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태의 상인과 양행

Dalam dokumen 歷史上의 中國과 韓國 (Halaman 60-69)

1871 52,241 35.0% 91,158 61.1% 5,906 4.0%

1875 116,171 83.8% 19,613 14.1% 2,914 2.1%

1880 50,674 64.1% 6,668 8.4% 17,239 21.8%

1885 128,059 73.1% 1,924 1.1% 45,119 25.8%

1890 275,383 69.8% 44,424 11.3% 74,994 19.0%

1895 525,140 70.9% 31,199 4.2% 142,781 19.3%

1899 819,606 41.1% 555,349 27.8% 535,483 26.8% 56,430 2.8%

1904 1,658,644 44.7% 1,959,379 52.8% 5,225 0.1% 77,581 2.1%

출전:중국구해관사료1~20권에 근거하여 작성함.

위의 도표9 와 같이 토화국외수출은 홍콩, 일본과 러시아간에 이루어졌다. 전시기 를 보면 연태의 토화수출은 절반 이상의 비중을 홍콩을 거쳐 외국으로 수출하였고 나 머지 30% 정도는 일본과 러시아 쪽으로 수출되었다. 1900년대 이후 조선과의 무역은 2%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홍콩의 무역량은 청일전쟁을 기점으로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전기에 변동의 폭 이 크지 않고 후기에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와 반면에 홍콩의 점유율은 제1기에 평균 70%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청일전쟁 이후 40%대로 떨어졌다. 이것은 청일전쟁 이후 일본으로 수출한 토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홍콩으로 수출 한 상품은 모두 국외로 재수출하는 것이다. 개항초기인 1865년에 홍콩으로 수출한 상 품은 주로 콩류, 면화와 당면이었다.38) 일본의 경우는 1871년을 빼면 대체로 10%의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청일전쟁 이후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1904년에 홍콩의 무 역량을 초과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 개항초기에 일본으로 수출한 상품은 주로 견주, 약품과 콩류였다.39) 1898년 이후 대일본수출의 최대품목은 야잠사와 견주이었다. 러시 아의 무역량과 점유율은 1899년 이전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이것은 현지에 산동인이 증가하였기 때문일 수 있다. 수출상품은 주로 당면, 복장, 식량과 고 기류로 구성되었다.40) 그러나 1904년 이후 연태와 러시아의 무역이 중단되었다. 1883 년 인천개항 직후 조선과의 무역은 기본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였다. 특히 1904년 이후 인삼의 대량 수입으로 무역량이 급등하였다.

인은 200만 량의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41)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산동상인은 70%, 광동상인은 15%, 영파상인은 10%, 나머지의 5%는 복건상인과 기타상인들이 차 지하게 되었다.42)

산동상인들은 주로 연태와 국내 개항장 간의 무역을 경영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산 동의 제남상인은 면포를 취급했고 청주와 래주상인은 비단을 취급했으며 황현상인은 주로 당면무역에 종사했다. 상해는 중국경제중심지이며 산동상인의 주요 활동지역이기 도 했다. 1870년대 중기 이후, 연태와 상해간의 무역은 활성화되었다. 상해에는 시장이 발달하고 금융네트워크가 완비되어 많은 연태 상인을 상해로 끌어갔다. 홍콩은 연태토 화의 중요한 국외수출항이었는데 산동상인들은 홍콩과의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 였다. 산동상인들이 홍콩에 지점을 설치하여 연태와 홍콩 간의 무역에 종사했던 광동 상행이 22개개 지점으로부터 8개 지점으로 감소하였다.43)

연태에 있어서 산동상방 이외에도 다른 지역의 상방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연 태의 산두상인세력이 매우 컸고 산두회관도 건립했다. 그들은 개항초기의 아편무역을 독점했고 설탕수입과 콩깻묵, 당면과 생선의 산두수출무역을 경영했는데 산두와 연태 간의 무역에 종사한 모든 경쟁자를 이겨냈다. 산두상인의 세력은 계속 성장했는데 1901년대에 이르기까지 연태에서 많은 상행과 대리점을 개설하게 되었다. 연태에서의 하문상인들은 주로 대만과 연태 간의 무역을 경영했는데 대만을 일본으로 할양한 후 그들의 무역량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연태에서의 상방은 대부분 상방소재지의 상 품을 경영했다. 영파의 소주와 중이, 우장의 콩류, 산두와 하문의 설탕 등 상품을 모두 현지의 상방들이 경영하고 있었다.44)

연태상인은 조선, 일본과 러시아를 비롯한 국외시장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 었다. 1890년의 官報抄存通商報告를 보면 조선, 일본과 러시아에서 무역에 종사하는 산동상호가 40여 호를 넘었고 주로 行棧, 잡화와 미역무역에 종사하였다. 그중에서 대 표적인 상호는 大成棧과 萬順永 등을 들 수 있는데 자본금은 각각 80만 량과 20만 량 을 초과하였다.45) 연태와 조선간의 무역에는 연태상인들이 시장을 거의 독점하였다.

