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oT 기반 해양로봇 및 장비 기술개발

Dalam dokumen PDF sciwatch.kiost.ac.kr (Halaman 127-130)

[표 4-3-6] IoT 기반 해양로봇 및 장비 기술개발 분야 중장기 로드맵

연구분야 최종목표 연구분야 단계별 주요 내용

단기(`19~`22) 중기(`23~`27) 장기(`28~`30)

IoMT 플랫폼 체계 구축

빅데이터 플랫폼통합해양 실현

․IoMT 실해역 구현

․통합해양 빅데이터 플랫폼 실현

․350Wh 해수배터리

개발 ․해수배터리 ESS

개발

수중건설로봇 핵심기술 개발

융합영상 3D 센싱기술 이 탑재된 트랙기반

수중건설로봇 실용화

․광학영상 화질개선 기술 개발

․실시간 수중융합 영상 3D 센싱 기술

개발 ․융합영상 3D 센싱 기술 이 탑재된 트랙기반 수중건설 로봇 실용화

․트랙기반 중작업

용 로봇 개발 ․해양 환경개선 지원 수중로봇 개발 해양장비 시험

평가선 및 시험 평가체계 구축

실해역 해양장비 시험 평가

체계구축

․해양장비 시험평 가 체계 조사

․시험평가선 구축 및 시험평가센터 구축

․해양장비 시험평가 및 인증센터 운영

[표 4-3-7] IoT 기반 해양로봇 및 장비 기술개발 분야 추진체계

연구분야 연구방법 국내 외 협력 / 융합전략 등

기관 협력내용

IoMT 체계 구축플랫폼

․IoMT 표준체계 설계, 해양통신 전송기술 개발, IoMT 플랫폼 요소 장비 개발로 나누어 연구 를 수행

KEIT, ETRI, KAIST, 한양대, 포항공대,

UCSD

․전자부품연구원에서 개발한 oneM2M 국제 표준기반 IoT 플랫폼(OCEAN)의 확장을 통한 IoMT 플랫폼 개발, 해양 통신 환경을 고려한 해양통신 전송 기술 개발을 위해 ETRI, KAIST, 한양대, 포항공대, UCSD 등과의 협력연구 수행

․해수전지는 적층기술 및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단셀 소재

향상 도모하는 협력 체계 구축 UNIST ․해수배터리 단셀의 제조 기술 상호 보완 개발

수중건설로 핵심기술봇

개발

․광학/음파 개별 고기능센싱 기술 개발하며 이를 기반으로 음파 거리정보 및 칼라광학 영상의 3D 융합영상화 기술 개발

해양대, 배재대,UNIST

․고기능 광학/음파 3D 융합기술 개발 을 위하여 해양대, 배재대 및 UNIST 등과의 협력연구 수행

․해양환경개선/수중건설로봇 이 필요한 작업분석, 설계를 수행하며, 제작은 전문기업 과 협업으로 수행함

대한시스텍, 아쿠아드론

․수중장비 제작과 운영 경험이 풍부한 기업 (대한시스텍, 아쿠아드론 등)과 협업을 통해 장비 개발 및 중소기업 지원협력 체계 구축

시험평가선해양장비 시험평가체및 계 구축

․시험평가선은 중고선박(PSV)을 구매하고 시험평가 장비를 구축, 시험평가체계는 KOLAS, KR, 해군체계사업을 활용함

KIOST, KRISO, 산업계 (KOC)

․시험평가 경험이 많은 KRISO, 실해역 장비운영 경험이 풍부한 기업과 협업 으로 체계 수립을 통해 선박건조와 운영 및 시험평가 체계 확립함

(4) 성과활용 및 기대효과

○ 성과활용

- IoMT기술 활용을 통해 해양과학기지, 관측부이, 수중탐사로봇, 글라이더, AUV 등 다양한 해양 장비와 로봇 간 상호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되며, 이동식 기지국을 활용하여 해양 통신 음영지역 해소 및 해양 통신환경 개선

- 해수배터리 상용화 기술 개발로 해양 장비/이동체의 배터리 개선, 충전 스테이션 구축 및 ESS, 해수 담수화 기술 활용

- 광학/소나 3D 융합센싱기술은 수중건설용 로봇, 잠수함, 해저이동선박 및 해양기기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해양 신산업기술로 확장

- 해양 R&D 성과물의 활용성 제고 및 사업화 촉진, 기업의 현장적용실적 확보를 위한 실해역 시험・평가 시스템의 체계적 지원

○ 기대효과

- IoMT기술 확보로 해양환경 모니터링 자료의 초연결성 확보와 해양 빅데이터의 실시간 활용이 가능하며 해수배터리 상용화기술 개발로 지속가능한 IoMT 운영 지원

- 수중로봇의 활용으로 인해 해양산업 인력의 재해 방지 및 해양 활동영역의 확대 - 시험・평가를 위한 국내선박 임차기회 확대 및 상대적으로 저비용의 임차비용 지원

(5) 연구예산 및 인력소요

[표 4-3-8] IoT 기반 해양로봇 및 장비 기술개발 분야 예산 및 인력수요

(단위: 억원, 명)

연구분야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합계 IoMT 플랫폼 체계

구축

예산 10 15 15 20 20 20 23 32 32 32 219 인력 16 16 18 18 18 18 18 20 20 20 182 수중건설로봇

핵심기술 개발

예산 10 20 20 30 30 30 30 40 40 32 282 인력 12 16 16 16 16 20 20 22 22 22 182 해양장비 시험평가선

및 시험평가체계 구축

예산 20 10 20 30 30 20 20 20 20 20 210 인력 23 10 15 20 20 15 15 15 15 15 163 연도별 예산수요 40 45 55 80 80 70 73 92 92 84 711 연도별 인력수요 51 42 49 54 54 53 53 57 57 57 527

Dalam dokumen PDF sciwatch.kiost.ac.kr (Halaman 127-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