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역관 홍씨 집안과 홍순언

Dalam dokumen 歷史上의 中國과 韓國 (Halaman 33-37)

鄭寅普는 홍순언의 初諱는 德龍이고, 純彥은 字인데, 字로 행세하다가 임금에게까지 알려지게 되자 자를 이름으로 삼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홍순언의 生沒年代 및 官歷 品 階도 기록하지 않고, 洪氏族譜에 기록되어 있다고 하였다. 唐陵君遺事徵 을 쓰게 된 계기는 당릉군의 동생 선전관(德麟)의 후손인 正求의 부탁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하였 다.5) 그러나 南陽洪氏의 族譜에 의하면,6) 홍순언은 洪謙의 아들이며, 洪秀彥이라는 동 생이 있었는데, 이들 삼부자는 모두 유명한 漢語역관이었다. 홍순언의 원명과 동생에 관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본고에서는 조선왕조실록, 南陽洪氏族譜 및 기타 자 료에 근거하여, 純彥은 字가 아니라 원명이고, 字는 士俊, 호는 東皐7)이며, 홍순언의 삼부자는 조선중기의 유명한 漢語譯官이었다고 판단하고 아래의 논술에서 모두 여기 에 따를 것이다.

洪謙前에 역관 홍씨집안8)은 三代가 文官이고 홍겸의 아버지와 형은 과거급제자였 다.9) 홍겸의 아버지 洪慶昌은 通德郞·司諫院 正言·安東府使·司䆃寺 副正 등 직을 지내 4) 권인용, 明中期 조선의 宗系辨誣와 對明外交 -권벌의朝天錄을 중심으로- ,명청사연구24, 2005; 김경록, 조선초기 대명외교와 외교절차 ,한국사론44, 2000; 박성주, 조선전기 조명 관 계에서의 종계문제 ,경주사학22, 2003; 이영춘, 丙子胡亂 전후의 조선,明,淸 관계와 김육의朝京日錄,조선시대사학보38, 2006; 졸고, 明末의 中國社會와 朝鮮使臣의 外交活動 -金堉의

朝京日錄朝天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명청사연구31, 2009 등을 참조.

5) 鄭寅普지음, 정양완 옮김,담원문록(하), 태학사, 2006, p.473.

6) 洪鐘文,南陽大譜二部, 譜三, 南陽洪氏大宗中中央宗會, 1993.

7) 許國,許文穆公集卷6(四庫禁燬書叢刊(4), 集部40, 북경출판사, 2000), p.517.

8) 澓(4)-漢升-沖-世-芬-由道-福海-溟-師壽

-師錫 -吉昌

-師悌-係江-孝昌 -建-孝孫(肅川府使)

-慶昌-愼 -遵-孝承

-謙-純彥(唐陵君)-運-孝善 -選-孝烝 -秀彥(無後)

年度 사신 직급 목적 備考 및 典據 통사 1 1536.11-15

37.9

龔用卿 翰林院修撰

皇嗣의 誕生조서를 반포. 공용경,사조선록;

황화집;중종실록 홍겸 吳希孟 戶科給事中

2 1539.2- 華察 翰林院侍讀 황태자의 책립조서를 반포. 중종실록

薛廷寵 工科給事中 3

1545

郭璈15) 太監 恭僖라는 인종의 諡호와 제문

과 賻儀를 頒賜. 인종실록 張承憲 行人

4 張奉 太監 誥命과 칙명을 내리고 채폐를

반사함. 인종실록 홍겸

吾猷 太監 5

1546

劉遠 太監 제문, 시호, 賻儀를 반사. 명종실록 王鶴 行人

6 聶寶 太監 誥命과 칙명을 내리고 비단을

하사. 명종실록

郭鑾 太監

7 1558 王本 太監 세자 책봉의 칙명을 반사. 명종실록

趙芬 太監 8

1567

許國 翰林院檢討 隆慶帝의 登極·改元조서와 칙 명을 반포.

명종실록; 황화집 조선에 國喪발생 홍순언 魏時亮 兵科給事中

9 姚臣 太監 선조의 책봉조서·책봉문·冕服

을 하사. 선조실록

李慶 太監 10

1568

張朝 太監 大行王의 시호를 恭憲이라 내

리고, 제문·시호·부의를 반사 선조실록 歐希稷 行人

11 成憲 翰林院檢討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 선조실록 홍순언 고,10) 홍겸의 형 洪愼은 平安都事·平壤庶尹·楊州牧使·奉常寺正·刑曹參議 등 직을 지냈 으며, 1539년에 進賀使로 명나라에 출사한 이후 工曹參議, 강원도 觀察使 등 직을 지 냈다.11) 홍순언의 아들 洪建은 임진왜란 중에 공을 세워 당상관으로 승진하고,12) 홍건 의 아들 洪孝孫은 肅川府使까지 지냈다.13) 이렇게 홍순언의 삼부자만이 역관이었지만, 역관 홍씨집안으로 칭하였다. 그 것은 역관이 勳臣으로 錄勳된 것은 홍순언이 前無後 無할 것이고, 조명외교에서 역관 홍씨집안과 같이 큰 역할을 한 가문 또한 前無後無하 기 때문이다.

