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타 연구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인프라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152-166)

해양시료도서관 확대 운영

필요성

코어 시료의 기본 물성자료가 확보돼야만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 유전자 시료, 극한시료, 해양유래 병원성 미생물 등 특수 시료는 변질을

최소화하고 장기보관하기 위해서 초저온 냉동저장이 필수적임 시료의 종류와 활용목적에 따라 시료가 전처리되어야만 장기저장과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

갈수록 치열해지는 해양자원의 확보 및 이용을 위한 우수인재 양성

목 표

코어 시료의 기본 물성자료 획득을 통한 관련 연구 지원 특수시료의 안정적인 보관을 통한 관련 연구 지원

적절한 시료 전처리를 통한 시료의 장기저장과 활용 극대화 전문해양과학 실습교육과 초중고생을 위한 해양과학 실습교육 운영을 통한 해양 전문인력 양성 및 저변 확대

주요내용

비파괴 분석기기 확보

초저온 (액체 질소) 해양시료 저장 시설 구축

시료 전처리 기장비 확보

초중고생은 물론 대학/대학원생, 개도국 전문가 교육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운영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30 - - 26 - - 26 - 82

해수자원활용연구센터 구축

필요성

동해는 청정해수 기반의 원전 온배수, 해양심층수 등 열에너지 특성이 다른 다양한 해수가 부존되어 있으며, 동해연구소는 이들 해수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음

해수자원의 종합적 활용이 가능한 인프라는 해양바이오에너지, 온도차발전 및 냉난방, 해양생물자원개발 등 우리 원이 보유한 원천기술의 상용화 달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

목 표

원전 온배수, 해양심층수, 지하염수 등 동해에 부존된 다양한 해수 자원의 종합적․체계적 활용을 통한 해양생물, 해양바이오에너지, 온도차발전 및 냉난방 분야의 우리 원 보유 원천기술의 상용화 달성

전세계적으로 우리 원 동해연구소에서만 가능한 “world unique”

인프라 확보 및 운용

대수심 해난 전문 교육․훈련 센터 건립을 통해 해양 수중잠수과 학조사를 위한 전문인력 및 해난전문가 양성

주요내용

해수 취수․혼합․저장․공급 시설 구축

전세계 유용 해양생물자원의 living gene bank 설치 및 대량배양 시설 구축

해양바이오디젤 생산 실증장 및 기술개발 core 구축

원전 온배수와 해양심층수의 열에너지 특성을 이용한 온도차발전 및 냉난방 상용화 기술개발 시설 구축

고도의 해난 전문 교육․훈련, 기장비 개발 및 검교정을 위한 대 수심(45m) 수조 건설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20 80 83 100 106 - - - 389

조선해양기자재산업지원센터 설립

필요성

국내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현장에 대한 근접지원을 위한 공공연구기관 설립에 대한 지속적인 요청이 있음

해양플랜트 산업의 신장세에도 불구하고 기자재산업기반 열악 및 해외 기자재업체의 독점적인 지위로 인해 국내 해양플랜트업체의 경쟁력이 저해되는 경우 발생

목 표

국내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에 요구되는 핵심 설계 기술 개발을 위하여 산업현장(예; 창원-거제권역)에 대한 근접지원이

가능한 “조선해양기자재산업지원센터(가칭)”의 설립과 운영

조선해양기자재산업지원센터 운영에 의한 국내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의 세계시장 진입을 위한 실용화 기술 확보

국내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의 세계시장 지원 및 국내 산업생태계 개선

주 요 연구내용

조선기자재업체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사업을 통해 조선기자재 5대 경쟁력 품목의 세계시장 진출 지원

조선기자재업체의 해양플랜트기자재 역량강화 프로그램사업을 통해 기존 조선기자업체의 해양플랜트기자재로의 전환 촉진

해양플랜트기자재업체의 핵심역량 강화사업을 통해 해양플랜트기자재 10대 경쟁력 품목의 세계시장 진출 지원

국제수로기구(ITTC) 및 국제해사기구(IMO) 대응 조직화 전략프로 그램사업 수행

조선기자재 및 해양플랜트 기자재 표준화사업 (국내 및 국제) 수행

※ 공학관련 부서가 전체적으로 동참하고 관련 연구기관 및 대학교와 공동연구 추진체계가 요구됨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 70 70 - - - 140

해양 R&D 실용화센터 구축

필요성

개발 완료된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조직․제도․전문가 확보 필요 - 지금까지의 해양분야 R&D 지원은 기술개발에만 치우쳐 있고,

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실용화 실적은 저조

목 표

해양과학기술 R&D 사업화 성공률 향상 및 해양산업계 수요와 보유기술을 연계할 수 있는 전문 코디네이터 육성

본격적인 실용화, 상업화 이전에 시범사업 또는 시제품 개발과 사업화에 필요한 자금․시설․정보 등을 지원

주요내용

해양과학기술연구개발 체계에 ‘기술사업화지원프로그램(R&BD)’ 신설 해양기술실용화 센터 설치

- 기술, 자금, 정보, 인력 등 사업화 지원을 네트워킹하는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의 허브기능 수행

R&D 사업화 제고를 위한 인력양성프로그램 수행

개발된 기술의 실용화 전단계로서 Pilot Plant 운영지원사업 또는

‘신기술 창업보육사업(TBI)’의 신설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15 25 35 - - - 75

해양관측기술센터 운영

필요성

연구장비의 구입부터 폐기까지 전주기적 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활용 해양과기원 설립과 부산 이전에 따른 연구장비 및 시설의 체계적인 관리체계 및 운영체계 마련 필요

