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첨단 해양운송체 및 해양안전기술 분야
4.2. 전략 연구프로그램 및 전략 연구과제
미래형 친환경 선박 개발을 위한 그린쉽(Green Ship) 기술 프로그램
연 구 필요성
환경보호 및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한 기술은 지구차원의 문제 해결과 국가 산업 발전이 가능한 필수적인 기술
선박안전 향상기술은 인간 존엄성에 대한 기초적이고 근원적인 기술
미래형 그린쉽 기술은 청정해양, 에너지절감, 안전성향상 핵심기술을 모두 포함
미래형 그린쉽 기술선점은 조선해양 산업발전과 세계적으로 청정 해양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가 되는 국가적인 기회
연구개발 목 표
선박배출 GHG 및 오염물질 50% 저감
신재생 에너지(태양력, 풍력 등)를 활용한 미래형 친환경 선박 개발 선박 저항추진 성능 향상을 통한 에너지 절감 선박 기술 선점 선박 안전성 확보를 통한 인명손상 및 해양오염 원천 봉쇄 해양운송체․플랜트 기인 수중소음 평가 장비 개발 및 시장선점 수중소음 저감을 통한 해양 생태계 보호 및 건강한 해양 유지
주 요 연구내용
해양 대기환경 보호를 위한 선박 GHG(CO2) 저감 기술 개발 신재생 에너지(태양력, 풍력 등)를 활용한 미래형 친환경 선박 추진 선박기인 수중소음 평가 및 해석기술 개발
선박기인 오염물질(발라스트수, 방오도료 등) 처리 기술 개발 손상(침수, 화재, 폭발 등) 안전성 향상 선박기술
에너지 절감형 선형개발 및 레저선박 개발용 대형고속수조 구축 시스템엔지니어링 기반의 설계 기술, 안전성 분석/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국제사회(IMO, ISO 등) 주도를 위한 전략 개발 (EEDI, GBS, Ballast 등)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100 150 200 200 250 250 300 300 1,750
인 력 30 40 50 50 60 60 65 65 420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탄소배출 저감 녹색선박 기술
지능형 차세대 해상교통체계(e-navigation) 기술개발 프로그램
연 구 필요성
선박의 대형화․고속화로 인한 대형 해양사고 예방/저감 수단 및 해운 물동량 증가에 따른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상교통 관리체계 구축 국제해사기구의 e-navigation 전략에 대응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지능형 차세대 해상교통체계(e-navigation) 기술개발
연구개발 목 표
전체 해양사고의 70%를 차지하는 인적요인에 의한 해양사고 50% 저감 지능형 해상교통 관리를 통한 해상교통 효율 30% 향상 및 신속한
해양사고 대응으로 사고피해 30% 저감
1단계(2013년 ~ 2016년) : e-Navigation 정책/전략 수립 및 핵심 기 술검증용 Test-bed 구축
2단계(2017년 ~ 2020년) : e-navigation 서비스 개발 및 동북아지역 e-navigation 시범운영 체계 구축
주 요 연구내용
차세대 국가 해상교통체계 설계 및 구축 전략 개발 해상교통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국가 e-navigation 정보망 설계 선상 안전운항지원시스템 기술 개발
e-navigation 서비스 검증을 위한 Test-bed 구축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50 50 50 60 60 50 50 50 420 인 력 15 15 15 17 17 15 15 15 124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e-Navigation 기술
4.2.2. 전략 연구과제
극지해역 첨단 운송체 및 운항시스템 핵심기술 개발
연 구 필요성
지구온난화로 인한 북극해의 해빙으로 해양 선진국을 중심으로 북극항 개발 및 천연자원 개발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극지해역 운송체 및 안전운항시스템의 핵심기술로서, 실해역 빙상 정보 계측기술, 빙해선박 성능 평가기술 및 최적 안전운항 Navigation 시스템이 요구됨
연구개발 목 표
실해역 해빙특성 계측 및 예측기술 확보 극지항로 최적운항 Navigation 시스템 구축
빙해수조를 활용한 빙해선박의 성능평가 기술 고도화 세계 수준의 빙수치해석 프로그램 확보 및 기술선도 빙해선박 기자재 핵심기술 선점 및 기술표준화
주 요 연구내용
Ice Buoy, ADCP, IPS 등을 이용한 해빙특성 계측기술 개발 극지 실해역 운항환경 모델링 및 운항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빙해선박 운동/조종 표준모형시험기법 개발
빙저항/빙하중 추정 프로그램 개발 IMO Polar Code 대응 표준화기술 개발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25 25 30 30 50 50 40 40 290 인 력 7 7 9 9 12 12 10 10 76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북극해 안전운항 기술
해양사고 재현 및 원인규명 기술 개발
연 구 필요성
사고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 메카니즘을 정확히 밝혀내어 유사한 상황의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데 활용 가능
해양사고 원인규명 기술 향상 및 해양안전심판에 대한 기술지원
연구개발 목 표
사고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한 해양사고의 과학적 분석
해양사고 재현 및 분석 시뮬레이터 개발 등 운용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주 요 연구내용
해양사고 분석 기법 및 인적요인 분석모델 개발 충돌/좌초 상황에 대한 구조해석 기법 개발 황천중 전복/침몰 현상 해석 기법 개발 손상 진행에 의한 복원성능 모델링 해양사고 재현 가시화 기술 개발 해양사고 재현 시뮬레이터 구현
해양사고 재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사고 예방 및 훈련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20 20 25 25 25 25 30 30 200 인 력 8 8 10 10 10 10 12 12 80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지능형 해양구난 시스템 기술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사고 종합 대응기술 개발
연 구 필요성
HNS 유출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차단, 회수, 처리 등과
같은 방제기술과 함께 예방, 대응, 사후관리 등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종합 대응시스템 개발 필요
HNS 유출사고는 사고유형 및 유출물질의 다양성 때문에 대응인력의 전문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화된 대응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및 교육체계 구축이 시급
연구개발 목 표
HNS 사고로 인한 국가적 재난 발생의 종합적인 대응기술 개발 HNS 사고 대응을 위한 국가 대응체제 지원시스템 구축
주 요 연구내용
HNS 사고 대응을 위한 첨단 기술 개발
- 유출된 HNS의 피해위험 파악을 위한 현장 모니터링 기술
- 해수면 및 수중 확산 HNS 회수 및 처리 기술 - 침몰 사고선박의 잔존 HNS 회수 및 처리 기술
HNS 사고 대응 통합정보 제공기술 개발 - HNS 이동경로 확산예측 기술
- HNS 물질특성 분류 및 물질별 대응기술 HNS 사고 대응훈련 및 교육체계 개발
- HNS 사고 대응훈련 시나리오 및 대응기술 교육안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15 20 20 20 30 30 30 30 195 인 력 5 7 7 7 9 9 9 9 62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유류․HNS 해양유출사고 대응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