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내외의 무역시장

Dalam dokumen 歷史上의 中國과 韓國 (Halaman 56-60)

年度 上海 汕頭 廣州 台湾 1865 288,426 23.8% 350,138 28.9% 189,878 15.6% 159,080 13.1%

1871 617,987 27.3% 674,344 29.8% 134,739 6.0% 432,122 19.1%

1875 469,841 21.9% 813,107 37.9% 244,878 11.4% 327,555 15.3%

1880 871,129 36.1% 574,288 23.8% 218,947 9.1% 481,278 19.9%

1885 947,642 45.7% 531,063 25.6% 178,239 8.6% 176,280 8.5%

1890 1,128,313 48.2% 541,243 23.1% 103,148 4.4% 325,050 13.9%

1895 2,094,906 68.5% 422,537 13.8% 111,358 3.6% 223,267 7.3%

1899 2,532,623 42.5% 609,310 10.2% 107,689 1.8% 0 0.0%

1904 5,787,528 50.0% 621,635 5.4% 87,973 0.8% 0 0.0%

年度 廈門 天津 牛莊 芜湖

1865 30,097 2.5% 57,139 4.7% 669 0.1% 0 0.0%

1871 253,507 11.2% 6,399 0.3% 2,615 0.1% 0 0.0%

1875 159,659 7.4% 10,368 0.5% 33,588 1.6% 0 0.0%

수출액은 연태토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唐麵도 연태의 중요한 수출품으로 1865년의 3만 단에서 1910년의 24만 단으로 증가 하여 연평균 10%의 증가율로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당면은 주로 홍콩으로 수 출되었다.

1880 115,524 4.8% 11,254 0.5% 91,514 3.8% 0 0.0%

1885 113,543 5.5% 17,603 0.8% 73,649 3.5% 0 0.0%

1890 82,351 3.5% 105,524 4.5% 42,393 1.8% 0 0.0%

1895 64,944 2.1% 130,349 4.3% 0 0.0% 0 0.0%

1899 175,272 2.9% 204,757 3.4% 466,450 7.8% 1,590,311 26.7%

1904 53,815 0.5% 428,784 3.7% 1,302,263 11.3% 1,859,849 16.1%

출전:중국구해관사료각년판에 근거하여 작성함.

위의 도표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태의 토화수입은 제1기에 주로 上海, 汕頭, 廣 州, 台灣과 廈門 간에서 진행되었는데 제2기에 들어가면서 천호와 우장에서 수입한 토 화가 고속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일찍 개항된 천진과의 무역은 낮은 비중으로 유지 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상해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무역량은 계속 성장하였지만 제 2기에 들어가면서 무역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하락세가 나타났다. 개항 초기의 1865년에 연태는 주로 상해에서 사제품(Silk, Piece Goods)을 수입했는데 상해수입총 액에서 66%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粗夏布(Cloth, Coarse Grass)와 설탕은 각각 10%와 7%를 차지하였다.29) 1876년 이전 연태는 주로 상해에서 강남의 棉花, 絲 와 국내 다른 지역의 재수입상품을 수입했고 1877~1894년에 면포를 많이 수입했으며 1895년 이후 면사를 안정적으로 수입하기 시작하였다.30)

산두, 광주와 하문의 무역량은 1870년대 최고치에 이른 후 감소하였고 무역비중은 더욱 뚜렷하게 떨어지고 있었다. 대만의 무역량과 비중은 모두 파동하면서 감소하고 1900년 이후 연태와의 무역이 사라졌다. 연태는 주로 이상의 개항장에서 설탕을 수입 했는데 이 지역의 주강유역, 한강유역, 복건과 대만은 모두 중국의 중요한 설탕생산지 였다. 광주와의 무역은 상대적으로 분산적인데 설탕 이외에 단추, 부채, 종이와 실크제 품이 있었다.31)

일찍 개방된 천진의 무역량은 대체로 성장하였지만 점유율이 파동하고 있었다. 개 항 초기에 연태는 천진에서 사제품을 수입했고32) 1887년 이후에는 면화를 많이 수입 했다.33) 우장은 제1기의 무역량과 차지하는 비중이 낮지만 제2기에 들어간 이후 모두 빠르게 증가하였다. 연태 개항초기의 10년 동안 우장에서 수입한 콩류는 주로 민선으 로 운송되기 때문에 해관통계에 반영되지 못했다. 1893년 이후 우장에서 수입한 잠사 의 증가로 우장의 점유율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천호는 제2기에 신흥의 무역파트너로 서 연태토화수입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천호의 무역이 갑자기 나타난 원인은 쌀을 대량으로 수입했기 때문이다.

