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내부심사 내부심사 내부심사 이행요인 내부심사 이행요인 이행요인 이행요인

Dalam dokumen 經營學博士學位 論文 (Halaman 148-151)

과 과

5) 내부심사 내부심사 내부심사 이행요인 내부심사 이행요인 이행요인 이행요인

<표 3-24>의 내부심사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7점 척도에서 5.00 으로서 9개 요인 중에서 여덟 번째로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고 이 행정도도 4.31 으로서 9개 이행요인 중에서 일곱 번째로 역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내부심사 실행에 따른 업무개선효과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이행변수로는 심사의 독립성 보장여부, 내부심사의 객관성 그리고 내부심사후 사후관리 여부이다. 이러한 세 가지 이행변수와 내부심사 실행에 따른 업무개선효 과간의 인과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부심사 심사의 독립성 보장

객관적인 심사

심사후 사후관리

업무개선 효과 심사의 독립성 보장 1.000

객관적인 심사 .435* 1.000

심사후 사후관리 .414* .811* 1.000

업무개선효과 .617* .536* .521* 1.000

<표 4-24> 내부심사 이행변수의 상관관계분석결과

*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내부심사 실행에 따른 업무개선효과와 이행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결과 를 살펴보면, 심사의 독립성 보장이이 0.617로서 로서 가장 높고 그 다 음으로 객관적인 심사수행이 0.536 이며 심사후 사후관리 이행변수는 0.521 으로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심사후 사후관리와 객관적인 심사 이행변수의 상관계수가 0.811 로서 매우 높으므로 회귀분석시 이 두 변수 동시에 투입하지 않고 분석하 였다.

R 제곱 수정된 R 제곱 F 유의확률 Durbin-Watson

.470 .461 54.449 .000 2.070

<표 4-25> 내부심사 이행변수의 회귀분석모형의 적합도

a 예측값: (상수), 심사의 독립성 보장여부, 객관적인 심사여부, c 종속변수: 심사 의 업무개선효과

심사후 사후관리 변수를 제외한 내부심사 이행변수의 회귀분석모형의 적합성도표에 의하면, R2 이 0.470 이고 F 값이 54.449(유의확률은 0.000) 으로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비교적 크게 나타나고 있어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심사후 사후관리 이행변수를 제외하고 회귀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심사

의 독립성 보장여부와 객관적인 심사여부 모두 심사의 업무개선효과에 매 우 강한 정의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개선효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심사의 업무 개선효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값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892 .351 2.545 .012**

심사의 독립성

보장여부 .491 .076 .474 6.495 .000***

객관적인

심사여부 .278 .061 .330 4.531 .000***

<표 4-26> 내부심사 업무개선효과와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결과

* 유의확률 : *** p<0.01, **p<0.05, * p<0.1

R 제곱 수정된 R 제곱 F 유의확률 Durbin-Watson

.466 .458 53.745 .000 1.961

<표 4-27> 내부심사 이행변수의 회귀분석모형의 적합도

a 예측값: (상수), 심사의 독립성 보장여부, 심사후 사후관리여부 c 종속변수: 심사의 업무개선효과

심사후 사후관리 변수와 상관계수가 매우 높은 객관적인 심사 변수를 제외한 내부심사 이행변수의 회귀분석모형의 적합성도표에 의하면, R2 이 0.466 이고 F 값이 53.745(유의확률은 0.000) 으로서 회귀모형의 설명 력은 비교적 크게 나타나고 있어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객관적인 심사여부 이행변수를 제외하고 회귀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심사의 독립성 보장 여부와 심사 후 사후관리 이행변수 모두 심사의 업무 개선효과에 매우 강한 정의 유의적인 인과관계(유의확률이 0.00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두 변수 모두 개선효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 다.

심사의 업무개선효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값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822 .360 2.282 .024**

심사의 독립성

보장여부 .503 .075 .485 6.700 .000***

심사후

사후관리여부 .279 .063 .321 4.434 .000***

<표 4-28> 내부심사 업무개선효과와 이행변수간의 회귀분석결과

* 유의확률 : *** p<0.01, **p<0.05, * p<0.1

6) 6) 6)

Dalam dokumen 經營學博士學位 論文 (Halaman 148-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