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황분석
○ KIOST 업무영역과 해수부 산하 유관기관 간 특정분야에서 업무중복 발생
- 기재부에서 매년 차년도 예산심의시 유관기관간 업무 중복성에 대한 문제점 제기 하고 있으며, KIOST가 해당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개발에 애로가 발생
- 중복업무에 대한 기관 간 협력 및 업무 조정이 필요
○ 해양환경공단과의 업무중복 존재
- 해양환경공단은 1997년 해양오염방지법 개정으로 해양오염방제조합으로 설립
- `07.12월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건을 계기로 ‘해양환경관리법’을 개정하면서
‘해양환경관리공단’으로 재출범(`08년)
- 공단 설립추진위원단에서는 아래와 같이 유관 기관 간 역할분담을 하였으나, 현재 지켜 지지 않고 유명무실한 상황
[표 5-3-1] 해양환경관리공단과 관련기관의 해양환경분야 역할분담(안)
기 관 중점 수행기능
해양수산부
․ 관련 법령 제정․정비
․ 법정계획 수립
․ 규제기준의 설정
․ 행정․재정지원
․ 국제협력․강화
국립수산과학원 ․ 해양환경관련 조사 연구
․ 조사방법․기준 마련
․ 조사․측정의 정도 관리
해양환경관리공단 ․ 해양환경 보전, 관리, 개선, 방제, 부대사업부문의 집행․관리 성격의 기능
․ 해양환경 보전, 관리, 개선, 방제 등에 필요한 현장중심의 기술개발 기능 한국해양연구원 ․ 해양과학․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환경분야 MT(Marine Technology)의
과학적 연구와 신기술개발 기능
※ 자료 : 공단 설립추진위원단 내부자료(2008년)
○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하 자원관)과의 업무중복 존재
- 재단법인(기타공공기관) 형태로 2015.4월 개관, 주무부처는 현재 해수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 이며,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음
1. 해양생물자원의 수집ㆍ보존ㆍ관리 및 전시 2. 해양생물자원의 조사ㆍ연구
3. 해양생물자원에 관한 교육
4. 해양생물자원과 관련된 국내외 교류ㆍ협력
5. 해양생물자원으로부터 유래된 정보의 수집ㆍ수탁ㆍ등록ㆍ보존ㆍ관리ㆍ이용 및 평가 6. 자원관의 설립목적의 범위에서 운영재원 조달을 위한 수익사업
7.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사업에 딸린 업무
8. 그 밖에 해양생물자원과 관련된 것으로서 해양수산부장관으로부터 위탁 받은 업무
※ 자료 :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제5조(사업)
- 자원관 설립이전, 설립추진단에서 기능설정 단계부터 중복성 논란이 발생하였으며, 향후 상호 협력의 관점에서 기능조정 필요
[표 5-3-2] KIOST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기능 비교
구 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법 률 한국해양과학기술원법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설립일 1973. 10. 30 2014년 시범운영 후 2015.4.20. 개관
업 무분 장
1. 해양생태계연구
․ 해양 생태계 구조 및 기능 연구
․ 해양 생물자원 탐사 및 개발 연구
․ 해양생물의 장기변동 연구
․ 해양생물자원의 서식지 조성 및 생산기술 연구
․ 통영해양생물자원연구․보존센터운영 2. 해양바이오연구
․ 해양생물의 분자 오믹스 연구
․ 해양생물유래 생리활성물질 개발 연구
․ 해양 바이오신소재 개발연구
․ 그린바이오에너지 개발
․ 해양바이오산업 기반 연구 3. 해외생물자원연구
․ 해양 천연물 소재 연구
․ 해양바이오매스 생산 및 산업화 연구
․ 산호초 먹이망 감시 연구
1. 자원조사실
- 해양생물자원의 조사 및 확보 2. 생물자원분류실
- 해양생물 계통분류연구
- 해양생물자원 관리시스템 표준화 -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구축 3. 해양생물다양성센터
- 해양생물 다양성 관리 4. 융복합연구-유전자원실