홍순언의 삼부자가 조명외교에 참여한 시기, 明나라 사신의 조선출사와 이들의 참여 여부를 [표1]로 정리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明나라 지원군과 과 조선군신의 교섭에 참 여한 활동도 포함시켰다.14)

[표1]명나라 사신 조선출사표(1530-1598)

9)皇華集(四庫全書存目叢書集部, 第301冊, 齊魯書社, 1997), pp.549-550.

10)성종실록권246, 21년 10월 갑인③;중종실록권1, 1년 10월 정미③;중종실록권29, 12년 8 월 임신⑥. (원문자는 몇 번째 기사임을 가리킴)

11)중종실록권63, 23년 9월 경진②;중종실록권77, 29년 윤2월 을축⑤;중종실록권81, 31년 5 월 임오①;중종실록권82, 31년 11월 무인①;중종실록권89, 33년 12월 임인②;중종실록 89, 34년 1월 병신④, 2월 경술①; 3월 계유① 등을 참조.

12)선조실록권107, 31년 12월 무인②.

13)인조실록권45, 22년 9월 병술②.

14) 정곤수,赴京日錄(栢穀先生集권3), 壬辰 8월 24일조.

王璽 兵科給事中 松溪漫錄(下) 12 1572.8

韓世能 翰林院編修 만력황제 登極조서 반포, 文幣·

옷감·안집을 하사.

선조실록; 황화집; 허봉, 조천기

홍순언 陳三謀 吏科左給事 홍수언

13 1582.9

黃洪憲 翰林院編修

皇嗣탄생의 조서를 반포 선조실록

황화집 홍순언

王敬民 工科右給事 中

14 1592.8 薛藩 行人 황제의 칙서를 반사 선조실록

정곤수,赴京日錄 홍순언 15 1593 李如松 提督 일본과의 전쟁 선조실록

정곤수,赴京日錄

홍순언 홍수언

16 司憲 行人 황제의 칙서를 頒賜 선조실록 홍순언

[표1]에서 황제의 등극과 개원·황태자의 책립·황자의 탄생 등을 반포할 때에는 대부 분 한림원과 육부에서 사신을 차출하고, 조선국왕과 세자의 책봉칙명을 내리거나 제 문·시호·賻儀 등을 頒賜할 때에는 대부분 태감과 행인을 파견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 다.16) 또한 홍순언의 삼부자가 영접한 사신은 대부분 문신인데, 이는 이들의 문화적인 소질을 설명할 수 있다.

洪謙은 字가 受益이고, 1531년 式年식 譯科에 장원으로 급제한 인물이며,17) 중종·인 종·명종대의 유명한 漢語역관이다. 홍겸의 외모는 출중하고 중국어의 구사능력과 이해 능력은 상당히 높았다. 늘 지칠 줄 모르는 열정으로 조명외교에 참여하여 보는 사람의 눈과 마음이 즐거웠다고 한다.18) 홍수언은 字가 士美이고, 1549년 式年試 역과에 8위 로 급제한 인물이며,19) 명종·선조대의 유명한 한어역관이다. 홍수언은 용모가 준수하 고, 聰明하며, 매우 예의가 있었다. 중국어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은 상당히 좋으며, 산 천·도로·풍속에 대해서 매우 잘 알고 있었다.20) 홍겸과 홍순언은 明나라 사신의 영접 15)인종실록에는 郭(王+放)으로 기록하였는데, (王+放)은 康熙字典에도 없는 字이다. 璈자의 오

식인 듯하다.

16) 明憲宗은 1468년에 遼東巡按御使 侯英의 奏文을 받아들여 이후 賞賚할 때에는 內臣을 보내고 冊封할 때에는 廷臣중에 학행 있는 자를 보내도록 명하였다(明憲宗實錄, 成化4年 12月 辛亥 條).

17)패관잡기권4와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을 참조하였음.

18) 공용경: 洪生年少且淸妙, 華言一一能通曉; 賓筵秩秩儼胡越, 洪生一來皆了了; 聞汝三世俱文官, 汝 今繼美能衣冠; 長裾日曳王門下, 出入譯院馳雕鞍; 東藩侍予一月久, 入耳傳言如出口; 達意只在片辭 間, 旦暮侍立無頹顔; 義順館中覓詩句, 爾今東去我西還; 爾歸國王知錫予, 我亦倍道慰當宁; 東方朝貢 爾必來, 與爾會有相逢處; 오희맹: 譯士靑春洪受益, 體脩貌麗衣冠爽; 魯向遼陽送虜氓, 華音淸朗鳴泉 石; 追随館穀多勤渠, 每誦詩篇令人■; 因而詢問何門里, 父兄登科雙及第; 從行策馬爲前驅, 啓事聞言 卽中契; 音響眞得都人遺, 錐處囊中宜脫銳; 如爾才識淹邑久, 一歲超遷應至九(皇華集, pp.549-550). 밑줄은 필자.

