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내
□ R&D 환경변화
○ 해양수산분야 정부 R&D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가 전체 정부 R&D 예산의 3%대의 낮은 수준
- `18년 해양수산 분야 정부 R&D는 약 6,145억원으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6.4% 증가 - 정부 R&D 규모는 196,681억원으로(`18년) 최근 10년(`09~`18년)간 연평균 5.3% 증가, 해양
수산분야 정부 R&D는 6,145억원(`18년) 이며, 최근 10년 연평균 증가율은 전체 정부 R&D 예산의 연평균 증가율 대비 1.1%p높은 수준
- 다만, 정부 R&D에서 해양수산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3.1%(`18년)로 미미
[그림 2-2-5] 연도별 해양수산 R&D 예산 추이
자료: 해수부(2018).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
- 전체 투자예산 중 해양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18년 기준 약 74.6% 수준으로 `09년 68.6% 대비 약 5%p 증가
[표 2-2-1] 최근 10년간 해양수산 R&D 예산 중 해양 및 수산 부문 비중
○ `18년 해양수산부 R&D 예산은 전년대비 3.5% 증가 - 4개 분야 25개 사업에 지원
[표 2-2-2] `18년 연구개발 분야별 해양수산 R&D 예산 현황
(단위: 억원, %)
연구개발 분야 사업수 `17예산 `18예산 전년대비 증감 증감율
합계 25 5,935 6,145 210 3.5
해양영토주권 강화 및 해양경제영토 확대 4 685 596 △87 △12.7 해양수산산업의 혁신성장 동력 창출 15 1,607 1,672 65 4.0 건강하고 활력이 넘치는 해양공간 조성 3 548 647 99 18.1
연구기관 지원 등 3 3,097 3,230 133 4.3
□ 국가 R&D 정책 환경
○ 과학기술 분야를 강조하는 국가정책기조에는 변함이 없음
-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정책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정책을 표방(국정과제 중 과학기술 분야 4개 과제)
[그림 2-2-6]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 분야 국정과제
○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22)35)
- 장기적 관점에서의 과학기술의 미래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22년까지의 과학기술
35)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22)』.(`18.2.23.)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과제 도출
- 미래비전 실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방향 제시 하였으며, 혁신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성장 강조
∙
단기성과․목표 중심 → 파괴적 혁신을 일으키는 R&D∙
융합과 협력 미흡 → 활발한 혁신생태계 조성∙
차기 성장 동력 부재 →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 가속화∙
경제성장 중심 → 삶의 질과 글로벌 이슈해결에 기여 확대[그림 2-2-7]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비전체계
○ 국가 R&D 혁신방안(`18.5.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이 우리나라의 주력산업 성장 및 국가경쟁력 향상의 원천임을 확인하고, 과학 기술 경쟁력 확대를 위한 혁신을 강조하며, 국가 R&D 혁신의 새로운 과제 제시
∙
과학기술정책의 방향과 전략을 사람과 사회 중심으로 재정립∙
파괴적 혁신을 선도할 High Risk – High Return 형 연구지원 강화∙
국가기술혁신체계 고도화를 장기적→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체계 마련- 과학기술 혁신을 위해 공공(연)의 역할을 장기․공공․대형 연구에 집중하는 것으로 설정
[표 2-2-3] 국가 R&D 혁신방안 추진전략 및 과제
추진전략 추진과제
연구자 중심, 혁신형 연구지원 강화
․ 연구자 중심 R&D 제도 혁신
․ R&D 관리체계의 전문성․효율성 강화
․ 고위험 혁신연구 지원 강화
혁신주체 역량강화
․ (대학) 사람을 키우는 창의 도전적 R&D 지원
․ (공공연) 장기․공공․대형 연구에 집중
․ (기업) 혁신 역량을 높이는 R&D 지원
․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주도의 R&D 강화
․ 혁신주체 간 상호 연계 및 협력 강화 국민 체감형 과학기술성과
확산
․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 신산업 육성
․ 국민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하는 R&D 강화
․ 과학기술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 R&D 지원체계 고도화 ․ R&D 투자의 전략성 강화
․ 적시적소 R&D 투자체계 구축
․ 과학기술정책에 국민참여 확대
□ 해양 분야 R&D 정책 환경
○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18~`22)
- 『풍요롭고 안전한 바다 실현을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을 비전으로 신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실현을 위한 해양수산 분야 과학기술육성 기본계획 수립
- 해양수산과학기술 개발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Out-Comes)를 다음과 같이 정립 하였으며, 해양과학기술을 통한 일자리, 혁신, 국민행복, 안전의 4개 키워드를 중심으로 기본계획 수립