- 유전체 구조 및 기능분석 5. 융복합연구-응용연구실
- 해양천연물 추출 및 기능분석 6. 전시·교육본부
- 해양생물 전시·교육 7. 해양생명통합정보센터
○ 국립해양조사원 內 국가해양위성센터와의 업무중복 발생
- 국립해양조사원은 해양위성 관련 정책수립, 현업 산출물에 대한 대국민 서비스, 현안대응 등 행정적 업무 수행을 위해 원내 국가해양위성센터 설립(`19.5월)
- `19년 9월중 신규 공무원 임용절차 진행, 센터 인력규모는 15명 [표 5-3-3] 해양위성 관련 기관별 사무분장 협의(안)
구분 국립해양조사원
국가해양위성센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위성정책
․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지원
․ 국가해양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수립
․ 국가해양위성 관련 각종 위원회 운용
․ 국가해양위성 관련 법령 및 제도 운영
․ 국가 해양위성 정책 및 계획 수립 지원
위성기획
․ 해양위성 수요조사 및 기획
․ 해양위성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자립화 관련 계획 수립
․ 해양위성 관련 규정 제정·운영
․ 해양위성 관련기술 산업화, 교육·연구 지원
․ 해양위성 개발 기술 기획
위성개발 ㅇ 해양위성 개발 계획 수립 및 시행 ․ 해양탑재체 개발 및 감리
위성운 영
기술 운영
․ 해양위성 운영계획 수립 및 시행
․ 해양위성자료 품질관리 계획 수립 및 시행
․ 해양위성 현업운영 및 산출물의 배포서비스
․ 배포서비스를 위한 해양위성 인프라 운영 및 관리
․ 해양위성자료 검·보정을 위한 현장 조사 수행 및 고정관측소(국가해양 관측망 활용 등) 운영
연구 운영
․ 발사전 성능 및 운영초기 궤도상 시험
․ 해양위성 표준자료 생산(L1, L2, L3) 및 서비스, 재처리
․ 지상국 인프라 개발 및 구축/운영
․ 해양위성 관측계획 수립 및 위성 수신·전처리시스템 운용
․ 해양위성 지상운영시스템 유지 및 관리
․ 해양위성자료처리시스템 운영 및 관리
․ 해양위성자료 전처리 및 복사/기 하보정
※ 자료 : 해수부-해양과기원-해양조사원 간 국가해양위성센터 직제 시행규칙(안) 및 기관별 사무분장 협의(안) 회의(2019.2.12.)
□ 개선방향
○ 해수부의 객관적 조정자 기능 필요
- 각 기관의 성격에 따른 합리적 기능조정 필요
- 해양환경공단,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조사원 등의 기관은 주로 법정계획에 있는 집행․관리성격의 업무에 중점
구분 국립해양조사원
국가해양위성센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영상오류 보정 및 해양위성자료 검·보정 업무 수행 (자료수집, 현장 조사, 분석, 정확도 산출 및 개선 등)
․ 기본 산출물 검증 및 개선
현안대응
․ 해양 재난·재해 보고 체계 수립 및 대응반 운용
․ 해양위성 분석자료 관련기관 배포
․ 현안 대응 매뉴얼 수립 및 운영
․ 해양위성 일일 영상 모니터링 및 분석
해양위성 현업활용 /기술개발지원
․ 해양위성 활용실무협의체 운영
․ 해양위성자료 공동이용 관련 규정 제정·운용
․ 해양위성정보 활용 촉진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 해양위성자료 공동 활용 플랫폼 구축·운영·관리
․ 해양위성활용 현업 기관 사용자 지원
․ 해양위성 활용실무협의체 운영 지원
․ 해양위성자료 공동 활용 플랫폼 개발
․ 해양광학 원천연구
․ 해양위성 자료처리 시스템 및 활용 기술 개발
․ 대용량 위성자료 고속 처리 연구
․ 해양위성 현업활용기술 개발/연구
사용자 지원 및 산업화 기반 마련
․ 해양위성 산업화 전략수립
․ 해양위성 활용기술 교육 계획 수립 및 시행
․ 해양위성 개발기술 산업화 지원 및 제도 마련
․ 해양위성정보 활용 촉진
․ 해양위성 인력 양성 및 활용 기술 교육
․ 개발된 실용화 기술의 이전을 통한 산업계 기반 형성
대외홍보 및 국제협력
․ 해양위성 현업운영 홍보
․ 해양위성 국제협력 행사 운영
․ 국제 정책 및 운영관련 협의회 참여
․ 학술적 연구성과 홍보
․ 국제 해양위성 과학자 협의회 참여
․ 국제 해양위성 학회 주관 및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