인천개항 이후 조선과 산동간의 범선무역은 거의 다 연태를 거친 것이었다.46)

연태 개항 이후 외국 상인들은 양행을 설치하여 무역을 하였다. 1864년 영국 상인이 연태에서 처음으로 和記洋行과 匯昌洋行을 설치하여 무역과 화물운송을 경영하였다.

1891년까지 연태에 모두 11 개 양행이 설립되었다. 그 중에서 1888년에 일본 양행 2 개가 설립되었는데 하나는 금방 망했다.47) 청일전쟁 이후 청나라는 외국 상인이 중국 41)중국구해관사료152권, 58면.

42) 莊維民, 앞의 책, 305면.

43)중국구해관사료152권, 59면.

44)중국구해관사료152권, 58~59면; 153권 64면.

45) 古田和子, 앞의 책, 110~114면.

46) 中央研究院近代史研究所, 清季中日韓關係史料( 中央研究院近代史研究所 1972), 1770~1775 면.

47)중국구해관사료152권, 55면.

에서의 投資權을 가지도록 승인하여 양행이 많이 설립되었다. 양행의 수는 1891년의 11 개로부터 1901년의 26 개로 급증되었다. 그 중에서 일본 양행이 제일 많고 10 개에 달하고 영국 양행이 7 개로 제2위에 차지했으며 독일은 4 개, 미국은 3 개, 프랑스는 2 개가 있었다.48) 1902년에 연태에 모두 43 개 양행이 운영되고 있었는데 그중에서 일 본 양행이 26 개에 달했다.49) 1911년에 이르기까지 국내 상인과 양행의 경쟁으로 모두 29 개 양행이 남았는데 일본 양행이 13 개가 있었고 영국 양행이 4 가밖에 없었다.50)

연태 개항 이후 외국 상인들은 양행을 설치하여 외국 상품을 수입했으나 연태의 무 역을 주로 국내 상인들이 장악하였다. 수입에 있어서 외국아편, 면제품과 금속 등 상 품수입을 경영하는 외국 상인들은 1891년까지 국내 상인에 비해 세력이 많이 줄었다.

수출에 있어서도 초변과 사제품 이외의 대부분 화물을 국내 상인들이 장악하고 있었 다.51)

Ⅳ. 맺음말

서구열강들의 필요에 의해 개항된 연태는 작은 항구로부터 국내의 중요한 무역항구 로 성장하여 중국근대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였다. 1864~1911년의 48년 사이에 큰 사건이 발생한 특정년도를 제외하면 연태의 무역은 대체로 성장하고 있었다. 해관 통계에 근거하여 연태의 무역은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864~1893년의 느린 성장기 에 연태는 산동의 유일한 개항장으로서 무역이 성장하였지만 부두와 교통시설의 미비 로 증가의 폭이 크지 않았다. 1894~1905년의 고속 성장기에 청일전쟁 기간 각국 군함 이 필요한 석탄과, 전쟁 이후 양화의 대량 수입으로 무역이 놀라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었다. 1906~1911년의 파동 쇠퇴기에 청도의 개항으로 인해 연태의 무역이 파동하면 서 침체하기 시작하였다.

연태무역은 처음부터 끝까지 수입초과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연태의 재수출비율 이 낮았고 수입된 양화와 토화는 주로 현지와 배후지에서 입수되었다. 시기별로 국․

내외에서 수입된 양화와 국내외로 수출한 토화의 비중은 큰 차이가 있다. 연태무역의 양상은 청일전쟁 이전에는 국내 개항장간 무역을 중심으로 한 양화수입과 토화수출입 의 성격을 띠였고 있었고 청일전쟁 이후에는 연태의 국제무역이 뚜렷하게 성장되는 경향이 보였다. 연태의 주종상품이 많아지는 추세가 있는데 수입품은 아편, 면제품, 금 속품, 등유와 설탕을 예를 들 수 있으며 수출품은 콩깻묵, 콩류, 초변, 사와 당면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48)중국구해관사료153권, 69면.

