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국내 대학들은 모바일 환경 구축과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모바일 전 용서비스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SNS를 수업에 활용하는 등 다양한 활용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교육현장에서 스마트 러닝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롭고 강력한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①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의 경우, 캠퍼스 전체에 무료 Wifi존 FMC망22)을 구축하여 교내 외의 이 동 중에도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고, 전교생에게 Apple의 아이폰을 지급하였다. 자체 생산 콘텐츠만을 고집하지 않고 인터넷 등으로 확보할 수 있는 고품질의 콘텐츠를 학습 목적 에 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MIT OCW, 아이튠즈 U 등으로 해외 유수 대학의 다양 한 콘텐츠와 CNN과 Discovery Channel, PBS 그리고 유부트 등의 자료도 적극 활용하고 있 다. 교수자 블랙보드(Blackboard) 학습관리시스템(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에 플랫 폼을 활용하여 강의 자료나 과제를 올려놓으면 학생들은 스마트폰 Push 서비스를 통해 실시
간으로 제공받는다. 과제물 제출, 해외 유명 강의 수강, 논문 검색 등의 다양한 학습 활동이 지원된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b).
[출처: KT 경제경영연구소]
<그림 18> 울산과학기술대학교의 이해도 측정 App 적용 사례23)
②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에서는 산학협력을 통해 마이크로블로그 '요즘(yozm)' API를 활용해 아이폰 용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앱을 공동 개발하였다. 학생 및 교직원 전원에게 아이폰을 지급 하고 적극적으로 모바일 캠퍼스 구현을 기대하고 있다. 다음(Daum)의 요즘(yozm)을 학생들 간 소통과 협력을 도와주는 SNS로 활용하고 있으며, 재학생들은 각자 근황, 학과 정보, 동아 리 등의 근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아시아투데이, 2010. 12. 8일자 기사).
③ 한양대학교
SK텔레콤과 스마트캠퍼스 구축 합의하여 무선데이터 통신망(Wifi)을 구축하여 스마트 캠퍼 스가 실현시켰다. 스마트폰 하나로 기존 스마트카드를 대신하여 건물 출입 인증, 전자 출결, 수강 신청, 도서 예약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학생들이 스마트 캠퍼스 구축으 로 인하여 편리한 대학생활을 누릴 것이 기대되며, 교직원들은 스마트기기로 전자문서 열람, 전자 결제 함으로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양대학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공모전 을 개최하여 학교생활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시상하는 등 적극적으로 상용화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전자신문, 2011. 7. 4일자 기사).
이어서, 국내 원격대학의 경우 국내 일반대학에 비해 모바일시스템 구축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 사이버 대학교들은 스마트폰을 통한 강의 수강을 지원하기 위해 2010년 상 반기에 통신사와 협약 체결완료하고 하반기부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의 질 향상 정 책을 계속적으로 추진하면서 내적인 성장을 이루어 가고 있다. 강좌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여 전히 웹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점차 여러 원격대학에서 스마트 러닝을 위한 시도가 이
23) 울산과학기술대학교에서 개발한 앱으로 사전학습과 실시간 강의에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 이해력 측정 및 난이도
루어지고 있다.
④ 서울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는 2010년 단순 모바일 러닝 서비스가 아닌 스마트 러닝 서비스로의 확대 계획을 수립하고, ‘SCU 2.0’ 스마트 러닝을 개발해 대학 이러닝 시스템과의 통합 기반을 마련 하고 학생들이 강의 수강 외 다양한 학사정보를 웹(Web)과 앱(App)을 통해 받을 수 있게 지 원하였다. 또한 통신사 상관없이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아이패드, 태블릿 PC 등 다양한 스마 트 기기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지원함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로도 동일한 학습 이 가능하도록 학생들의 학습 접근성을 대폭 확대하였다. 특히 전체 강의 콘텐츠 중 50%인
약 160과목이 스마트 기기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 중이며, 서울사이버대학 학생의 3,000명
정도가 이미 스마트 러닝으로 수업에 참여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중앙일보, 2011, 7, 12).
[출처: 중앙일보(2011.7.12.)]
<그림 19> 서울사이버대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사례
서울사이버대학교에서 개발한 이러닝의 명칭은 wave로서 글로벌 표준을 반영해 자체 개발 한 이러닝 시스템으로서 ‘SCU 러닝 웨이브(WAVE)’가 사이버대 최초로 이러닝 국제대회인
‘IMS 러닝 임팩트 어워드 2011’에서 은상을 받았다. 이 시스템은 교수와 학생이 마주 앉아서
직접 수업을 하는 듯한 ‘크로마 강의’, 3D영화처럼 강의 속으로 직접 들어가 체험하는 ‘가상현 실 모델링 언어(VRML) 강의’ 등 최첨단 멀티미디어 기법을 적극 도입, 학생들의 학구열을 북 돋운다. 또한 이러닝 콘텐츠와 학습도구 간의 자유로운 결합과 해체가 가능하다(중앙일보, 2011, 7, 22). 외부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SNS를 학습도구로 끌어 와서 이러닝 수업에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학습자가 궁금한 사항에 대해 SNS를 통 해 교수자에게 문의할 수 있고, 교수자는 이를 바로 답해주는 시스템이다.
