객관적인 평가기준 수립여부는 다소 약한 인과관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평가의 개선효과를 얻으려면 객관적인 평가기준이 아니라 하더라도 적어도 평가기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