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위성 시스템 및 핵심활용기술 개발 고도화

Dalam dokumen PDF sciwatch.kiost.ac.kr (Halaman 130-135)

(2) 선진국 연구개발 동향

○ 해양위성 시스템 및 핵심활용기술 개발 고도화를 위한 선진기관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뤄지고 있음

- 미국 항공우주국(NASA 통합해양관측시스템(US-IOOS)), 프랑스 Airbus 등의 기관이 관련 분야에서 상대적인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표 4-3-9] 해양위성 시스템 및 핵심활용기술 개발 고도화 부문에 대한 유사 선진기관과의 비교

분야 기관명 최고기술기관 기술수준 KIOST 기술 수준

해양위성, 지상시스템 및 산출물 생산 기술

개발

NASA(미)

․해양위성 실시간 자료처리 / 배포 시스템 운영 중 (10년 자료 재처리 10일 소요)

․실시간 처리 기능 보유. 분산 재처리 기술 확보(90%)

․극궤도 해색위성에 대한 정규 산출물 전세계 서비스 중 (산출물별 검증 결과제공 포함)

․GOCI-II 산출물 개발에 필요한 원천연구 수행 중(70%)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센서 통합

활용 기술 개발 NOAA(미)

․다중플랫폼/센서 등 첨단 장비 를 활용한 통합 해양 관측망 에서는 세계최고 수준

․통합 해양관측망 구축을 위한 다중 플랫폼/센서 기술개발과 리빙랩 운영 단계(60%) 해양위성 운영 및

현안대응지원 시스템 개발

Eumetsat Marine Center (EMC)

․EMC는 센티널3 등 위성자료

실시간 배포 지원 중 ․GOCI-I 운영 및 해양현안 발생 시 위성분석 결과 지원(70%)

( )안의 값은 최고기술국 대비 KIOST 역량수준

(3) 연구개발 목표

○ 최종목표 : 해양현안 해결형 다중위성 실용화(해양위성 시스템 및 핵심활용기술 개발 고도화)를 통해 적절한 수준의 현안대응 지원

- (연구개발 목표) 한반도 주변 및 글로벌 대양 해양환경 상시관측을 위한 천리안 해양위성

[그림 4-3-3] 해양위성 시스템 및 핵심활용기술 개발 고도화 분야 목표체계

[표 4-3-10] 해양위성 시스템 및 핵심활용기술 개발 고도화 분야 중장기 로드맵

연구분야 최종목표 연구분야 단계별 주요 내용

단기(`19~`22) 중기(`23~`27) 장기(`28~`30)

해양위성, 지상시스템 및 산출물 생산 기술

개발

․해양위성 시스템 정규운영 및 산출 물 개발

․GOCI-II 지상 시스템 개발 및 초기 위성

․GOCI-II 기본 산출물운영 알고리즘 개발

․GOCI-II 산출물 개발 및 위성 발사 후 산출물 고도 화를 통한 주요 산출물 자료와 품질 보고서 제공(국제적 자료 신뢰도 확보)

․장기 해색위성 데이터베이스 제공

․GOCI-III 개발

․고품질 위성 산출물 제공을 위한 장기 위성자료 재처리 및 서비스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센서 통합

활용 기술 개발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센서 통합 활용 기술 개발

․다중 플랫폼/센서 기반 초기 활용 기술 및 SW 개발

․다중 플랫폼/센서 기반 활용 기술 시범적용 및 고 도화 연구

․다중 플랫폼/센서 기반 해양 관측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센서 통합 활용 시스템 개발