29) 중국구해관사료 2권 12~16면.

30) 劉素芬, 앞의 책, 26면.

31) 중국구해관사료 2권 12~17면.

32) 중국구해관사료 2권 19면.

33) 劉素芬, 앞의 책, 26면.

年度 上海 汕頭 廈門 1865 212,129 10.6% 837,371 42.0% 557,381 28.0%

1870 602,193 38.3% 564,028 35.8% 262,911 16.7%

1875 878,002 41.2% 652,229 30.6% 318,451 15.0%

1880 2,169,077 65.4% 566,960 17.1% 465,503 14.0%

1885 2,447,878 62.7% 779,980 20.0% 452,435 11.6%

1890 3,163,484 72.0% 757,924 17.2% 414,758 9.4%

1895 4,931,430 74.0% 797,334 12.0% 624,822 9.4%

1899 5,478,164 66.0% 1,235,218 14.9% 592,060 7.1%

1904 6,457,898 72.0% 1,186,261 13.2% 495,682 5.5%

年度 廣州 福州 其他

1865 97,851 4.9% 218,649 11.0% 70,560 3.5%

1870 42,047 2.7% 92,059 5.8% 11,018 0.7%

1875 42,021 2.0% 20,080 0.9% 218,732 10.3%

1880 18,611 0.6% 27,808 0.8% 70,617 2.1%

1885 59,321 1.5% 12,891 0.3% 148,503 3.8%

1890 50,831 1.2% 1,604 0.0% 7,845 0.2%

1895 277,713 4.2% 3,666 0.1% 25,093 0.4%

1899 779,902 9.4% 33,728 0.4% 180,628 2.2%

1904 192,493 2.1% 46,652 0.5% 592,954 6.6%

年度 홍콩 일본 러시아

1865 472,106 54.7% 61,997 7.2% 44,802 5.2%

1870 423,239 49.0% 120,575 14.0% 80,880 9.4%

[도표7] 연태 토화국내수출의 지역별 비중(1864~1904)

출전:중국구해관사료각년판에 근거하여 작성함.

연태의 토화국내수출은 주로 상해, 산두와 하문, 광주와 복주 사이에서 진행되었다.

개항 초기인 60년대에 산두, 하문과 복주는 연태의 주요 수출지로서 70% 이상의 비중 을 차지하고 있었다. 상해가 차지한 비중은 10% 정도였다. 개항 초기에 연태는 주로 콩깻묵, 콩류와 면화를 수출하였다.34) 1870년대에 들어간 이후 상해로 수출된 토화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1900년대 이후 70%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 다. 이것은 상해가 연태 최대의 화물재수출항구로서 연태에서 영국과 미국으로 수출한 화물은 대부분 상해를 거쳐 수출해야 했기 때문이다.35) 연태와 각 항구의 무역관계를 보면 상해가 흥성하면서 다른 항구의 지위가 대체로 쇠퇴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2) 국제무역시장의 변동

국제무역에 있어서 연태의 최대 무역항구는 홍콩이었다. 그 이외에 연태는 구미의 영국과 미국, 아시아의 일본과 조선, 그리고 러시아간에 국제무역 네트워크를 형성하 게 되었다.

[도표8] 연태의 주요 양화수입국(1864~1904)

34) 중국구해관사료 2권 21~22면.

35) 劉素芬, 앞의 책, 14면.

1875 477,907 53.3% 44,490 5.0% 100,817 11.2%

1880 242,497 37.2% 53,948 8.3% 137,327 21.1%

1885 435,825 54.9% 88,187 11.1% 147,496 18.6%

1890 695,027 78.0% 66,016 7.4% 106,576 12.0%

1895 1,120,955 52.1% 238,875 11.1% 54,703 2.5%

1900 1,434,118 30.3% 2,048,130 43.2% 122,974 2.6%

1904 2,273,577 27.4% 3,532,570 42.6% 95,718 1.2%

年度 영국 미국 조선

1865 51,484 6.0%

1870 198,702 23.0%

1875 165,165 18.4%

1880 179,783 27.6%

1885 113,042 14.2%

1890 18,996 2.1%

1895 342,745 15.9% 75,380 3.5%

1900 328,889 6.9% 396,002 8.4% 407,841 8.6%

1904 256,763 3.1% 1,300,323 15.7% 782,817 9.4%

年度 홍콩 일본 러시아 조선

1865 520,789 97.3% 13,494 2.5% 782 0.1%

출전:중국구해관사료1~20권에 근거하여 작성함.

