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개발 사업 환경

Dalam dokumen PDF sciwatch.kiost.ac.kr (Halaman 30-49)

(1) 주요사업

○ `19년 직접비 기준 KIOST의 기관주요사업 총액은 38,744백만원으로, 기관목적사업과 연구 인프라 운영사업, 미래선도사업, 장비․시스템구축비로 구분

- 13개 기관목적사업에 13,638백만원, 연구인프라 운영사업으로 21,517백만원, 미래선도사업 으로 1,014백만원 투자

[표 2-1-5] 2019년 주요사업 현황(기관목적사업)

분야 연구사업명 `19 연구비

(백만원)

기후․환경 변화 대응

북서태평양 순환과 기후 변동성이 한반도 주변해역 변화와 물질

순환에 미치는 영향 : 제주 난류 변동성과 역할 821

생지화학 순환 및 해양환경변동 연구 1,572

한국 주변 해양생태계 변동 이해 및 대응 기반 연구 1,377

해양전략 자원 개발

해양생물 기반 생리활성 화합물의 확보와 응용·평가 기술

개발 1,039

해양바이오 기반 청정 기능성·산업소재 대량생산 기술 개발 1,834 심해저광업 잔사물질 특성규명 및 환경 친화적 저감/처리

기술 연구 695

서태평양 공해/심해저 신 생명자원 및 퇴적물 희유금속 자원 탐사 994 첨단 해양공학

기술 창출

해양에너지 및 항만 해양구조물 실용화 기술 개발 941 해양데이터 실시간 확보를 위한 IoT 핵심 원천기술 개발 675

해양영토관리

해양방위 및 안전기술 개발 1,108

AI기반 파랑기인 연안재해 모델링 플랫폼 및 해무예측 기술

개발 404

해양공간 통합관리 연구 578

이사부호 활용 연구선 산학연 공동활용 연구 1,600

연구비 합계 13,638

[표 2-1-6] 2019년 주요사업 현황(기관목적사업 이외사업)

구분 연구사업명 `19 연구예산

(백만원)

연구인프라 운영사업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운영 1,201

경영정보시스템 운영 673

해외연구거점 구축 및 운영 189

해양학술정보실 운영 567

통영해양생물자원기지 운영 233

특정 연구현장 설치 시설 운영 131

해양시료도서관 운영 251

해양과학기술홍보 및 KIOST 브랜드 강화 180

해양위성센터 운영 1,460

해양분야 전문인력 양성사업 573

런던의정서 연안공학사업 전문가 양성 대학원(LPEM) 운영 500 해양법적 갈등현안 해결 및 해양경제영역 확장을 위한 국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1,000

해양연구선 운영 3,264

제주연구소 운영 949

이사부호 운영 8,814

남해연구소 운영 1,532

소계 21,517

미래선도 사업

KIOST Excellence Project 600 신진연구자의 연구기반 구축 및 창의적 아이디어 지원 (250)

해양과학기술의 미래 연구주제 발굴 208

국가사회적 해양과학기술 수요 예측 및 대응 206

소계 1,014

장비․시스템 구축비

장비구입비 2,575

소계 2,575

주요사업 연구비 합계 38,744

(2) 수탁사업

○ `19년 총사업비(계약고 기준) 기준 수탁사업은 정부/공공수탁과 민간수탁으로 구분되며, 전체 150개 사업으로 사업비 총액은 91,855백만원

[표 2-1-7] 2019년 수탁사업 현황

구분 연구사업명 연구비

(백만원)

정부/공공수탁 (141개사업)

해양수산부(84) 68,657

국방부(3) 5,9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29) 3,336

산업통상자원부(5) 1,615

지자체(11) 5,870

외교부(1) 1,376

국토교통부(2) 450

교육부(4) 341

기상청(2) 249

소계 87,833

민간수탁 (9개사업)

총 9개 과제 4,022

소계 4,022

수탁사업 연구비 합계 91,855

주) `19년 10월 31일 현재

7 연구성과

○ 분야별 주요 연구성과(최근 3년)

주요연구분야 대표 연구역량

기후·환경 변화 대응

∙북서태평양의 생지화학 변화 특성 규명

- 북서태평양에서 생태계의 중요 조절인자인 인산염과 용존산소 변화가 순환계 변화에 의한 것임을 규명(Global Biogeochem.