․해양 관측 빅데이터 플랫폼 확대 및 활용 서비스 시스템 개발

해양위성 운영 및 현안대응지원

시스템 개발

․해양위성 무중단 운영 지속 및 해양현안 발생 예측 지원 자료 제공

․위성 운영인력 교육 및 GOCI-II In- Orbit-Test(궤도상 기능시험) 지원

․정규 운영을 위한 시스템 사전 운영 시험

․GOCI-II 정규 운영 및 시스템 고도화

․해양현안 관련 위성자료 지원

․GOCI-II 정규 운영

․해양현안 관련 위성자료 지원

[표 4-3-11] 해양위성 시스템 및 핵심활용기술 개발 고도화 분야 추진체계

연구분야 연구방법 국내 외 협력 / 융합전략 등

기관 협력내용

해양위성, 지상시스템 및

산출물 생산 기술 개발

․GPU병렬처리, 빅데이터 분석 등 IT 기술을 적용 한 지상시스템 개발

국내외 대학 연구진

․ICT기반 해양위성자료처리 및 운영 시스템 개발

․KIOST에서 개발하는 산출물 외 응용 산출 물의 알고리즘을 개발/검증하기 위해 협력 연구 추진

․위성총조립 및 발사후

궤도상시험 수행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탑재체-본체간 총조립 및 발사후 궤도상 시험 공동수행

․해양광학 원천연구

․인공지능 활용기술 개발

부산대, NASA, ARL, 스티븐스

공대

․해양산출물, 육상/대기 산출물 개발을 위한 국내 학계와의 협력연구

․인공지능 분야 해외공동연구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센서 통합

활용 기술 개발

․무인기 플랫폼/센서 운영 및 분석 기술 개발

․다중 플랫폼/센서 융복합 기술 개발

․해양 감시기술 개발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서울시립대 등

․실시간 무인기영상 취득 및 전처리 기술

․다중 플랫폼/센서 접합 기술 개발개발

․해양 감시 융복합 분석기술 개발

․해양 감시 운영 시나리오 설계를 위한 유 관기관 협력

해양위성 운영 및 현안대응지원

시스템 개발

․4차산업혁명 첨단기술을 적용한 해양위성 운영 시스템 고도화로 안정 적인 운영 및 자료서비스

․해양위성 일일영상모니 터링 및 관계기관 현업 지원

NASA, NOAA, ESA, 항우연, 환경과학원 등기상청,

․위성 영상 수신/처리/배포서비스에 대한 유기적인 협력 수행 및 최신 ICT 기술 접목 을 통한 운영시스템 고도화 추진

․현안 발생 시 해양위성영상 분석정보 제공 으로 현업기관에서의 조기대응 지원

(4) 성과활용 및 기대효과

○ 성과활용

- 해양관측위성 자료의 검・보정, 알고리즘 개선, 운영 및 처리기술, 이종센서 융합활용 기술 등을 다양한 관측플랫폼에 적용하여 기후변화 해양연구 분야에 활용

- 해양 영토에 대한 실시간 감시체계 구축을 통한 해양 재해재난 및 해양 이상 현상에 대한 현안 대응에 활용

○ 기대효과

- 위성자료의 활용 및 검・보정 등 위성 활용 기술의 발전으로, 국내 관련 분야 연구 능 력 및 첨단 원격탐사 기술력 증진

- 위성자료를 활용한 장단기적 해양환경 변동성 또는 변화 예측은 생태계 관점의 해양자 원 관리 등 과학적 해양정책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 국가적 해양재해/재난 사고 발생 시 해양관측위성 영상의 준 실시간 제공 및 즉각적인 통합감시 정보 제공 통해 신속

・정확한 대응대책수립 및 피해저감

(5) 연구예산 및 인력소요

[표 4-3-12] 해양위성 시스템 및 핵심활용기술 개발 고도화 분야 예산 및 인력수요

(단위: 억원, 명)

연구분야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합계 해양위성, 지상시스템

및 산출물 생산 기술 개발

예산 20 20 30 30 30 30 40 40 30 20 290 인력 10 10 13 13 13 15 15 17 17 17 140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센서 통합 활용 기술 개발

예산 15 15 16 16 20 20 20 10 10 10 152 인력 18 18 18 18 20 20 20 22 22 22 198 해양위성 운영 및

현안대응지원 시스템 개발

예산 20 20 20 30 30 20 20 20 20 20 220 인력 14 15 15 15 15 15 15 15 15 15 149 연도별 예산수요 55 55 66 76 80 70 80 70 60 50 662 연도별 인력수요 42 43 46 46 48 50 50 54 54 54 487

제4절 해양영토관리

Dalam dokumen PDF sciwatch.kiost.ac.kr (Halaman 130-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