연구장비의 투자효율성 및 공동활용을 극대화하여 연구생산성 향상 → 미사용, 장기적 보관, 폐쇄적 활용, 장비구매 중복 등 문제해소 필요

유지관리, 보수, 검정, 교정 지원체계를 확립하여 연구시설․장비로 부터 생산되는 자료의 품질 개선 필요

고부가가치의 첨단 해양관측장비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첨단 분야의 기술 융․복합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 필요

목 표 해양과학기술원 보유 장비․시설 활용 효율의 극대화 및 스마트 해양관측기술의 전략 산업화

주요내용

해양관측기장비 중앙보관관리동(Central Depository) 설치 및 연구장비 중앙관리시스템을 구축을 통해 전주기적 관리 실시

고부가가치 해양관측장비 개발을 위한 관련분야별 융․복합 협력 사업 발굴 및 지원

해양과학기술원 공용연구장비실 구축․운영을 통한 해양관측 기장비 공동활용도 제고

전문 해양관측기술인력을 양성하여, 장비운용 및 해양관측조사 기술 지원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30 60 - 90 100 100 - - 380

해양 가속 질량분석 센터 설치

필요성

가속 질량분석기는 고고학, 대기과학, 해양학, 의학 및 생명과학에서 미량의 동위원소를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음

대기와 해양에서의 이산화탄소 거동, 해수유동, 해양의 물질순환 등의 시간 스케일의 추정에 유용한 동위원소는 극미량으로 존재 하기 때문에 유용한 data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계측방법 으로는 많은 양의 시료와 오랜 측정시간이 필요함

우리나라는 환경시료(해양 및 대기) 전용 가속 질량분석기를 미보유

목 표

국가 경제규모 확대에 따른 국가위상에 맞는 전세계적 공동 관심 해양 연구 심화

가속 질량분석기로부터 생산된 자료를 활용하여 NS(Nature, Science)를 비롯한 세계 일류 학술 저널에 대한 투고 기회 확대

주요내용

해양 가속 질량분석 센터 설치

- AMS실(100㎡) 실, 부속장비실(36㎡) 3실, 제어실(36㎡) 2실 - 부속시설 : cooling water system, compressed air system, UPS unit

소요장비 구입

- Tandem Type AMS(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1대, MC-ICP Mass 1대, IRMS 1대, HPGE Gamma-ray Spectroscopy 4대, Alpha Spectrometry(20ch) 1대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 40 30 - - - 70

천해 지반탐사용 시추선 건조사업

필요성

국내에는 시추선 및 시추장비가 전무하여 외국 시추선과 시추장비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매년 수십억 원의 국가예산이 소요

최근 해양공간(해상풍력, 대규모 해상교량 등) 사업 및 대형 해상 건설사업의 증가로 인하여 시추선의 필요성 증대

목 표

시추선의 미보유로 인하여 외국 시추선 임차 사용시 우려되는 국가 자원정보 유출 방지

국내 연근해 대륙붕 자원 탐사,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 기술개발,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사업, 항만건설 해상지반조사사업, 해상 교량 건설사업, 해저케이블 매설, 인공섬 조성사업 등에 활용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의 개도국에 임차로 인한 임차수입

주요내용

1차년도 :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2차년도 : 건조 및 시추장비 탑재

3차년도 : 건조완료 및 실해역 시운전

※ 제원 : 총톤수 1,500톤급, 전장 55m, 폭 12m, 항행거리 1만 해리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 - 13 190 291 - - - 494

온누리호, 이어도호 대체선박 건조

필요성

온누리호(‘92년 1월 취항) 및 이어도호(’92년 3월 취항)의 선령이 20년이 넘음

연구수요의 증가로 인한 과다한 운항일정 및 선박 노후화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점차 증가

목 표

대체선박 건조를 통해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연구선 기능 향상 도모

해양관측, 기후변화 등 해양연구 활동에 기여

주요내용 온누리호 대체선박(2,000톤급) 설계 및 건조 이어도호 대체선박(1,000톤급) 설계 및 건조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 - - 40 400 600 460 - 1,500

동해 ․ 독도 전용연구선 건조

필요성

동해․독도는 일본과의 독도영유권 문제, 해저지명 등재 등 해양 영토 경쟁이 치열한 전략적 요충지

동해에서의 연구수요 급증으로 인한 기존 연구선 이용 한계 발생 및 독도 종합해양과학기지, 울릉도․독도 해양연구센터 운영 예정에 따른 활용연구의 지속적 증가 예상

목 표

동해․독도에서의 연구수요에 적시적 대응

동해주변해역의 과학적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통하여 동북아 해양 질서의 주도권 장악

동해권역 해양관련 대학의 연구 활성화 및 전문 인력양성에 기여

주요내용

동해․독도 전용연구선 설계 및 건조

- 1천톤급, 전장 70m 내외, 운항선속 15노트, 승선인원 35명

- 주요설비 : 메인크레인(20톤×7m), 크레인(5톤 3단 접이식), 항해 장비, 360° 전망 조타실, 윈치 등

- 주요장비 : CTD, ADCP, 멀티빔, 에코사운더, 서브보텀프로파일러, Weather station, Giant core, Scientific marine organisms acoustic system, Multi layer plankton sampler 등

소요 예산

(억원)

‘13 ‘14 ‘15 ‘16 ‘17 ‘18 ‘19 ‘20 계

20 180 220 180 - - - - 600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발전전략 (Halaman 152-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