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우수인력 확보전략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173-179)

신진우수연구원 제도 신설

스타연구원과 선도연구원의 체계를 갖춘 신진우수연구원 제도 신설 - 직근 5년간 SCI(E) 논문 15편 이상

- 직근 5년간 분야별 상위 10% SCI 4편 이상 - 직근 5년간 국내 특허 10개이상 등록

- 연봉 : 100백만원

3.3. 다양한 채용전략 추진

헤드헌트 방식의 채용

핵심 우수인력 채용담당관(또는 조직) 신설 - 임무 : 핵심 우수인력 채용전략 수립 및 유치

- 수행업무

∙ 해외 우수인력 DB를 통한 핵심 우수인력 탐색 및 Search Committee(각 부서 운영위원회 주관)에 정보제공

∙ Search Committee에서 선별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유치조건 협의 및 유치

일정 T/O의 범위내에서 부서장에게 채용권한 위임

일반전형채용 대상범위(우수성과자에 대해 소수의 인원, 시급한 인원으로 충원이 인정된 정규직 직원)에 해당하는 채용 후보자에 대하여 부서운 영위원회에서 심의

- 발표 및 면접평가는 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전형위원회를 구성하여 실시

직종/직급별 차별화된 채용 기준적용

직종별 채용기준

- 연구직/기술직/행정직/기능직별 직종에 따른 차별화된 신규채용 심사기준

개선

직급별 채용기준

- 책임급 이상의 경우 직위공모제를 통하여 채용

동일직종 채용시 연구영역별 세분화된 채용기준 적용

논문실적으로 일관된 선임급의 직종별 최소자격기준을 연구영역별 특성을 대표하는 연구실적으로 대체하는 채용기준 마련

다양한 채용설명회 개최 및 참가

정부부처 및 해양관련 학회 주관의 국내․외 채용설명회 참가

MOU 체결대학 및 학․연협력 대학과의 채용정보 교류를 위한 채용시스템 구축 및 홍보

미래인재 육성방식의 채용제도 구비

해양인재 육성을 위한 장학제도를 확대․발전시켜 우수인력의 경우 학위 과정 종료 전 채용과정을 거쳐 해양과기원 인력으로 흡수

3.4. 핵심 우수인력 정착제도 마련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

스타연구원, 선도연구원, 신진우수연구원의 연구직접비 지원금액 상향 조정 및 연구기장비/연구공간 우선 배정

육아 등 편의시설 확보

부산이전시 어린이집, 놀이방 등의 편의시설 확충 및 주변 관련 기관과 협력을 통해 편의시설을 확보하는 방안 마련

배우자 및 가족의 취업 ․ 알선

안정적인 정주환경 마련을 위해 배우자 또는 가족이 해양과기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채용 또는 유관 기관에 취업 알선 추진

우수연구원 정년 연장

우수연구원 정년연장을 위한 선결과제

- 정년연장을 위한 별도의 T/O 및 인건비 확보필요

⇒ 상기조건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정년연장으로 인한 신규채용 억제라는 부작용 발생

향후 10년간(2021년까지) 책임연구원 정년퇴직자 발생현황

년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인원

() 3 3 3 13 9 5 7 9 5 11

향후 10년간 연구직 정원변동 예측에 따른 정년연장자 현황 (연구직 정원의 10%이내 운영시)

년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인원

() 27 30 34 37 40 42 45 48 51 54

- 책임급 이상 직원의 고령자 신규채용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 연도별 연구 직 정원의 10% 이내에서 책임연구원 정년퇴직예정자의 정년연장 가능

[ 표 4-3 ] 향후 10년간 정원변동 예측현황

구 분 연구직 기술직 행정직 기능직 합 계

2012

본 원 276 141 40 16 473

극 지 64 38 19 1 122

소 계 340 179 59 17 595

2013

본 원 308 158 45 18 529

극 지 71 42 21 1 135

소 계 379 200 66 19 663 2014

본 원 341 174 49 20 584

극 지 77 46 23 1 147

소 계 418 220 72 21 732

구 분 연구직 기술직 행정직 기능직 합 계

2015

본 원 373 191 54 22 640

극 지 84 50 25 1 160

소 계 457 241 79 23 800 2016

본 원 401 205 58 23 688

극 지 90 54 27 1 172

소 계 492 259 85 25 860 2017

본 원 429 219 62 25 736

극 지 97 57 29 2 184

소 계 526 277 91 26 920 2018

본 원 457 234 66 27 784

극 지 103 61 31 2 196

소 계 560 295 97 28 980 2019

본 원 485 248 70 28 832

극 지 109 65 32 2 208

소 계 594 313 103 30 1,040

2020

본 원 513 262 74 30 880

극 지 115 69 34 2 220

소 계 629 331 109 31 1,100

2021

본 원 541 277 78 31 928

극 지 122 72 36 2 232

소 계 663 349 115 33 1,160

3.5. 획기적인 신규 T/O 확보방안

기관 중장기 계획에 반영된 T/O 확보

인력확보 계획

구 분 2011년 2012~2015 2016~2020

T/O 572 800 1,100

본원 459 640 880

부설극지() 113 160 220

충분한 지원인력의 확충

각 직종별 인력확보 계획

구 분 2011년 2012~2015 2016~2020

T/O 572 800 1,100

연구직 331 457 629

기술직 134 241 331

행정직 91 79 109

기능직 16 23 31

※ 2012.1.1부 행정직→기술직으로 직종변경 사항 포함

비정규직이 정규직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T/O의 확보

KIOST 개편시 해양과학기술 우수인력 Pool에 의해 확보된 우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선별전환(연도별 정원의 40%이내)

연도별 T/O증가 사유

2012년(14명) : 해양위성센터, 해양시료도서관, 울릉도․독도 해양연구센터

운영

2013년(68명) : 동해연구소 운영고도화 소요인력, 해양과학기술․해양산업

정책인력, 제주 국제해양과학 연구․지원센터 운영인력, 해양R&D실용화 센터 운영 인력, 핵심우수 인력 확보, 우수연구원 정년연장 등

2014년(69명) : 대형 해양과학연구선 운영인력, 해양시뮬레이터센터 운영

인력, 한․남태평양 해양연구센터 고도화 운영인력, 해양바이오 코어시스템 운영인력, 핵심우수 인력 확보, 우수연구원 정년연장 등

2015년(68명) : 해양자료 분석․서비스센터 운영인력, 해양관측장비 센터

운영인력, 해양사고 재현 및 훈련 시뮬레이터 운영인력,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 센터 운영인력, 핵심우수 인력 확보, 우수연구원 정년연장 등

2016년(60명) : 해수활용연구센터 운영인력, 심해공학수조 운영인력, 대형

고속예인수조 운영인력, 핵심우수 인력 확보, 우수연구원 정년연장 등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173-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