Cycles 게재, '16.10)

- 생물펌프 효율의 감소로 표층에서 심층으로 유기탄소 플럭스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을 밝힘 (Scientific Report 게재, '17.2)

∙해양생태계 건강 지수 개발

- 국내 최초 EBM(Ecosystem Based Management)을 도입하여 연안 생태계 평가, 관리, 복원으로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는 초석 마련

∙미세플라스틱에 함유된 화학물질의 전이 규명

- 바다에서 생물이 플라스틱 섭취로 인해 유해물질이 전이되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Environ. Sci. & Technol. 게재, '16.4)

※ Clarivate Analytics의 Research Fronts 2016에서 ‘미세플라스틱 해양오염’

분야 세계 5위 연구기관으로 선정

∙해양 부유 및 저서생태 먹이망을 통한 해양방사능 물질 전이 모델 개발

- 해양방사능 사고 발생 시 과학적 자료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과 산업계의 경제적 피해 저감에 기여(Biogeosciences 게재, '16.5)

∙실시간 적조 탐지 및 예측시스템 개발, 운영 및 실증 - MT-IT-BT-ST 기술 융합을 통한 실시간 유해적조 탐지 및 통합

정보지원체계 구축(통영, 여수 해역)

전략자원해양 개발

∙C1가스 이용 해양․극한 미생물의 탄소대사 재설계 원천기술 개발

- 단백질 융합기술 적용 산화․환원 효소 간 인위적인 전자전달 유도기술 개발

- 일산화탄소-포름산 산화환원 효소를 도입한 재조합 균주를 개발, CO 가스를 포름산으로 전환 실증 성공(국제특허 출원, `18.11)

주요연구분야 대표 연구역량

전략자원해양 개발

∙초고온 고세균을 이용한 바이오수소 생산기술 개발

- 초고온성 고세균 Thermococcus onnurineus NA1을 이용하여 차 세대 친환경 수소에너지의 실용화를 위한 원천기술 개발 - 해양바이오수소 실증플랜트 구축(서부발전소)

- 수소생산예상량 : 330톤/년 규모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자원화 기술 개발

- 해조류 바이오에탄올 추출 관련 기술 11건 개발 및 미국, 일본 특허 등록

- 국내 최초, 해수/담수 40톤급 해조류 대량생산 플랜트 기술 확립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 디젤 추출기술 기업이전 2건)

∙서태평양 공해상 망간각 독점탐사광구 확보

- 국제해저기구(ISA)를 통해 여의도 면적의 약 350배 규모(3,000㎢) 망간각 독점탐사광구 등록(`17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선정)

해양공학기술첨단 창출

∙조류-풍력 복합발전 기반기술 확보

- 4MW급 조류-해상풍력 발전시스템 설계를 통한 해양에너지 경제성 향상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기후변화 대응 인터락킹 방파제 원천기술 개발

- 오픈셀 케이슨을 이용한 인터락킹 방파제 기술 개발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기반 마련 및 기술이전을 통해 연구소 기업 창업

∙전자기장을 활용한 준설물질 장거리 운송기술 개발

-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준설물질을 장거리(15km) 수송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실증실험(새만금해역) 및 기술이전 실시

∙해수배터리 시스템 및 해양 IoT 활용기술 개발

- 해양에서 운용되는 모든 장비와 이동체에 적용 가능한 해수배터리 시스템의 원천기술 확보

∙수중건설로봇 국산화 및 성능 검증을 통한 기술력 확보 - 최대수심 2,500m에 활용 가능한 3종의 수중건설로봇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고, 실해역 실험을 통해 성능 확인(아시아 최초)

∙천리안 해양관측위성을 활용한 해양현안분석 서비스 제공 - 해양 주요현안 발생시 현업기관의 조기 대응과 대책 수립에 필요한

광역적 분포정보 제공

- 위성자료에서 분석된 적조와 갈조의 광역분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양조사비용 약 20억원 절감(``6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선정)

주요연구분야 대표 연구역량

해양공학기술첨단 창출

∙해중터널 실용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 해저굴착터널과 달리 환경부하를 극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

