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외기지운영 및 협력사업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72-79)

7.1. 필요성

해양경제영토 확장의 전초기지 역할 담당

고도화되고 전문화된 연구개발체제 운용을 통한 전지구적 해양공간 지배권 확대, 해양자원의 선제적 확보 및 국가경쟁력 강화 필요

- 대양, 열대, 심해 등 다양한 환경기반 구비

- 국가 해양과학기술 발전과 국제사회에서 선도적 경쟁력 확보

국제기구 참여와 활용

IOC, IOC/WESTPAC, PICES 등 국제기구 의장단 진출에 따라 향후 국제 기구를 활용한 국제공동 연구 활성화 필요

7.2. 해외기지/Lab 운영현황 및 향후 사업방향

남태평양해양연구센터

(소재지) 마이크로네시아연방공화국 축주

(설치연도) 2000년 5월

(파견인력) 2명 (3개월 간격으로 교대근무)

(2011년 예산) 25억원 임 무

- 열대태평양 국가과학 전초기지 역할 - 해양 기반 융․복합 과학연구 수행

주요기능

- 산호초 해역 해양과학 연구

향후 사업방향

- 해양생물 및 신물질 개발 분야 - 해양대기 및 기후변화 분야

- 해저지형변화 및 지구조 진화연구 분야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예산 35 35 50 50 70 70 90 90 490

인력 4 4 5 5 6 6 7 7 44

한 ․ 중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

(소재지) 중국 청도

(설치연도) 1995년 5월

(파견인력) 2명

(2011년 예산) 3.7억원 임무

- 한중 양국의 해양과학기술 수준을 제고하고 해양 환경보호 및 해양자원의 개발과 이용의 촉진을 위한 해양분야 협력 지원

- 해양과학기술발전을 위한 ‘교량’과 ‘창구’역할 수행 주요기능

- 정부간 협력채널의 사무국 기능 수행 - 한중간 정책정보 생산-보급 기능 - 한중공동연구사업 발굴 및 수행 기능

- 황해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한 현안문제 해결 - 남북협력을 대비한 협력 체제 구축

향후 사업방향

- 해양정책 및 입법 분야

- 기후변화 및 해양예보시스템(운용해양학) 분야 - 해양생태, 환경보호 모니터링 분야

- 심해저광물자원 분야

- 해양에너지 및 해양수자원 분야 - 해양생물자원 및 생명공학 분야 - 해양공학 및 해양기장비 분야

- 극지분야

- 해양정보 및 자료교환 분야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예산 5 7 9 10 12 14 16 18 91

인력 2 2 2 2 3 3 3 3 20

KIOST-NOAA Lab

(소재지) 미국 워싱턴 D.C

(설치연도) 2010년 8월

(파견인력) 1명

(2011년 예산) 2.2억원 임무

- 해외 선진 해양연구기관과의 해양과학 기술 협력 선도를 통한 해양 선진국형 R&D 허브 구축

- 해양 분야 글로벌 R&D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세계 일류 수준의 해양 과학기술 연구개발 능력 함양

주요기능

- 한미해양과학기술공동사업(JPA)수행

- NOAA의 인적․물적 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전문 인력과의 협력관계 강화 - 우리원의 미주 사무국 역할 수행

향후 사업방향

- NOAA의 전 세계 해양관리 정책동향 분석에 참여

∙ NOAA 내부 회의 참여 확대

∙ NOAA 직원과 정례 인터뷰

∙ NOAA의 정규 해양관측 정점 일부를 우리원이 담당

- NOAA의 최신 해양과학기술 습득과 해양자료 활용

∙ NOAA와 공동연구사업(JPA) 활성화

∙ 인공위성과 부이, 글라이더 등에서 획득하는 해양자료의 공동 처리와 활용 - 미국 해양과학자 인적 네트워크 구축과 공동연구기반 조성

∙ 워싱턴 소재 한․미과학협력센터(KUSCO)의 적극 활용

∙ 미국 내 한인 해양과학자 워크숍 정례화(AGU, Ocean Science Meeting 활용)와 공동연구 사업 발굴

∙ 미국 내 저명 해양과학자 파악과 관계 구축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예산 2 4 5 5 8 8 10 10 52

