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후․해양환경 변화 대응
○ (목표) 과학기술기반 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기후․해양환경 변화로부터 발생하는 위험을 최소화(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해양기후 감시와 정확한 예측을 위한 국가핵심기술 확보 - 해양환경 관리기술 선진화를 통한 국민 해양이용 애로저감 및 해양 공공서비스 구현 - 해양환경압력 다원화 기인 해양생태계 불확실성 추적 및 국가해양생태계 위기관리 통합
시스템 구축
[그림 3-2-2] 기후․해양환경 변화 대응 분야 미래상
○ 핵심 목표기술
- 장기기후변화와 극한 기후변동의 진단과 예측기술 개발 및 대응력 확보 - 해양환경관리 및 미래변화 대응기술 개발 및 적용력 확보
(2) 해양전략자원 개발
○ (목표) 해양바이오
․전략광물자원 개발 및 미개척 대양 신(新
)자원 탐사를 통해, 해양 신산업 창출, 해양영토 개척 및 양질의 일자리 확보 지원- 유용 해양생명자원 개발을 통해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산업 원천소재 개발
- 해양・극한 (미)생물의 유전, 생리학적 특성이해를 통한 세계적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 - 산업 확대에 따른 핵심 전략광물자원의 장기・안정적 공급원을 심해저에서 확보하기 위한
광물자원 개발유망광구 선정 및 상업개발단계 진입을 위한 기반 확보
- 국가 대양・극한지 탐사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연·관 공동연구 활성화 및 전문인력 양성(대양연구 등)
- 지구조 특성에 따른 대양 희유금속 자원 잠재성 평가 및 극한환경 심해생물자원 확보와 활용기반 구축
[그림 3-2-3] 해양전략자원 개발 분야 미래상
○ 핵심 목표기술
- 체계적 해양생명자원 연구를 통한 해양바이오 원천소재 확보 및 개발(식품, 화장품, 에너지, 의약품 등)
- 심해광업 실현을 위한 고품위 개발유망 광체 탐사 및 자원량 평가 기술 확보 - 미개척 신자원 개발을 위한 대양 극한지 탐사 및 자원 잠재성 연구 고도화
(3) 첨단해양공학기술 창출
○ (목표) 해양공학 핵심기술 및 첨단장비 개발을 통해 해양에너지, 안전한 항만기술, ICT 융합 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한 해양신산업 창출
- 일자리 창출, 기후변화 대응 및 신성장 동력 개발을 위한 해양에너지 및 항만해양 구조물 분야 신산업 창출에 대한 적극적 지원체계 확립
- 해양 IoT 실현을 통한 수중로봇 기반 신산업 창출 및 해양장비 R&D 사업화 촉진
- 해양공간 실시간 관리 및 종합정보 제공을 위한 차세대 해양위성 시스템 핵심기술 확보 및 해양위성 운영 고도화
[그림 3-2-4] 첨단해양공학기술 창출 분야 미래상
○ 핵심 목표기술
- 에너지 자급도 제고와 항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양에너지 실용화 및 효율적 항만․해양 구조물 고도화 기술 확보
- 해양장비 신산업 창출을 위한 해양 IoT 융합 수중로봇 실용화 및 해양장비 핵심기술 확보
(4) 해양영토관리
○ (목표) 해양방위․재난 및 공간관리기술 개발을 통해 해양재난․재해 대응과 피해 축소를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해양공간 통합관리 방안 마련을 통한 국민 안전과 우리나라 해양 영토 확보·수호에 기여
- 해군 성분작전(대잠전, 기뢰전 등) 지원을 위한 다양한 무인해양탐사기법 개발
- 해양방위 지원 및 연구 활용을 위한 해양・음향 자료 기반의 수중음향 분석체계 기술 개발 - 지진, 해무, 연안파랑 등 해양 재난・재해와 연관된 국가・사회적 현안문제의 해결 또는
피해 축소를 위한 해양 예보·예측정보의 적극적 생산 및 적시 제공
- 해양공간정보에 기초한 해역별 자원의 통합 관리정책 수립 및 국제 해양질서 변화 대응 정책 수립 및 경계 미 획정 해역 등 핵심해역 갈등관리
- 북한 해양 정보에 기초한 남북한 해양수산 협력정책 수립 [그림 3-2-5] 해양영토관리 분야 미래상
○ 핵심 목표기술
- 해양방위․안전 지원용 무인체 활용, 해양정보 자료 기반의 음향 분석체계 개발 및 해저 재해(활성단층) 위험성 평가 기술 개발
- 해양 재난․재해 대응과 피해저감을 위한 예측기술 개발 및 예측정확도 향상 - 해양공간에 대한 통합관리와 해양의 지속가능한 정책 활용 방안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