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과
8) 모니터링 모니터링 모니터링 이행요인 모니터링 이행요인 이행요인 이행요인
<표 3-24>의 모니터링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7점 척도에서 4.72 으로서 9개 요인 중에서 가장 낮은 변수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행 정도도 4.04 으로서 9개 이행요인 중에서 여덟 번째로 역시 낮게 나타나 고 있다.
모니터링을 통해 업무를 개선시키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행 변수로는 모니터링의 지속성․주기성, 프로세스 모니터링, 그리고 제품(서 비스) 모니터링이다. 이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속적 주기적 수행
프로세스 모니터링
제품(서비스)
모니터링 업무개선효과
지속적
주기적 수행 1.000 프로세스
모니터링 .540* 1.000
제품(서비스)
모니터링 .619* .606* 1.000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 .766* .330* .539* 1.000
<표 4-36> 모니터링 업무 개선효과와 이행변수의 상관관계분석결과
*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모니터링을 통해 업무를 개선시키는 효과와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모 니터링의 지속성․주기성이 0.766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제품(서비 스) 모니터링이 0.539 으로 다음으로 높으며 프로세스 모니터링은 0.330으로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R 제곱 수정된 R 제곱 F 유의확률 Durbin-Watson
.616 .606 64.062 .000 2.034
<표 4-37>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의 적합 성결과
a 예측값: (상수), 제품(서비스) 모니터링과 측정의 수행여부, 프로세스 모니터링 과 측정의 수행여부, 모니터링의 지속적 주기적 수행여부 b 종속변수: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세 개의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모형의 적합 성표에 의하면, R2 이 0.616 이고 F 값이 64.062(유의확률은 0.000) 으로서 회귀모형의 설명력이 매우 높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모니터링의 업무 개선효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값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630 .344 1.833 .069*
지속적 주기적 수행 .927 .092 .752 10.069 .000***
프로세스 모니터링 -.196 .076 -.190 -2.579 .011**
제품(서비스)
모니터링 .204 .085 .189 2.395 .018**
<표 4-38>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결과
* 유의확률 : *** p<0.01, **p<0.05, * p<0.1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세 개의 이행변수간의 회귀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지속적․주기적 모니터링 수행변수는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에 매우 강한 정의 유의적인 인과관계(유의확률이 0.000)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제품(서비스) 모니터링이 유의확률이 0.018 로서 역시 강한 정 의 유의적인 인과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다른 두 변수와의 상관 관계가 높은 프로세스 모니터링은 유의확률은 0.011로서 낮지만 음(-) 의 부호를 띠고 있어 정의 인과관계를 나타내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이 변수만을 고려하여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의 단순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R 제곱 수정된 R 제곱 F 유의확률 Durbin-Watson
.109 .102 14.953 .000 .980
<표 4-39>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프로세스 모니터링 이행변수간 의 회귀분석의 적합성결과
a 예측값: (상수), 프로세스 모니터링과 측정의 수행여부 b 종속변수: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프로세스 모니터링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 모형의 적합성표에 의하면, R2 이 0.109 이고 F 값이 14.953(유의확률 은 0.000) 으로서 회귀모형의 설명력이 낮지만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프로세스 모니터링 이행변수간의 회귀 분석 한 결과에 의하면,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에 매우 강한 정의 유의적인 인과관계(베타값이 0.330이고 유의확률이 0.000)를 보이고 있어 프로세스 모니터링 이행변수도 업무개선효과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봐야 할 것으 로 사료된다.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값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3.582 .379 9.455 .000
프로세스 모니터링과 측정의
수행여부 .341 .088 .330 3.867 .000
<표 4-40> 모니터링의 업무개선효과와 프로세스 모니터링 이행변수간 의 회귀분석결과
* 유의확률 : *** p<0.01, **p<0.05, * 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