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절 연구인프라
KIOST는 해양과학기술 분야 국내 유일의 종합연구기관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능력 확보를 위해서는 시설 및 장비, 기타 인프라에 대한 충분한 확보와 효율적인 활용체계 구축이 필요
□ 개선방향
○ 해양 연구장비 공동활용시설(Core-Facility) 구축․운영을 통한 관리 효율화 - 고가 첨단 해양연구 장비의 집적과 전문운영 인력 활용을 통한 체계적 관리
- 산학연 등 해양연구관련 기관에 전문운영인력에 의한 공동활용 서비스 제공을 통한 체계적 이고 효율적인 국가해양연구 역량 강화
○ 해양연구장비 운영기술 개발, 교육 및 보급
- 산학연 해양연구장비 공동활용을 통한 해양연구역량 강화 - 해양연구장비 운영 전문인력 양성과 해양장비 산업 발전 지원
○ 해양시료분석 표준물질 개발과 보급으로 고품질 해양자료 생산 지원
- 국제적으로 해양자료의 상호비교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료 제출시 분석에 사용한 표준물질 분석자료 제출을 의무화
- 검정, 교정, 보수, 유지관리체계를 확립하여 연구시설·장비로부터 생산되는 자료의 품질 개선
- 해양자료의 신뢰성을 향상을 위해 해양연구 장비에 대한 전문적이고 사전 예방의 유지 관리체계 구축 가능
○ KIOST 해양 연구장비 공동활용 필요시설 및 장비 구축
- 저온/냉동 저장고 표준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항온항습 청정설비
∙
무거운 분석 장비를 설치 및 운반 할 수 있는 시설 필요∙
실험실에 출입을 제어할 수 있으며 분석 장비에서 만들어진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설비 필요 - 항온항습 청정 시설 구축∙
연구장비 운영에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제공하여 최적의 운영 조건이 필요하며 청정조건 필요 - 연구 장비 이동 및 설치를 위한 운반 장비- 실험실 원격 관리 컴퓨터 제어 시스템 구축
∙
해양 연구장비 공동활용 시설의 모든 설비를 원격 제어하며 감시할 수 있는 컴퓨터 제어 장치 설비□ 추진전략
○ 해양 연구장비 공동활용시설(Core-Facility) 구축
- 부산 영도구 동삼혁신도시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보지활용 시설구축 [그림 5-4-2] 해양연구장비 공동활용시설 및 표준물질 제조시설 위치(안)
[표 5-4-1] 해양연구장비 공동활용시설 및 표준물질 제조시설 구조(안)
구 분 면적(㎡) 비 고
1층 1,300 냉장저장실, 냉동저장실, 시료전처리실, 표준물질 보관실, 전기시설, 발전기실, 표준물질 제작실
2층 1,430 미량금속 및 금속 동위원소 분석실 및 전처리시설 해수일반 성분 분석실, 표준물질 안정성 및 균질성 실험실
3층 1,430 질량분석실험실 및 시료준비, 유기성분 분석실험실 및 시료 전처리실 4층 1,430 전자현미경, 서버실, 운영실, 전문운영인력 업무실, 강의실, 회의실,
행정실 합계 5,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