49)중국구해관사료155권, 234면.

50)중국구해관사료156권, 204면.

51)중국구해관사료152권, 58면.

연태의 무역은 국내무역과 국제무역으로 나눌 수 있다. 연태의 국내무역은 주로 상 해와의 사이 진행되었고 산두, 광주, 하문, 복주, 대만, 천호와 우장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연태의 무역 파트너 항구가 중국 경내 개항장의 신설로 다양화되는 경향 이 나타났으며 각 항구가 연태국내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변동하고 있었다. 국제무 역에서 홍콩은 느린 성장기에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일본은 1900년을 전후하여 홍콩 과의 무역량을 초과하였다. 미국, 러시아와 조선간의 무역도 일정한 비중을 차지했다.

각국이 연태의 국제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국내무역과 같이 시기별로 또 다른 양 상이 나타났다.

국내 각지의 상인단체는 연태에서 큰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그들은 경쟁을 통 해 연태와 국내 개항장간의 무역을 경영했다. 연태 국내무역에 있어서 산동상인의 세 력이 제일 크고 산두 등 남쪽상인의 세력도 무시할 수 없었다. 각지의 상인들은 대부 분 상인출신지역의 산품을 경영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산동상인은 조선, 일본과 러 시아의 시장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개항이후 많은 양행이 설치되었지만 1890년까지 대부분의 무역이 국내 상인에게 장악되었다. 단, 외국양행은 초변과 사제 품의 수출에 있어서 큰 세력을 떨쳤다.

김 형 열 (동의대)

본 논문은 청말 煙臺의 무역동향을 분석하여 1864년부터 1911년까지 각 시기 별 무역추이와 무역변화의 원인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煙臺港의 수출 입 물품과 무역대상 항구를 분류하여 煙臺 무역의 구조와 煙臺港의 성격에 대해 밝히고 있다.

국내에 동일 작자의 연구논문 이외에는 煙臺의 개항과 무역문제를 다루는 연 구 성과가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근대 산동지역 무역항 의 역사와 그 시대적, 지역적 영향을 찾아보는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논문으로 보여 진다.

동일시기 산동지역 도시와 개항장을 연구하는 연구자의 입장에서 볼 때 많은 부분을 시사해주는 글이라고 생각하면서, 앞으로의 연구 진행에 참고가 될 수 있 도록 몇 가지 질문을 해보고자 한다.

1. 연구 대상 시기의 하한을 1911년으로 설정한 이유에 대해 알고 싶다.

어느 항구의 무역동향과 그 역사적 성격을 파악하는 연구라고 한다면 연구 대 상 시기의 설정은 수출입량과 무역품목에서의 획기적 변화 또는 그 항구의 관리 와 점유에 있어서의 정치적 변화 내지는 무역 자체의 성격 변화를 그 주요근거 로 삼아야 할 것이다. 필자는 머리말에서 하한을 1911년으로 설정한 것은 이 때 청나라가 멸망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청의 멸망과 煙臺港 무역 구조 및 성격의 변화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명확히 설명해 주었으면 한다. 煙臺港의 무 역 변화에 큰 영향을 준 시기라고 한다면 필자가 본문에서도 언급하고 있듯이 1904년 膠濟鐵路의 개통으로 인해 靑島港의 무역총액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시기 를 들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민국시기에 들어서도 靑島港과 더불어 산동지역 수 출입 통로로서 주요한 기능을 하고 있었던 煙臺港의 성격과 역할에 있어서도 분 명한 연구가치가 있으리라 보이는데 이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듣고 싶다.

2. 1898년 靑島港이 개항하게 되면서 무역품목과 무역성격, 그리고 운송방식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게 되었는지 알고 싶다.

1898년까지 산동지역의 유일한 무역항으로서 발전을 거듭해오던 煙臺港이 靑 島港의 개항과 더불어 무역총액의 쇠퇴가 발생하게 된 것은 필자도 이미 본문에 서 밝히고 있는 바이다. 다만 이를 煙臺港의 쇠퇴이유로서만 들 것이 아니라 구 체적으로 무역자체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게 되었으며 특히 운송수단에 있어서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게 되었는지 궁금하다. 靑島港의 발전이 膠濟鐵路의 개통에

Dalam dokumen 歷史上의 中國과 韓國 (Halaman 6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