위의 [도표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느린 성장기에 각국은 양화국외수입에서 차지하 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지만 고속 성장기에 들어가면서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홍콩은 제1기에 시종여일 최대의 양화수입국으로서 1880년대 이후 뚜렷하 게 성장하는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1900년 이후 일본에 뒤쳐졌다.

일본은 제1기에 연태양화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안팎이었지만 1900년 이후 놀라운 속도로 연태 최대의 양화수입국으로 부상하였다. 일본의 주요 수입품이 면사와 성냥이었는데 그 중에서 면사의 수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영국과 러시 아의 경우는 제1기에 중요한 양화수입국이었지만 일본무역의 부흥과 함께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영국과 연태의 무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대부분의 영국 상품은 홍콩과 상해를 거쳐 재수입했기 때문이다. 개항 초기에 주로 영국에서 갈색설탕을 수 입했고 그 후 영국의 면포, 면사는 주요상품이 되었으며, 청일전쟁 이후 영국의 석탄 (Cardiff Coal)도 많이 수입되었다.36) 러시아의 주요 수출품은 해초(Seaweed)이었다.

미국에서 수입된 양화는 1895년부터 성장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주된 상품은 등 유였다. 조선에서 연태로 수출된 상품도 1900년 이후 본격화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주 된 상품은 인삼(Ginseng)이었다. 1900년에 35만량, 1904년에 70만 량에 달하여 조선수 출총액에서 거의 90%가량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37)

[도표9] 연태의 주요 토화수출 대상국(1864~1904)

36) 중국구해관사료 2권 6면; 152권 55면; 光緒二十年煙台口華洋貿易情形論畧, 99면.

37)중국구해관사료31권 107면; 39권 197면.

1871 52,241 35.0% 91,158 61.1% 5,906 4.0%

1875 116,171 83.8% 19,613 14.1% 2,914 2.1%

1880 50,674 64.1% 6,668 8.4% 17,239 21.8%

1885 128,059 73.1% 1,924 1.1% 45,119 25.8%

1890 275,383 69.8% 44,424 11.3% 74,994 19.0%

1895 525,140 70.9% 31,199 4.2% 142,781 19.3%

1899 819,606 41.1% 555,349 27.8% 535,483 26.8% 56,430 2.8%

1904 1,658,644 44.7% 1,959,379 52.8% 5,225 0.1% 77,581 2.1%

출전:중국구해관사료1~20권에 근거하여 작성함.

위의 도표9 와 같이 토화국외수출은 홍콩, 일본과 러시아간에 이루어졌다. 전시기 를 보면 연태의 토화수출은 절반 이상의 비중을 홍콩을 거쳐 외국으로 수출하였고 나 머지 30% 정도는 일본과 러시아 쪽으로 수출되었다. 1900년대 이후 조선과의 무역은 2%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홍콩의 무역량은 청일전쟁을 기점으로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전기에 변동의 폭 이 크지 않고 후기에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와 반면에 홍콩의 점유율은 제1기에 평균 70%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청일전쟁 이후 40%대로 떨어졌다. 이것은 청일전쟁 이후 일본으로 수출한 토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홍콩으로 수출 한 상품은 모두 국외로 재수출하는 것이다. 개항초기인 1865년에 홍콩으로 수출한 상 품은 주로 콩류, 면화와 당면이었다.38) 일본의 경우는 1871년을 빼면 대체로 10%의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청일전쟁 이후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1904년에 홍콩의 무 역량을 초과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 개항초기에 일본으로 수출한 상품은 주로 견주, 약품과 콩류였다.39) 1898년 이후 대일본수출의 최대품목은 야잠사와 견주이었다. 러시 아의 무역량과 점유율은 1899년 이전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이것은 현지에 산동인이 증가하였기 때문일 수 있다. 수출상품은 주로 당면, 복장, 식량과 고 기류로 구성되었다.40) 그러나 1904년 이후 연태와 러시아의 무역이 중단되었다. 1883 년 인천개항 직후 조선과의 무역은 기본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였다. 특히 1904년 이후 인삼의 대량 수입으로 무역량이 급등하였다.

Dalam dokumen 歷史上의 中國과 韓國 (Halaman 5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