∙
일자리가 넘쳐나는 풍요의 바다∙
도전이 넘치는 혁신의 바다∙
국민이 즐겁게 이용하는 행복의 바다∙
사고 없고 예측 가능한 안전의 바다- 무엇을? 어떻게? 누가?를 중심으로 4대 추진전략의 8개 추진과제 수립
[그림 2-2-8]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 비전체계
(2) 해외
미 국
- 2013년, 해양경제, 안전 및 보안, 연안 및 해양복원, 지역선택(local choices), 과학 및 정보를 포괄한 ‘국가해양정책 실행계획’ 수립
- 트럼프 행정부는 5대 R&D 우선과제로 ①군사적 우위, ②국토안보, ③번영, ④에너지 패권, ⑤건강을 설정
- 국립과학재단(NSF)은 INFEWS 프로그램을 통하여 식품, 에너지, 수자원 시스템 간의 효과적 관리 지원을 목표로 하는 연구에 6,200만 달러 투자(`16)
유럽연합
- 2013년, European Marine Board에서 미래 해양과학에 대한 도전과 청색성장 정책 지원을 위해 ‘Navigating the Future(IV)’ 수립
- 청색성장을 위한 R&D전략('15)을 수립하여, 청색경제(Blue economy)관련 핵심기술 개발과 산업육성 전략 수립
* 5개 청색성장 분야 : 해양생명공학, 수산양식, 해양관광, 해양에너지, 해양광물자원
- MARINET(Marine Renewables Infrastructure Network)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해양에너지 실용화를 촉진하고 전통과학기술과 ICT 기술 등의 융
․복합을 통한 혁신기술 개발도
추진일 본
- 차세대 해양자원 조사기술 등 전략적혁신창조프로그램('15년부터 가동)을 통하여 혁신적 기술개발을 목표로 선진형 R&D 추진
- 2018년, ‘제3차 해양기본계획(2018~2022)’ 수립을 통해 ①해양안전보장, ②해양 산업이용 촉진, ③해양환경 유지・보전, ④해양상황파악 능력 강화, ⑤해양조사 및 해양과학기술에 관한 연구개발 추진, ⑥낙도 보전 및 배타적경제수역 등 개발추진,
⑦북극정책 추진, ⑧국제적인 연계 확보 및 국제협력 추진, ⑨해양인재 육성과 국민의 이해 증진 등 9개 주요정책 분야 확정
중국
- 2009년, 해양과학기술 개발 3대 목표인 지속적인 해양자원 이용, 해양의 건강성과 안전, 해양력 강화를 위해 ‘해양과학기술 로드맵 2050’ 수립
- 2017년, 13・5계획 기간 중 ①심해탐측기술연구, ②해양환경안전보장, ③심해저 에너지 및 광물자원 탐사‧개발, ④해양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⑤극지과학기술연구,
⑥해양분야 국제협력, ⑦과학기지 구축 및 인재양성 등 중국 해양과학기술혁신 7대 중점과제 선정
(3) 주요 해양국가들의 R&D 투자현황 비교
○ 주요 해양국가(미국, 일본, 중국)의 연간 국가 R&D 투자규모는 우리나라의 약 2.9~7.9배 수준 (`15년 기준)
- 미국은 약 148.6조원, 일본은 약 34.7조원, 중국은 약 54.2조원을 각각 국가 R&D에 투자
○ 주요 3개국의 연간 국가 R&D 투자대비 해양수산 R&D 투자 비중은 미국 약 8.2%, 일본 약 7.4%, 중국 5.5% 수준 (`15년 기준)
- 우리나라의 국가 R&D 투자대비 해양수산 R&D 투자 비중 3.1%보다 약 2-3배 높은 수준 으로, 주요 3개국의 연간 국가 R&D 투자대비 해양수산 R&D 투자 비중은 미국 약 8.2%, 일본 약 7.4%, 중국 5.5% 수준 (`15년 기준)
- 주요 3개국의 해양수산 R&D 정부투자 규모는 미국 약 12.2조원, 일본 약 2.6조원, 중국 약 3.0조원 (`15년 기준)
- 해양수산 R&D의 선진국 투자수준은 우리나라의 약 4.4배~20배 수준으로, 정부 R&D 투자규모 격차(약 2.9~7.9배)에 비하여, 해양수산 R&D 투자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격차 발생
[표 2-2-4] 주요 해양국가의 정부 R&D 및 해양수산 R&D 투자 현황
(단위: 조원, %)
구분 미국 일본 중국
‘12 ‘13 ‘14 ‘15 ‘12 ‘13 ‘14 ‘15 ‘12 ‘13 ‘14 ‘15 정부 R&D 예산
(A) 155.0 154.9 157.1 148.6 36.9 36.0 36.5 34.7 46.1 49.1 52.2 54.2 해양수산 R&D 예산
(B) 12.4 12.6 12.3 12.2 2.4 2.3 2.1 2.6 2.9 2.6 2.8 3.0 해양수산 R&D 비중
(B/A, %) 8.0 8.1 7.8 8.2 6.5 6.3 5.7 7.4 6.0 5.3 5.4 5.5
※ 자료 : 2017년 주요국 해양수산 R&D 투자동향분석(KIMST, ’18)
제3절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 연구개발 동향분석
○ 해양과학기술 분야에는 주요 연구기관들이 해양과학기술을 매개로 한 신산업 창출을 위한 R&D 활동 수행 중
- KIOST의 연구개발 목표설정 및 환경분석을 위해서는 세계적으로 두각을 보이고 있는 해양연구기관과의 정량
․정성적 비교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KIOST의 위상을 파악하고,
세계 톱 클래스로 진입하기 위한 발전전략 수립이 필요○ 일반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고 있는 기관으로 8개국 10개 기관 비교분석
- 연구인력 및 연구비, 연구성과를 기준으로 8개국 10개 기관(미국 WHOI(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SIO(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캐나다 BIO, 영국 NOC(National Oceanography Centre), 독일 GEOMAR(Helmholtz Centre for Ocean Research Kiel), 프랑스 IFREMER(Institut francais de recherche pour l'exploitation de la mer), 일본 JAMSTEC(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 중국 IOCAS (Institute of Ocean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 한국 KIOST(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