19)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 근거하였음.

20) 贈司譯院正洪秀彦(縹緲峰主人): 馬度千山雪更深, 憑君一語寄愁心; 東邦繾綣君臣意, 欲向天涯夢裏 尋. 贈司譯院正洪秀彦(西湖主人): 洪生颇通敏, 容止甚趍蹌; 華言皆洞曉, 出語聲洋洋; 薊門頻來往, 上國幾觀光; 江滸遠迎迓, 驅馳道路長; 指點山川勝, 數揚風俗詳; 盛筵敍賓主, 對面隔層岡; 慇懃一傳 語, 彼此情昭彰; 兩地同肯首, 燕笑滿華堂; 有時歷深夜, 秉燭侍詩場; 岐路將分別, 東西各一方; 拜手 索詩句, 燈下賦篇章; 豈不憚勞倦, 念汝意難忘; 我今渡江去, 雲樹正蒼茫; 好爵厼是縻, 應共海天長(

年度 사절명칭 삼사 통사 典據 1 1533년 하절사 書狀官: 趙士秀

미상: 魚叔權 홍겸패관잡기권4 2 1537년 사은사 정사: 姜顯

서장관: 丁煥 홍겸 정환, 朝天錄 ,檜山集;

중종실록3 1541년 성절사 정사: 홍춘경

미상: 魚叔權 홍겸중종실록;

패관잡기권2 4 1543년 동지사 정사: 崔輔漢

부사: 李澯 홍겸중종실록

5 1555년 홍순언 허봉,조천기; 조헌,조천록6 1557년 종계주청사 정사: 趙士秀 홍겸명종실록

7 1556-1560년21) 赴京使 홍순언 허봉,조천기;명사권18 8 1561년 遼東押解官 홍순언명종실록; 허봉,조천기9 1563-1571년 遼東押解官 홍수언 허봉,조천기

10 1573년 주청사 정사: 李後白 부사: 尹根壽

서장관: 尹卓然 홍순언 허봉,조천기11 1574년 성절사 정사: 朴希立

서장관: 許篈

질정관: 趙憲 홍순언 허봉,조천기조헌,조천일기12 1577년 사은사 정사: 尹斗壽

부사: 김성일 홍수언 김성일,조천일기13 1584년 주청사 정사: 황정욱

서장관: 韓應寅 홍순언선조실록14 1589년 종계주청사 정사: 이양원

부사: 尹根壽 서장관: 李海壽

홍순언 尹根壽,月汀漫筆

선조실록15 1591년 성절사 정사: 김응남

서장관: 黃致敬 홍순언선조실록16 1592년 사은사 정사: 申點

서장관: 鄭期遠 홍순언선조실록;

박동량, 壬辰日錄 ,寄齋史草17 1592년 請援사 정사: 李德馨 홍수언선조실록

에 두 번 참여하였다.

[표2] 홍순언 삼부자의 중국출사 상황(1530-1598)

[표2]는 이들 삼부자가 명나라에 출사한 목록이다. 이 시기, 조선이 명나라에 파견한 사절은 대체로 218차가 된다.22) 홍겸은 명나라에 5차례 출사하였다. 홍겸의 對人關係

皇華集, pp.814-815).

21) 打來孫이 廣寧을 犯하였을 때, 總兵官 殷尙質 등이 출전하여 戰死하였다(明史卷18, 世宗2, 가 정35년(1556) 11월 戊午條). 홍순언은 당시 총병관 殷尙質이 3만명을 이끌고 출전하였는데, 大敗 하고 전군이 覆滅되었으며, 은상질도 戰死하여 양조가 그 임무를 대신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홍 순언은 일찍이 赴京使를 따라서 廣寧의 王政의 집에 묵으면서 양조군의 紀律과 用兵의 신속함을 살펴보았으며, 1560년과 1561년에 㺚賊이 入塞하였을 때, 양조는 輕騎兵으로 달적을 기습하여 수 백 명을 살상하였다고 하였다(허봉,조천기(하), 갑술년 9월 29). 여기에 근거하여 홍순언은 1556-1560년 사이에도 명나라에 출사하였다고 판단한다.

22) 劉菁華,許清玉,胡顯慧選編,明實錄朝鮮資料輯錄,四川出版集團,2005에 근거함.

Dalam dokumen 歷史上의 中國과 韓國 (Halaman 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