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능력배양 지원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181-186)

해양과기원이 명실공이 창의적 해양인재 양성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하기 위하여, 박사후 연수과정 및 U S T 프 로 그 램 운 영, 해 양 관 련 대학과 공동학위 프로그램 설치․운영, 차세대 해양전문가 육성을 위한 학부생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신설․운영하고, 연구중심의 교육연구기관으로 발돋움 하기 위한 대학원대학 설립․운영

박사후 연수과정(Post-doc) 프로그램 확대 운영

z 박사후 연수과정(Post-doc) Scholar(장학생) 프로그램

- 해양과기원이 받는 기부금 및 출연금의 일부를 장학금으로 지급하며, 단기적으로는 1년에 1회씩 국내 Post-doc을 대상으로 공개모집하고, 중 장기적으로는 전 세계에서 Post-doc을 대상으로 공개모집

- 지원규모는 매년 10여명을 선발하며, 2년간 지원 - 연구주제는 수혜자가 직접 선택 가능

z 박사후 연수과정(Post-doc) Investigator(연구원) 프로그램 - 해양과기원 연구진의 연구사업비에서 직접 지원

- 현행 수행하고 있는 Post-doc 인원을 확대 운영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프로그램 운영

z 정원

- ‘11년 연간정원 10명 규모 → ’15년 연간정원 35명 규모

구 분 ‘11년도 ‘12년도 ‘13년도 ‘14년도 ‘15년도 입학정원 10명 20명 25명 30명 35명

전공 세분화

- ‘12년 3개 전공 신설 등 운영중인 전공을 세분화 및 해양 융․복합 영역의

전공과정 신설을 통해 국가 인재수요 충족

‘11년 전공(6개 과정) ‘12년 전공 추가(2개 과정)

•해양환경시스템, 해양생명공학, 해양생물학, 해양정보통신공학,

해양환경화학 및 환경생물학, 극지과학

•응용물리해양학, 선박해양플랜트공학

- ‘13년 이후 : 운영중인 전공을 세분화하여 추가 신설(예. 해양지질학 등)

및 해양약리, 해양방위기술, 해양정책․전략, 해양산업경영 등 해양 융․복합 영역의 전공과정 신설 추진

학생 장학제도 신설

- 5백만원~10백만원/인으로 해양과기원 예산에 반영 건의

해양관련 대학 공동의 석 ․ 박사 학위 프로그램 설치 ․ 운영

해양관련 대학과 공동학위 프로그램 설치․운영

- 석․박사과정 대학원생이 해양과기원-대학 공동학위 프로그램에 입학 하여 해양과기원 또는 해당대학 연구실에 근무하면서 복수 지도체제로 학위과정 수행(학사운영은 대학에서 담당)

※ MIT-WHOI(우즈홀해양연구소) 공동학위프로그램 모델 활용

- 해양관련 대학과 공동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연간 30명 규모로 모집 하되 모집인원의 10%는 외국인 학생 T/O 배정 의무화

공동학위 과정 대학원생에 대한 장학혜택 및 처우 - 납입금(등록금 및 기성회비) 전액 국비지원

- 병역특례(박사과정생 또는 석․박사통합 과정의 석사학위 과정 수업연한

이상 이수자를 대상으로 전문연구요원 선발) - 식비보조금 및 연구장려금 지급

- 지도교수 재량에 따른 추가 장학금 지급(연구과제 참여시)

- 대학원생 전원 기숙사 제공 및 외국인 재학생을 위한 체제보조비 지급

※ 향후 미국, 유럽 등 해양분야 선진 대학과도 공동학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글로벌형 인재양성과 더불어 협력 대학에서 우수인재 확보

학부생 체험교육 프로그램 설치

차세대 해양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 여름․겨울방학을 이용하여 타 교육기관의 학부생이 10~12주 동안 해양 과기원에 머물면서 연구현장을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매년 약 30명을 선정하여 체재비, 교통비 등을 지원

- 5백만원~10백만원/인으로 해양과기원 예산에 반영 건의

대학원대학 설립

연구중심의 교육연구기관으로 발전하기 위한 해양과학기술 대학원대학 설립 및 운영

- 해양과기원의 부산이전 시점에 맞추어 대학원대학 설립 및 운영을 위한 교육인프라 구축 및 법제도 정비

※ 교사 및 교지 확보와 대학원대학 설립근거 확보를 위한 법제도 개정

5.2. 자질향상훈련프로그램의 지속적 개선 및 강화

개인맞춤형 교육체계 강화

현장중심의 자율적 학습문화 정착

개인성과관리 및 자기주도적 학습체계 확립을 위한 교육학점이수제 운영

지식경영 정착을 위한 학습조직체계 확립

학습조직(CoP : Community of Practice) 지원확대를 통한 자율적 교육체계

구축

5.3. 연구자의 전주기적 능력배양

해양과기원에 채용된 신진연구자가 세계 최고수준의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주기적 지원체계 운영

차별성을 갖춘 연구그룹별 육성․지원으로 창의적인 성과창출이 가능한 융․복합 연구 활성화 체제 실현

☞ 개인연구와 그룹연구를 구분하고, 상위 프로그램으로 연구가 지속될 수 있도록 연구생애별 경로(Career Path) 관리

궁극적으로 연구자의 전주기적 능력배양을 통해 해양과기원의 지속적인 연구역량 강화 및 수월성을 갖춘 연구그룹 육성 추진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

기초연구 인력양성 및 안정적 조기정착을 위한 신진연구자의 창의적 연구 활동 지원

- (대상) 임용후 1~3년, 최대 2회 지원 가능

- (연구결과물) 관련주제 논문 1편 이상(주저자급)

- (예산) 30백만원(직접비)

- 평가결과 우수시 1년 추가지원 가능

신규 채용자 초기 실험실 구축비 지원 사업 추진 - 신진연구자의 조기 착근 유도(1억원 규모/1인) ※ 연간 20억원~30억원 소요 예상

Lab 창의사업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하여 창의적 아이디어 및 지식을 지닌 차세대 연구 Lab 중심의 연구 지원

- (대상) 임용후 3~5년, 주요사업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책임자 제외

- (연구결과물) SCI 논문 1편 이상(주저자급), 연구보고서

- (예산) 50백만원(직접비)

기관역량강화 사업

기관의 중장기 전략 및 발전방향에 부합하고, 국가현안 문제 해결에 대응 하여 기관역량 발전에 기여

- (대상) 임용후 5~10년,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에 관한 규정에 의거하여

결격사유가 없는 자

- (연구결과물) SCI 논문 2편 이상(주저자급), 연구보고서

- (예산) 100~300백만원(직접비)

- (평가) 1단계(3년)으로 사업을 구성하되, 1차년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계속지원 여부 결정

NSC 지원 사업

세계 유수학술지(NSC) 논문제재를 목표로 세계수준의 연구성과 도출

- (대상)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에 관한 규정에 의거하여 결격사유가 없는 자

- (연구결과물) 3년동안 NSC 논문 1편 이상

- (예산) 연간 500백만원(직접비)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18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