인력 1 2 2 2 3 3 3 3 19

KIOST-PML Lab

(소재지) 영국 플리머스

(설치연도) 2011년 10월

(파견인력) 1명

(2011년 예산) 0.3억원(사업비) 임무

- 해양과학 및 바이오, 조선공학 분야의 EU지역 연구기관과의 상호협력을 통한 공동연구 추진 활성화

- 해양과학 및 조선공학 분야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전문 인력 교류․양성 및 국가 위상 제고

주요기능

- EU 지역의 국제기구, 연구소, 대학 등과의 공동연구 수행 및 아젠다 발굴 - 전지구해양과학협의체(POGO)사무국과의 협력을 통한 해양 과학기술

이슈 선점 및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의 위상 영향력 제고 향후 사업방향

- 기후변화 및 연안재해 분야

- 해양생물종다양성 관측 및 분석 분야 - 해양생태계 예측․복원 분야

- 해양위성 활용연구 분야 - 해양신재생에너지 개발 분야 - 기기분석 및 검교정 분야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예산 2 3 5 5 6 6 8 8 43

인력 1 1 2 2 2 2 3 3 16

7.3. 해외기지 추가 운영계획(안)

해외기지별 주요 사업방향

한․페루 해양연구센터

-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 대응기술 분야 - 연안역 관리 및 생물종다양성 연구 분야 - 해양생물자원(양식기술, 인공종묘 등) 분야

한․인도네시아 해양연구센터

- 해양관측․모니터링 및 해수순환 모델 개발 분야

- 열대생물 변동성 및 산호 삼각지대 생물종다양성 연구 분야 - 해양연구선 및 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 협력

한․피지 해양연구센터

- 해저열수광상 등 해저광물자원 탐사․이용 분야 - 열대 해양생물자원 보존․활용 분야

- 해양환경․생태계 보전연구 분야 한․러시아 해양연구센터

- 해양장비(수중로봇, 잠수정) 개발 분야

- 동해(East Sea)연구(해양생태계 변동 등) 분야 - 북극해 항로개척

한․아프리카 해양연구센터 - 기후변화 및 연안침식 대응 분야 - 서식지 보전 및 멸종위기종 보호 분야 - 해양생물자원(양식기술 이전 등) 분야

소요 예산

인력

(단위 : 억원, 명)

구 분 1단계 2단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합계 한․페루 해양연구센터 예산 10 15 15 15 15 20 20 25 110

인력 2 3 3 3 3 4 4 4 26 한․인도네시아 해양연구센터 예산 10 15 15 15 20 20 25 25 120

인력 2 3 3 3 4 4 4 5 28 한․피지 해양연구센터 예산 0 7 10 10 15 15 15 20 72 인력 0 2 2 2 3 3 3 3 18 한․러시아 해양연구센터 예산 0 10 12 15 15 18 20 20 90 인력 0 2 2 3 3 3 4 4 21 한․아프리카 해양연구센터 예산 0 0 10 10 12 15 15 15 62 인력 0 0 2 2 2 3 3 3 15 합 계 예산 20 47 62 65 77 88 95 105 559

인력 4 10 12 13 15 17 18 19 108

7.4. 추진전략

해양 분야 국제협력 사업비 확보

국제교류사업

국제공동연구사업

해양과학 ODA 사업을 통한 협력 강화 및 글로벌 연구의 거점으로 활용

도서국을 위한 ODA 사업 발굴

- 해수면 상승 대응 분야 - 해수이용 냉난방 시스템 - 해수온도차 발전시설 구축 - 양식기술 이전 등

글로벌 해양영역 확대 및 해양산업 경쟁력 확보의 레버러지로 활용

공동연구 및 국제협력 확대를 통해 글로벌 해양경제 활동영역 확대 해양자원개발 공간 지배권 강화 및 해양산업 원천소재 확보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7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