⑤ 서울디지털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의 경우, 모바일 홈페이지 구축을 통해 통신사, 휴대폰 기종에 관계없이 모든
강의수강, 수업문의, 학사정보 확인, 자료실 및 게시판 이용 등 30개 메뉴를 지원하고, 현재 교양과목 중심으로 강의 서비스가 운영 중이다(정경뉴스, 2010). 2010년부터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러닝 학습환경 구축에 나서 2만 4,000여 명의 학생들이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출처: 서울디지털대학교]
<그림 20> 서울디지털대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사례
특히 서울디지털대학교 학생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출석 및 강의를 다운로드 할 수 있어 기존 디지털 매체가 가지고 있던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게 되었다.
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U-KNOU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KT 모바일 솔루션 센터 간 직접연동을 통한 유무선 복합
솔루션 제공하고 강의, 학교 공지 및 학사정보(등록, 수강, 성적, 학적) 등을 관리지원하고 있 다. <그림 21>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모습이다.
<그림 2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⑦ 경희사이버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는 2010년 스마트 러닝 시스템 구축 및 운용 선도대학에 선정되었다.
2010년 2학기부터 300개 이상의 강의를 모바일로 지원하고, LMS와 학사행정시스템을 스마트
폰과 연동하고 있다. m.KHCU를 통해 공지사항, 출석 및 진도율 체크 가능하며, SNS와
분류 대학 SNS 및 스마트폰 활용 현황
일반대학
울산과학기술 대학교
▪캠퍼스 전체에 무료 Wifi존 FMC망을 구축하여 교내 외의 이 동 중에도 학습이 가능
▪전교생에게 Apple의 아이폰을 지급
▪MIT OCW, 아이튠즈 U 등으로 해외 유수 대학의 다양한 콘 텐츠와 CNN과 Discovery Channel, PBS 그리고 YouTube등 의 자료도 적극 활용
▪교수자 블랙보드(Blackboard), 학습관리시스템(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에 플랫폼을 활용
▪스마트폰을 Push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있으 며, 과제물 제출, 해외 유명 강의 수강, 논문 검색 등을 다양 한 학습 활동을 지원
서울여자대학교
▪마이크로블로그 ‘요즘(yozm)’ API를 활용해 아이폰용 소셜네 트워크서비스(SNS) 앱을 공동 개발
▪학생 및 교직원 전원에게 아이폰을 지급하고 적극적으로 모 바일 캠퍼스 구현
▪학생들 간 소통과 협력을 도와주는 SNS로 활용
▪재학생들은 각자 근황, 학과 정보, 동아리 등의 근황을 실시 간으로 제공
한양대학교
▪SK텔레콤과 제휴하여 무선데이터 통신망(Wifi)을 구축하여 스마트 캠퍼스가 실현
▪기존 스마트폰으로 건물 출입 인증, 전자 출결, 수강 신청, 도서 예약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공모전을 개최
원격 대학교
서울사이버 대학교
▪글로벌 표준을 반영한 스마트 러닝 시스템 개발로 기존의 이 러닝 시스템과 통합 기반을 마련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지원함
▪이러닝 콘텐츠와 학습도구 간의 자유로운 결합과 해체
▪외부 웹 애플리케이션, SNS를 학습도구로 활용함
▪약 35 과목 서비스 제공
▪SCU U Campus의 모바일 플랫폼 구축 KT 계약 서울디지털 ▪2010년부터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러닝 학습환경 구축 LBS(local based service) 인맥 연계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스마트 러닝 교육을 실천하는 대학사례들은 <표 12>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12> 국내 대학에서 SNS 및 스마트폰 활용 현황
및 학적부 열람 지원
▪2011년 서울디지털대학 컨소시엄(한양사이버대학교, 사이버한국 외국어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 5개 대 학 구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스마트 러닝 특성화 사업 추진 한국
방송통신 대학교
▪U-KNOU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KT 모바일 솔루션 센터간 직 접연동을 통한 유무선 복합 솔루션 제공
▪강의, 학교 공지 및 학사정보(등록, 수강, 성적, 학적) 등을 관 리지원
경희사이버대학교
▪2010년 2학기부터 300개 이상의 강의를 모바일로 지원함
▪LMS와 학사행정시스템을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내용을 KT와 협약(2011년 6월부터 애플리케이션 가동)
▪m.KHCU 에서 대학 공지사항, 출석 및 진도율 체크 가능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LBS(local based service) 인 맥 연계서비스 제공 예정
▪KT계약 서비스 지원 단말기: KT 아이폰(IOS4.0 이상에서만 정상 동작 함), KT안드로이드 기반 폰
▪2010년 스마트 러닝 시스템 구축 및 운용 선도대학에 선정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선정)