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선진국 연구개발 동향
○ 대양․극한지 탐사와 신자원 발굴을 위한 선진기관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뤄지고 있음 - 미국 UNOLS, 일본 JAMSTEC 등의 기관이 관련 분야에서 상대적인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 KIOST는 이들 선진기관들 대비 10% 정도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지속
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기술력 제고 필요
[표 4-2-9] 대양․극한지 탐사와 신자원 발굴 부문에 대한 유사 선진기관과의 비교
분야 기관명 최고기술기관 기술수준 KIOST 기술 수준
국가 대양 극한지
탐사 역량 강화 UNOLS(미)
․1972년 연구선 공동 활용을 위해 기관 설립, 산 학 연 공동연구 추진
․2017년부터 산 학 연 공동연구 추진
대양저 지체구조 해석 및 잠재 자원
가치 평가 JOGMEC(일)
․고품위 희유금속 퇴적물 광체 탐사 및 선별; 정밀 품위 조사;
지역적 희유금속 기원 성인 연구 및 예상 자원량 평가 진행
․기존 사업과 연계하여 대양 극 한지 일부 자료 획득; 희유금속 기원 성인 연구 초기 단계(10%)
열수해역과 심해 생물자원 확보 및
다양성 연구 JAMSTEC(일)
․인도양 열수 생물군집 세계 최초 발견 및 대양 심해생태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수행으로 고도 의 기술력확보: 다수의 ROV (Kaiko, Shinkai)와 대양조사선 운용
․대형 연구선(이사부호) 운용에 따라 무인잠수정 활용 가능; 열 수공 및 심해와 같은 극한환경 의 생물자원 탐사 연구 초기 단계 (10%)
( )안의 값은 최고기술국 대비 KIOST 역량수준
(3) 연구개발 목표
○ 최종목표 : 국가 대양․극한지 탐사 역량 강화를 통한 글로벌 해양강국 실현
- (연구개발 목표) 대양․극한지에 대한 산․학
․연 공동 대양연구 활성화와 대양탐사 전문인력
양성, 대양저 지구조 및 퇴적환경 해석과 유용자원 가치 평가, 인도양 열수해역과 태평양 심해의 생물표본 확보와 다양성․생물지리 분석
[그림 4-2-3] 대양․극한지 탐사와 신자원 발굴 분야 목표체계
[표 4-2-10] 대양․극한지 탐사와 신자원 발굴 분야 중장기 로드맵
연구분야 최종목표 연구분야 단계별 주요 내용
단기(`19~`22) 중기(`23~`27) 장기(`28~`30) 국가
대양 극한지 탐사역량
강화
․국가 대양 심해 연구 전문인력 풀 확보 및 산 학 연 공동 연구 확대
․대양 심해 산 학 연 공동 연구 과제 기획
․대양 심해 산 학 연 공동 연구 수행 및 전문 연구인력 양성
․국가 대양 심해 연구 전문인력 풀 확보 및 산 학 연 공동 연구 확대
지체구조대양저 잠재 자원해석 및 가치 평가
․대양저 지구조 특성에 따른 유망 자원 매장지 선별
․인도양 중앙해령 대 암석/퇴적물 시료 확보 및 희유금속 품위 분석
․대양저 지구조 조사 및 잠재자원 량 상관성 해석
․인도양/태평양 대양저 고품위 지역 선별 및 자원량 예측
열수 해역과 심해의 생물자원확보와 다양성 연구
․열수해역과 심해 생물 극한기능 유전자, 신물질 활용 원천 기술 확보
․열수해역 및 심해
생물표본 확보 ․열수해역 및 심해 지역간 생물지리 특성 해석
․열수해역 및 심해 생 물 극 한 기 능 유전자, 신물질 분석
[표 4-2-11] 대양․극한지 탐사와 신자원 발굴 분야 추진체계
연구분야 연구방법 국내·외 협력 / 융합전략 등
기관 협력내용
국가 대양 극한지
탐사 역량 강화
․대규모 대양 심해 연구프로 그램 기획
․대학과 산업체의 대양 연구 사업 주도적 참여
․석 박사 과정 학생의 대양연구 참여 확대
서울대, 부산대, 한국해양대, 지오시스템 리서치(주), JAMSTEC(일)
․대학과 산업체에게 대양연구 기회 제공
․대형연구조사선 공동 활용
․대학원생의 대양연구 참여
․대양연구장비 실해역 테스트
대양저 지체구조해석 및 잠재 자원 가치 평가
․해저광물자원개발사업 (탐사 및 기술개발) 및 산 학 연 공동 대양 연구 과제와 연계 를 통한 효과적 시료 확보 및 품위 자료 구축
서울대, 한국지질자원충남대,
연구원
․열수분출지 진화과정 및 환경특성 연구
․지체구조 해석을 위한 지구물리 탐사
․대양저와 기존희유금속광상 자원특성 비교 연구
열수 해역과 심해의 생물자원확보와 다양성 연구
․이사부호 및 심해 잠수정과 TV그랩 등을 이용한 생물표본 채집, 대양/극한지 생물 종 다양성 및 지리분포 분석
이화여대,서울대, 인하대,NOAA
PMEL
․열수해역 및 심해 생물 종동정과 다양성 분석
․열수해역 및 심해 환경특성(지질, 화학, 물리) 분석과 자료 공유
․심해생물 채집 장비(잠수정 등) 공동 활용
(4) 성과활용 및 기대효과
○ 성과활용
- 대학과 산업체의 대양연구 참여 확대를 통해 국내 대양탐사 전문인력 풀 확대 -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희유금속 공급원 확보를 위한 자료 제공
- 극한환경 생물자원을 활용한 신규 생명공학 소재 발굴 기반 구축
○ 기대효과
- 심해 극한환경으로 연구지역을 확장하고 대양탐사 활성화로 국가 위상 제고 - 대양탐사를 위한 인적, 기술적 능력 배양과 대형 연구조사선의 활용성 제고 - 인도양과 태평양에 대한 해양학적 이해 증진 및 새로운 생물, 광물자원 확보
(5) 연구예산 및 인력소요
[표 4-2-12] 대양․극한지 탐사와 신자원 발굴 분야 예산 및 인력수요
(단위: 억원, 명)
연구분야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합계 국가 대양 극한지 탐사
역량 강화
예산 26 26 26 26 30 30 30 30 32 32 288
인력* 0
대양저 지체구조 해석 및 잠재 자원 가치
평가
예산 10 15 15 15 20 20 20 20 25 25 185 인력 7 8 8 8 10 10 10 10 12 12 95 열수 해역과 심해의
생물자원 확보와 다양성 연구
예산 20 20 20 30 30 30 30 35 40 40 295 인력 15 15 15 15 16 16 16 16 17 17 158 연도별 예산수요 56 61 61 71 80 80 80 85 97 97 768 연도별 인력수요 22 23 23 23 26 26 26 26 29 29 253
* 산학연 연구선 공동활용 사업으로 연구인력은 대학 및 산업계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