∙초대형 선박 접안을 위한 기존 증력식 안벽 증심공법 개발 - 국내 최초 증력식 안벽의 2.0m 증심을 위한, 3차원 구속 효과를

이용 순차적 분할굴착 증심공법 개발

해양영토관리

∙해양방위 지원 기술 개발

- 해군 성분작전(대잠전, 기뢰전, 구조전, 상륙전 등) 지원을 위한 해양환경조사 및 다양한 무인해양탐사기법 개발 및 연구 - 해양방위 지원 및 연구 활용을 위한 해양·음향 자료 기반의 수중

음향 분석체계 기술 개발

∙한반도 남동해역 제4기 해저 활성단층 확인 및 특성 규명 - 한반도 남동부 육상에 분포하는 양산 단층시스템(Fault System)

중 양산단층과 일광단층이 해저로 연장되어 분포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

∙선제적 지진대응을 위한 항만지진계측기기의 효율적 운영 기술 개발

- 항만 시설의 고유특성을 고려한 항만지진계측시스템 운영을 통해 경주지진('16.9) 데이터 분석

- 지진 화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3조 제4항 지진 관측기관으로 지정 ('16.1.)

∙3D 탄성파탐사 시스템 및 인공지능 기반 해석시스템 구축 - 우리나라 관할해역에 적합한 3D 탐사장비 구축과 지구물리, 지질

DB를 이용한 연안-대륙붕-대륙사면-심해를 연결하는 인공지능 기반 퇴적층서 및 지구조 해석

∙연안모래 채취 금지를 위한 과학적 증거 확보

- 동해안 고유의 특성인 파랑에너지에 의한 반사형 백사장의 연안 수리․표사현상 연구 주도

∙해양예보기술 개발

- 해난사고 등 긴급 현안문제 발생 시 대책수립을 위한 신속 정확한 해양환경의 현황과 예측정보를 생산 제공 시스템

※ `15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선정

주요연구분야 대표 연구역량

해양영토관리

∙장기 해양관측 및 해양재해 대응을 위한 종합해양과학기지 구축 - 황해와 동중국해 이어도 해역에 3개 종합해양과학기지의 구축

(이어도기지 '03년, 가거초기지 '09년, 소청초기지 '14년)

- 외해의 장기 관측시스템으로써 고품질 관측자료 생산체계 확립 으로, `18년 국제 대양 장기시계열 관측네트워크인 OceanSITES에 최초의 대륙붕 관측사이트로서 3개 해양과학기지 등록

∙국가 연안침식 저감대책의 수립 및 시행을 위한 실용기술 개발 - 연안침식 대응공법의 최적설계 및 침식영향 진단평가용 수치모델링

프레임워크(연안지형변화 예측모델체계, 수치모델평가 지침서 등) 개발('18.09)

- 동해안의 친환경 연안침식 저감 및 모래관리를 위한 한국형 천해용 우회양빈 시스템 개발('18.08)

인프라 구축첨단

∙천리안 해양관측위성을 활용한 해양현안분석 서비스 제공 - 해양 주요현안 발생시 현업기관의 조기 대응과 대책 수립에 필요한

광역적 분포정보 제공

- 위성자료에서 분석된 적조와 갈조의 광역분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양조사비용 약 20억원 절감

∙해양환경재난 긴급대응 이동 실험실 구축('16.1)

- 해양환경보전의 한 축을 담당하는 국내 유일 해양연구기관으로서 국가적인 환경재난 상황에 대한 긴급대응 역량 구축

∙세계 8번째 5,900톤급 종합해양과학조사선 이사부호 취항 ('16.11)

- 해양연구 핵심인프라인 이사부호 취항을 계기로 북서태평양, 인도양 탐사 등 대양연구사업 본격 추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개발 용존 영양염 표준물질 국제 영양염 표준물질 상호비교실험에 사용('18.3)

- 해양과학기술원 생산 영양염 표준물질이 SCOR Working Group 147에서 개정 중인 영양염 분석지침서에 언급

∙연구선 운항 중 상시관측 자료의 체계적 관리․활용을 위한 플랫폼 KUMOS(KIOST Underway Meteorological & Oceanographic System) 구축('17.3)

- 실시간 연구선 위치 및 항적 관측자료 표출 서비스를 수행하고, QC 처리된 데이터의 항차별 제공을 통해 해양 빅데이터 생산 제공체계 확립

Dalam dokumen PDF sciwatch.kiost.ac.kr (Halaman 3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