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해양위성 및 해양방위 기술 분야
12.2. 전략 연구프로그램 및 전략 연구과제
연구개발 목 표
원거리 수중 이동체의 정밀탐지 기술 개발
- 탐지표적 : 4km 이상거리, 2m/s 속도 이동, 배수량 100톤 이상 - 수중운용범위 : 최대 20km
- 탐지거리 정확도 : 1% 이내, 방위각 정확도 : 2도 이내
근거리 고정밀 초음파 영상 취득 및 표적 탐지․식별 기술 개발 - 센서 운동을 적용한 고해상도 초음파 영상 취득 기술 개발 - 음향․영상 정보를 융합한 표적 탐지 및 식별 기술 개발
탐지․식별 정보 전달 시스템 개발
주 요 연구내용
수중음향 채널환경 측정 및 모델링 연구
수중음향 트랜스듀서 및 배열센서 설계․제작 기술 개발 곡면 면배열 신호처리 및 영상 생성 기술 개발
해양 환경에 강인한 신호 탐지 및 표적 식별 알고리듬 개발 센서 이동을 고려한 합성 신호처리 기술 개발
항구 주요시설 및 함정보호용 코팅재와 수중음향 흡음재 개발 탐지정보 전달을 위한 부표 및 무선통신체계 개발
수중 표적 탐지․식별 및 전달체계 구축, 실증 시험
수중 초음파 탐사․식별 장비 개발 및 수조/실해역 시험 검증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50 50 55 55 60 60 60 60 450 인 력 15 15 16 16 18 18 18 18 134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수중무선통신 고도화․산업화 기술 해양종합관측시스템 구축 및 활용
12.2.2. 전략 연구과제
차세대 정지궤도 해양위성(GOCI-II) 자료처리시스템 개발
연 구 필요성
‘18년 발사 예정인 차세대 정지궤도 해양위성(GOCI-II)은 해양 기후 변화,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예측, 해양재해․재난 대응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12년부터 본격 개발 진행 중(’12~’18, 933억/국토해양부) 기존 천리안 해양관측위성 대비 성능이 대폭 향상된 GOCI-II 위성은 그 특성에 맞는 새로운 자료처리시스템(S/W) 개발이 필요
연구개발 목 표
해양환경 분석기술 및 해양 기후변화 모니터링기술 개발
국민 실생활 기여를 위한 현업용 해양재해․재난 예측/대응기술 개발
주 요 연구내용
GOCI-II 특성을 고려한 대기보정 알고리즘 개발
GOCI-II 센서 특성(전구관측, 적외밴드, 다분광관측, 등)에 따른 해양위성 자료처리기술 개발
엽록소농도, 부유물질, 용존유기물 등 일차 산출물 분석기술 연구 및 S/W 개발
해류벡터, 녹조/적조지수, 대기/육상변화탐지(산불, 폭설, 홍수) 등 이차산출물 분석기술 연구 및 S/W 개발
극궤도 및 정지궤도 해양위성 통합 자료처리기술 연구 및 S/W 개발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20 20 20 20 40 40 30 20 210 인 력 7 7 7 7 14 14 10 7 73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위성기반 해양관측 정보시스템 구축
무인항공시스템을 이용한 갯벌정밀주제도 작성 연구
연 구 필요성
국내 갯벌의 경제적, 생태적 가치의 보존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인공위성 기반 갯벌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공간해상도가 높은 무인항공시스템을 이용한 갯벌의 정밀 주제도 작성과 관리가 필요
연구개발 목 표
1:5,000 수준의 갯벌 정밀주제도를 분기별로 작성하고, 이를 통해 분기별, 계절별, 년별 갯벌 저서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
무인항공기에 다양한 이종센서의 탑재가 가능하여 광학, 초다분광, 레이더, Lidar 등 자료의 융합
주 요 연구내용
소형 무인항공 시스템 구축
단일 센서에서 갯벌의 지형/퇴적상/생물상 분포도 제작 기술 개발 - 조류로 밀도, 지표잔존수, 지형, 광학반사도, 후방산란, roughness
등의 종합 분석
- 광학기반 waterline 방법, SAR 기반 interferogram 방법, Lidar 기반 등 다양한 센서에 의한 갯벌 DEM 제작기술 개발 및 상호 검보정 이종센서간의 자료 융합을 통한 지형/퇴적상/생물상 분포도 제작 기술 개발
- 무인항공기의 이종 센서를 활용하여 조류로 밀도도, 지표 잔존수 분포도, 노출시간분포도, 갯벌 침수도 (inundation map), 염분도 제작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모니터링 활용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20 20 10 10 10 10 10 10 100 인 력 8 8 3 3 3 3 3 3 34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해양종합관측시스템 구축 및 활용
한반도 주변해역의 지질음향모델링 기술개발
연 구 필요성
최근 지진관측 혹은 지각구조의 속도파악을 위해 사용되는 해저면 지진계를 이용한 연안지역의 속도구조 파악을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 방법은 P파, S파 및 감쇠구조의 파악에도 적용됨 연안역에서의 지질음향모델링을 위한 기반연구는 국가안보 차원 에서 중요하며,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지하 물성파악을 통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
연구개발 목 표
정확한 지질음향모델링을 위한 장비개발, 탐사 및 자료처리기술 개발 한반도 주변 연안지역에 대한 천부층 물성 파악 및 지질음향모델링
주 요 연구내용
고해상 다중채널 탐사 및 chirp sonar 탐사를 통한 지하지질구조 파악 해저면지진계 개발, 탄성파 토모그래피탐사 및 P파, S파 속도 및 감쇠구조 추출
시추를 통한 지질 샘플 획득 및 물성분석
해상물리탐사 및 시추자료와의 통합분석을 통한 연안 지역의 지질 음향변수파악
실험적 검증을 통한 지질음향 모델 구축
소요 예산․인력
(억원, 명)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20 계 연구비 10 10 12 12 12 12 12 12 92 인 력 3 3 4 4 4 4 4 4 30
‘2020 MTRM’상의 관련 중점기술 해양영토관리를 관할해역 해양과학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