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관측기술센터 운영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192-196)

8.1. 개요

목적

첨단 해양관측기술의 하이패키징(High Packaging) 실현을 통해 신해양 시대를 선도하는 융․복합 기술개발의 기반 조성

- 해양관측기술센터를 운영하여 해양과학기술원 보유 장비․시설의 활용 효율화 및 스마트 해양관측기술의 전략산업화

[그림 4-2 ] 해양관측기술센터 운영내용

8.2. 운영내용

주요임무

해양관측기술센터 운영 분야

- 해양과학기술원 보유 기․장비 및 시설에 대한 통합관리체계 구축․운영 - 신축되는 해양관측 기․장비 중앙보관관리동(Central Depository) 운영 - 전문 관측기술인을 활용한 장비운용기술 및 현장 관측조사 기술 지원 - 해양관측장비에 대한 관리, 보수, 검정, 교정 등 기술지원 서비스 제공

해양관측기장비 전주기 관리 시스템 구축 분야

- 국과위의 ‘국가연구시설‧장비관리 표준지침’에 따라 해양관측장비 전주기 관리(Life cycle management)를 위한 연구장비 종합 서비스 시스템 구축 - 해양관측장비 전주기 관리를 위한 전산 시스템 개발 및 시험 운영 - 기․장비 도입, 등록, 활용, 운영, 관리, 처분 등 전주기에 대한 자료 축적

및 활용

융합 해양관측기술 하이패키징 지원분야

- 고부가가치 해양관측장비 개발을 위한 융․복합 협력사업 발굴 및 지원 - 개발되는 새로운 첨단 해양관측 기․장비의 시작품 제작 지원

- 개발된 새로운 센서, 장비, 시설의 성능시험 지원 공용연구장비실 운영

- 해양과기원 공용연구장비실 구축 및 운영

- 해수중 영양염류, 엽록소, 부유물질, 입도 등 공통분석항목 분석 서비스 - 공용연구장비를 통한 분석자료의 품질관리 실시

필요성

연구개발 수행의 핵심요소인 연구장비의 구입부터 폐기까지 전주기적

(life cycle) 상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활용을 보장하는 선진화된 관리

체계 구축 의무화

해양과기원 설립과 부산 이전에 따른 연구장비 및 시설의 체계적인 관리 - 연구자별 장비 구입, 공동활용 회피 등 문제점을 극복하고 효율적인 운영

및 이력관리를 위한 새로운 중앙관리 체계 구축

- 세척, 검정, 교정, 수리, 보수시 사용자 편의성 및 서비스 제공

- 사용실적에 근거한 전주기 관리를 통한 최적 도입 활용 운영체제 마련

[ 그림 4-3 ] 연구장비 전주기 관리 시스템

고부가가치의 첨단 해양관측장비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첨단 분야의 기술 융․복합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이 필요

유지관리, 보수, 검정, 교정 지원체계를 확립하여 연구시설․장비로부터 생산되는 자료의 품질 개선 필요

8.3. 중기 운영 전망

운영 기본방향

해양과학기술원의 부산 이전 전후 2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추진전략을 수립․시행

- 1단계(‘12~’15): 준비단계

∙ 기존 원내에 보유하고 있는 해양관측기장비의 전주기관리체계를 조기에 구축 하고, 해양관측장비 중앙보관․관리 시스템을 운영

∙ 고부가가치 해양관측기장비의 상용화를 위한 하이패키징 기술 지원체계 기반 마련

- 2단계(‘16~’21): 본격 시행단계

∙ 원내에 보유하고 있는 전체 연구기장비 및 시설에 전주기관리체계를 확대 적용하여 해양연구장비 종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선진국 수준의 관측기술 지원체계 운영

∙ 해양관측기장비의 상용화 지원체계 상시 운영을 통해 기술 수요자들에게 고품질의 서비스 실시

8.4. 고려사항

운영근거

과학기술기본법 제28조 및 시행령(‘10.7.26) 제42조 연구개발시설장비의 고도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10.8.11) 제25조 9항 연구장비 도입․운영 및 관리에 대한 표준지침 운영

외국 및 민간의 사례

일본 JAMSTEC은 ‘70년대부터 해양관측장비의 개발, 유지보수, 관리를

위해 대규모 공동장비보관동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사업을 지원 하기 위한 체계를 확립

- 해양관측조사 장비 및 시설 인프라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예산을 절감하고 공동활용을 조장

세계 유수의 해양연구기관에서는 첨단 해양관측 연구장비를 개발하기 위해 시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대규모 공작기계실(Machine Shop)을 운영 하고 있음

-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사례

∙ 공작기계실 면적 1,393 m2 (422평)

∙ 장비 보유 현황 (http://sioms.ucsd.edu/machines.htm 참고)

CNC 자동 머신(12대), 밀링(11대), 선반(20대), 연마기(표면 연마기, 실린더 연마기), 프레스, 워터 제트 절단기, MIG 용접기, TIG 용접기, 전기 방전가공기, 열처리장치, 기기 조립실, 철판 가공실, 전자 조립실, 검사실 등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192-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